‘한국형 스마트시티 확산’ 한-아세안 장관급 협의체 가동
입력 2019.11.25 (11:02)
수정 2019.11.25 (11: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아세안(ASEAN) 10개국이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장관급 협의체가 구축됩니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외교부, 신남방 정책특별위원회가 후원하는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장관회의'가 오늘(25일) 부산에서 개최됐습니다.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처음으로 열린 장관회의에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 등 회원국 담당 부처 장·차관과 아세안 사무총장 등은 각국의 도시문제 해법을 공유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제1위 해외 인프라 수주시장인 아세안을 중요한 협력 동반자로 인식하고 이들 국가의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아세안 10개 회원국도 신도시개발 경험과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풍부한 우리나라와 스마트시티 공동 개발 사업을 희망하며 적극적인 협력 의지를 보였습니다.
우선 우리 정부는 내년부터 국제 협력체계인 K-SCON(Korea Smart City Open Network)을 가동합니다.
K-SCON은 아세안, 중남미, 중동 등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에 관심이 큰 국가를 중심으로 구축되는 국제 협력체계로, 우리나라와 해외 정부의 비용 매칭을 통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됩니다.
K-SCON은 국제공모를 통해 선정된 아세안 4개국의 스마트시티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의 계획수립이나 사전타당성 조사 등을 지원해 본 사업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우리 정부는 1조5천억 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펀드'를 조성해 이중에서 3천억 원 내외를 아세안 스마트시티 개발사업에 투자(출자)할 계획이며, 아세안 4개국 내외에 스마트시티 글로벌 협력센터를 설치해 유망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발굴하고, 우리나라와 아세안 기업·정부 간 네트워킹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상호 인적 교류 확대를 위해 스마트시티에 특화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 우리나라의 도시개발 경험과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을 공유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이날 장관회의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말레이시아 사바주와 스마트시티 개발에 합력하는 내용의 MOU를 맺었고, 국토연구원과 교통연구원도 태국 디지털경제진흥원(DEPA)과 스마트교통, 도시개발 분야에서 공동 연구 등 교류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김현미 장관은 "스마트시티는 인구집중, 수해 등 각종 도시문제에 직면한 아세안 국가들에 중요한 화두"라며 "이날 장관회의는 아세안 회원국들과의 스마트시티 분야 협력을 다지는 계기가 돼 우리나라와 아세안의 상생번영을 실현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외교부, 신남방 정책특별위원회가 후원하는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장관회의'가 오늘(25일) 부산에서 개최됐습니다.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처음으로 열린 장관회의에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 등 회원국 담당 부처 장·차관과 아세안 사무총장 등은 각국의 도시문제 해법을 공유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제1위 해외 인프라 수주시장인 아세안을 중요한 협력 동반자로 인식하고 이들 국가의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아세안 10개 회원국도 신도시개발 경험과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풍부한 우리나라와 스마트시티 공동 개발 사업을 희망하며 적극적인 협력 의지를 보였습니다.
우선 우리 정부는 내년부터 국제 협력체계인 K-SCON(Korea Smart City Open Network)을 가동합니다.
K-SCON은 아세안, 중남미, 중동 등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에 관심이 큰 국가를 중심으로 구축되는 국제 협력체계로, 우리나라와 해외 정부의 비용 매칭을 통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됩니다.
K-SCON은 국제공모를 통해 선정된 아세안 4개국의 스마트시티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의 계획수립이나 사전타당성 조사 등을 지원해 본 사업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우리 정부는 1조5천억 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펀드'를 조성해 이중에서 3천억 원 내외를 아세안 스마트시티 개발사업에 투자(출자)할 계획이며, 아세안 4개국 내외에 스마트시티 글로벌 협력센터를 설치해 유망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발굴하고, 우리나라와 아세안 기업·정부 간 네트워킹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상호 인적 교류 확대를 위해 스마트시티에 특화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 우리나라의 도시개발 경험과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을 공유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이날 장관회의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말레이시아 사바주와 스마트시티 개발에 합력하는 내용의 MOU를 맺었고, 국토연구원과 교통연구원도 태국 디지털경제진흥원(DEPA)과 스마트교통, 도시개발 분야에서 공동 연구 등 교류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김현미 장관은 "스마트시티는 인구집중, 수해 등 각종 도시문제에 직면한 아세안 국가들에 중요한 화두"라며 "이날 장관회의는 아세안 회원국들과의 스마트시티 분야 협력을 다지는 계기가 돼 우리나라와 아세안의 상생번영을 실현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형 스마트시티 확산’ 한-아세안 장관급 협의체 가동
-
- 입력 2019-11-25 11:02:08
- 수정2019-11-25 11:07:41

우리나라와 아세안(ASEAN) 10개국이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장관급 협의체가 구축됩니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외교부, 신남방 정책특별위원회가 후원하는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장관회의'가 오늘(25일) 부산에서 개최됐습니다.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처음으로 열린 장관회의에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 등 회원국 담당 부처 장·차관과 아세안 사무총장 등은 각국의 도시문제 해법을 공유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제1위 해외 인프라 수주시장인 아세안을 중요한 협력 동반자로 인식하고 이들 국가의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아세안 10개 회원국도 신도시개발 경험과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풍부한 우리나라와 스마트시티 공동 개발 사업을 희망하며 적극적인 협력 의지를 보였습니다.
