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이런 배달은 없었다…배달 로봇, 볼거리인가? 대체재인가?

입력 2019.11.28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캠퍼스 배달 낭만은 로봇은 타고?


캠퍼스 내 식당 앞에 주문을 기다리는 배달로봇 '딜리'. 6개 바퀴가 달린 소형 냉장고를 생각나게 한다. 카메라와 센서는 위·아래 두 군데에 탑재돼있는데 위쪽은 위치정보를, 아래 센서는 장애물을 인지한다. 캠퍼스 내 위치정보 등 지도가 장착돼있어 최대 속도는 5.5km, 한번 충전하면 8시간 정도 거뜬하게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다.

1세대 배달 플랫폼 업체인 '배달의 민족'이 서빙 로봇에 엘리베이터 탑승 로봇을 내놓더니 이젠 캠퍼스를 누비는 배달 로봇을 선보였다. 이번주부터 다음 달 25일까지 시범 운영이 시작됐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냇가에 내놓은 아이같은 로봇... 걸음마 단계

주문방식은 간단하다. 앱을 열고 딜리서비스 서비스를 선택한 뒤 배달받을 정류장을 QR코드로 지정하면 끝이다. 현재는 캠퍼스 내 정류장 9군데에서 음식을 받을 수 있다.


앱으로 주문하고 로봇이 매장에 출발해서 정류장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은 10분 남짓. 로봇 배달 길을 함께 따라가 봤는데 어땠을까?



매장에서 주문을 받고 음식이 완성되면 요원이 등장한다. 시범운영이다 보니 속도나 오류에 대비하기 위해 오퍼레이터가 필요하다는 게 업체 설명이다. 과장을 좀 보태면 아이에게 첫 심부름을 시켜놓으면 이런 기분이 들지 않을까. '가다가 넘어지지 않을까' '잘 도착했나' ...


캠퍼스다보니 비교적 넓은 길이 많은데다 배달 로봇도 방지턱이나 커브 길도 곧잘 움직이긴 했지만 주변에 사람이 너무 많아지거나 돌발 변수에 대처가 미흡했다. 냇가에 내놓은 아이마냥 안심할 순 없었다.

배달로봇을 앞세우고 뒤따라가는 관리자와 동행하다보니 공원에 특이한 애완동물을 데리고 산책나온 기분도 들었다. 아직은 반자율주행.



로봇배달의 묘미는 방콕의 흐름을 깨지 않고 문 앞에서 음식만 받을 수 있다는 건데 '캠퍼스'라는 공간의 한계도 있고 시범 단계다 보니 지정된 장소에 나가서 기다려야 한다. 로봇이 도착하면 허리를 굽혀 앱으로 인증한 뒤 음식을 꺼낼 수 있다.

물론, 배달요원과 마주치지 않아도 되고 캠퍼스내 동아리방이나 기숙사 등에 정류장이 설치돼 운영 전 진행한 테스트기간(6주)동안 250건이 넘는 주문이 들어온 걸 보면 편리함을 인정받았다고 볼 수도 있다. 한 달뒤 주문건수를 기대해본다.

'자율주행' 대세라지만 현실에서 대체가능?

목적지까지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이 4차산업혁명에서 핵심 추세로 떠오르면서 대기업뿐만 아니라 IT 업체까지 로봇 개발 경쟁이 붙었다.

이미, 세계 최대 전자 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100%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로봇으로 배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계단을 능숙하게 오르진 못하지만 배송 기능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배달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해 규모나 품목도 다양해져 사람이 배달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보고서를 보면 2025년에는 음식 배달 가운데 1% 정도 로봇이 아예 담당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해외에서 이미 선점에 나선 '배달 로봇'은 차세대 물류 비즈니스의 방향임은 분명하다. 성공의 핵심은 배달원을 대체할만한 편의성과 안전성이다. 물론, 배달 로봇은 주행속도나 대부분 폭이 넓은 도로를 이동하다 보니 자율주행 차량보다 사고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 게다가, 로봇이 배달하게 되면 24시간, 365일 연중무휴로 달릴 수 있다. 인력 부족도 한 번에 해결 할 수 있다.

다만, 캠퍼스내 배달 오토바이와 사람, 로봇이 뒤섞이는 풍경을 상상하면 신기하다가도 배달로봇 센서 등이 오류났을 때를 상상하면 아찔하다. 업체에서도 가장 많이 신경을 쓰는 부분은 안전성이다. 다행인 건, 기업과 연구소 등이 협업해 기술은 계속 진화하고 있다.


현재, 국내 상황을 보면 도로교통법상 자율주행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에 대해 명확한 정의조차 없다 보니 일반 도로를 달리려면 규제 정비도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항상 그랬지만 새로운 시장을 열리려면 기술과 규제의 간격이 좁아져야만 불필요한 지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금까지 이런 배달은 없었다…배달 로봇, 볼거리인가? 대체재인가?
    • 입력 2019-11-28 08:04:07
    취재K
캠퍼스 배달 낭만은 로봇은 타고?


