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창 폐지하는 선진국 언론…시급한 ‘악플’ 개선 대책

입력 2019.11.25 (21:29) 수정 2019.11.25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안녕하세요'라는 말 대신 묻지도 않는 해명부터 해야할 것 같았다...

지난달 숨진 가수 겸 배우 설리가 악성 댓글로 상처 입고 털어놓은 속냅니다.

하지만 설리를 애도하던 이런 영상에마저 어김없이 악성 댓글이 달렸고, 뒤이어 가수 구하라 씨도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사회적 타살'과 다름 없는 악성 댓글, 희생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다시 대응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영국과 미국 등 선진국의 주요 언론들은 댓글창 자체를 없애거나 댓글 내용을 걸러내는 방법을 쓰고 있는데요.

우리는 어떤 개선책을 내놔야 효과가 있을까요?

양예빈 기자가 짚어보겠습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에 노출된 구하라 씨 관련 기사입니다.

구 씨가 우울증을 앓았다는 이 안타까운 기사 내용에도 어김없이 악성 댓글이 남아 있습니다.

다른 포털에 노출된 똑같은 기사 내용.

연예뉴스 댓글을 폐지한다는 공지와 함께 아예 댓글창이 보이지 않습니다.

연예뉴스의 댓글을 폐지한 겁니다.

트위터도 지난 주말부터 '댓글 숨기기'가 가능해졌습니다.

누군가 내 트윗에 악성 댓글을 남길 경우,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도록 이를 숨기는 기능입니다.

[성동규/중앙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 "SNS나 포털 이용자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폐해를 사전에 스크린하고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된다고 봅니다."]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해외 언론들은 보다 엄격한 잣대를 적용합니다.

뉴욕타임스는 전체 기사의 10%에 한해서, 딱 24시간만 댓글을 운영하고 CNN과 BBC 등은 아예 댓글창을 닫고 별도로 독자 의견을 받습니다.

관리를 못할 바엔 아예 운영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영국 가디언 역시 기사에 댓글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댓글 7천만 건을 분석한 결과 여성과 흑인에 대한 공격적 댓글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2012년에 폐지된 '인터넷 실명제'를 다시 도입하자는 의견이 재등장했습니다.

그러나 표현의 자유 침해로 위헌 판결을 났던 만큼 얼마나 현실성이 있을지는 미지숩니다.

소속 연예인이 악성 댓글에 시달릴 경우 해당 기획사가 적극적으로 법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김헌식/대중문화 평론가 : "연예 매니지먼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서 이로 인한 심리적 압박감이 더 심해지고 극단적인 선택에 이르는 상황입니다."]

개인 SNS에 올린 연예인의 사생활을 확대 재생산하는 기사 관행 또한 문제가 되고 있는만큼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양예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댓글창 폐지하는 선진국 언론…시급한 ‘악플’ 개선 대책
    • 입력 2019-11-25 21:33:10
    • 수정2019-11-25 21:57:22
    뉴스 9
[앵커]

'안녕하세요'라는 말 대신 묻지도 않는 해명부터 해야할 것 같았다...

지난달 숨진 가수 겸 배우 설리가 악성 댓글로 상처 입고 털어놓은 속냅니다.

하지만 설리를 애도하던 이런 영상에마저 어김없이 악성 댓글이 달렸고, 뒤이어 가수 구하라 씨도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사회적 타살'과 다름 없는 악성 댓글, 희생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다시 대응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영국과 미국 등 선진국의 주요 언론들은 댓글창 자체를 없애거나 댓글 내용을 걸러내는 방법을 쓰고 있는데요.

우리는 어떤 개선책을 내놔야 효과가 있을까요?

양예빈 기자가 짚어보겠습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에 노출된 구하라 씨 관련 기사입니다.

구 씨가 우울증을 앓았다는 이 안타까운 기사 내용에도 어김없이 악성 댓글이 남아 있습니다.

다른 포털에 노출된 똑같은 기사 내용.

연예뉴스 댓글을 폐지한다는 공지와 함께 아예 댓글창이 보이지 않습니다.

연예뉴스의 댓글을 폐지한 겁니다.

트위터도 지난 주말부터 '댓글 숨기기'가 가능해졌습니다.

누군가 내 트윗에 악성 댓글을 남길 경우,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도록 이를 숨기는 기능입니다.

[성동규/중앙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 "SNS나 포털 이용자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폐해를 사전에 스크린하고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된다고 봅니다."]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해외 언론들은 보다 엄격한 잣대를 적용합니다.

뉴욕타임스는 전체 기사의 10%에 한해서, 딱 24시간만 댓글을 운영하고 CNN과 BBC 등은 아예 댓글창을 닫고 별도로 독자 의견을 받습니다.

관리를 못할 바엔 아예 운영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영국 가디언 역시 기사에 댓글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댓글 7천만 건을 분석한 결과 여성과 흑인에 대한 공격적 댓글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2012년에 폐지된 '인터넷 실명제'를 다시 도입하자는 의견이 재등장했습니다.

그러나 표현의 자유 침해로 위헌 판결을 났던 만큼 얼마나 현실성이 있을지는 미지숩니다.

소속 연예인이 악성 댓글에 시달릴 경우 해당 기획사가 적극적으로 법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김헌식/대중문화 평론가 : "연예 매니지먼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서 이로 인한 심리적 압박감이 더 심해지고 극단적인 선택에 이르는 상황입니다."]

개인 SNS에 올린 연예인의 사생활을 확대 재생산하는 기사 관행 또한 문제가 되고 있는만큼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양예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