우선 우리 정부는 내년부터 국제 협력체계인 K-SCON(Korea Smart City Open Network)을 가동합니다.
K-SCON은 아세안, 중남미, 중동 등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에 관심이 큰 국가를 중심으로 구축되는 국제 협력체계로, 우리나라와 해외 정부의 비용 매칭을 통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됩니다.
K-SCON은 국제공모를 통해 선정된 아세안 4개국의 스마트시티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의 계획수립이나 사전타당성 조사 등을 지원해 본 사업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우리 정부는 1조5천억 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펀드'를 조성해 이중에서 3천억 원 내외를 아세안 스마트시티 개발사업에 투자(출자)할 계획이며, 아세안 4개국 내외에 스마트시티 글로벌 협력센터를 설치해 유망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발굴하고, 우리나라와 아세안 기업·정부 간 네트워킹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상호 인적 교류 확대를 위해 스마트시티에 특화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 우리나라의 도시개발 경험과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을 공유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이날 장관회의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말레이시아 사바주와 스마트시티 개발에 합력하는 내용의 MOU를 맺었고, 국토연구원과 교통연구원도 태국 디지털경제진흥원(DEPA)과 스마트교통, 도시개발 분야에서 공동 연구 등 교류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김현미 장관은 "스마트시티는 인구집중, 수해 등 각종 도시문제에 직면한 아세안 국가들에 중요한 화두"라며 "이날 장관회의는 아세안 회원국들과의 스마트시티 분야 협력을 다지는 계기가 돼 우리나라와 아세안의 상생번영을 실현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외교부, 신남방 정책특별위원회가 후원하는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장관회의'가 오늘(25일) 부산에서 개최됐습니다.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처음으로 열린 장관회의에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 등 회원국 담당 부처 장·차관과 아세안 사무총장 등은 각국의 도시문제 해법을 공유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제1위 해외 인프라 수주시장인 아세안을 중요한 협력 동반자로 인식하고 이들 국가의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아세안 10개 회원국도 신도시개발 경험과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풍부한 우리나라와 스마트시티 공동 개발 사업을 희망하며 적극적인 협력 의지를 보였습니다.
우선 우리 정부는 내년부터 국제 협력체계인 K-SCON(Korea Smart City Open Network)을 가동합니다.
K-SCON은 아세안, 중남미, 중동 등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에 관심이 큰 국가를 중심으로 구축되는 국제 협력체계로, 우리나라와 해외 정부의 비용 매칭을 통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됩니다.
K-SCON은 국제공모를 통해 선정된 아세안 4개국의 스마트시티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의 계획수립이나 사전타당성 조사 등을 지원해 본 사업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우리 정부는 1조5천억 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펀드'를 조성해 이중에서 3천억 원 내외를 아세안 스마트시티 개발사업에 투자(출자)할 계획이며, 아세안 4개국 내외에 스마트시티 글로벌 협력센터를 설치해 유망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발굴하고, 우리나라와 아세안 기업·정부 간 네트워킹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상호 인적 교류 확대를 위해 스마트시티에 특화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 우리나라의 도시개발 경험과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을 공유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이날 장관회의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말레이시아 사바주와 스마트시티 개발에 합력하는 내용의 MOU를 맺었고, 국토연구원과 교통연구원도 태국 디지털경제진흥원(DEPA)과 스마트교통, 도시개발 분야에서 공동 연구 등 교류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김현미 장관은 "스마트시티는 인구집중, 수해 등 각종 도시문제에 직면한 아세안 국가들에 중요한 화두"라며 "이날 장관회의는 아세안 회원국들과의 스마트시티 분야 협력을 다지는 계기가 돼 우리나라와 아세안의 상생번영을 실현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슬기 기자 wakeup@kbs.co.kr
이슬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