캠퍼스 내 식당 앞에 주문을 기다리는 배달로봇 '딜리'. 6개 바퀴가 달린 소형 냉장고를 생각나게 한다. 카메라와 센서는 위·아래 두 군데에 탑재돼있는데 위쪽은 위치정보를, 아래 센서는 장애물을 인지한다. 캠퍼스 내 위치정보 등 지도가 장착돼있어 최대 속도는 5.5km, 한번 충전하면 8시간 정도 거뜬하게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다.

1세대 배달 플랫폼 업체인 '배달의 민족'이 서빙 로봇에 엘리베이터 탑승 로봇을 내놓더니 이젠 캠퍼스를 누비는 배달 로봇을 선보였다. 이번주부터 다음 달 25일까지 시범 운영이 시작됐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냇가에 내놓은 아이같은 로봇... 걸음마 단계

주문방식은 간단하다. 앱을 열고 딜리서비스 서비스를 선택한 뒤 배달받을 정류장을 QR코드로 지정하면 끝이다. 현재는 캠퍼스 내 정류장 9군데에서 음식을 받을 수 있다.


앱으로 주문하고 로봇이 매장에 출발해서 정류장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은 10분 남짓. 로봇 배달 길을 함께 따라가 봤는데 어땠을까?



매장에서 주문을 받고 음식이 완성되면 요원이 등장한다. 시범운영이다 보니 속도나 오류에 대비하기 위해 오퍼레이터가 필요하다는 게 업체 설명이다. 과장을 좀 보태면 아이에게 첫 심부름을 시켜놓으면 이런 기분이 들지 않을까. '가다가 넘어지지 않을까' '잘 도착했나' ...


캠퍼스다보니 비교적 넓은 길이 많은데다 배달 로봇도 방지턱이나 커브 길도 곧잘 움직이긴 했지만 주변에 사람이 너무 많아지거나 돌발 변수에 대처가 미흡했다. 냇가에 내놓은 아이마냥 안심할 순 없었다.

배달로봇을 앞세우고 뒤따라가는 관리자와 동행하다보니 공원에 특이한 애완동물을 데리고 산책나온 기분도 들었다. 아직은 반자율주행.



로봇배달의 묘미는 방콕의 흐름을 깨지 않고 문 앞에서 음식만 받을 수 있다는 건데 '캠퍼스'라는 공간의 한계도 있고 시범 단계다 보니 지정된 장소에 나가서 기다려야 한다. 로봇이 도착하면 허리를 굽혀 앱으로 인증한 뒤 음식을 꺼낼 수 있다.

물론, 배달요원과 마주치지 않아도 되고 캠퍼스내 동아리방이나 기숙사 등에 정류장이 설치돼 운영 전 진행한 테스트기간(6주)동안 250건이 넘는 주문이 들어온 걸 보면 편리함을 인정받았다고 볼 수도 있다. 한 달뒤 주문건수를 기대해본다.

'자율주행' 대세라지만 현실에서 대체가능?

목적지까지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이 4차산업혁명에서 핵심 추세로 떠오르면서 대기업뿐만 아니라 IT 업체까지 로봇 개발 경쟁이 붙었다.

이미, 세계 최대 전자 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100%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로봇으로 배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계단을 능숙하게 오르진 못하지만 배송 기능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배달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해 규모나 품목도 다양해져 사람이 배달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보고서를 보면 2025년에는 음식 배달 가운데 1% 정도 로봇이 아예 담당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해외에서 이미 선점에 나선 '배달 로봇'은 차세대 물류 비즈니스의 방향임은 분명하다. 성공의 핵심은 배달원을 대체할만한 편의성과 안전성이다. 물론, 배달 로봇은 주행속도나 대부분 폭이 넓은 도로를 이동하다 보니 자율주행 차량보다 사고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 게다가, 로봇이 배달하게 되면 24시간, 365일 연중무휴로 달릴 수 있다. 인력 부족도 한 번에 해결 할 수 있다.

다만, 캠퍼스내 배달 오토바이와 사람, 로봇이 뒤섞이는 풍경을 상상하면 신기하다가도 배달로봇 센서 등이 오류났을 때를 상상하면 아찔하다. 업체에서도 가장 많이 신경을 쓰는 부분은 안전성이다. 다행인 건, 기업과 연구소 등이 협업해 기술은 계속 진화하고 있다.


현재, 국내 상황을 보면 도로교통법상 자율주행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에 대해 명확한 정의조차 없다 보니 일반 도로를 달리려면 규제 정비도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항상 그랬지만 새로운 시장을 열리려면 기술과 규제의 간격이 좁아져야만 불필요한 지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