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다음 날 사망률 10% 이상 증가…고령층 특히 위험!

입력 2019.12.03 (06:16) 수정 2019.12.03 (06: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겨울철이 되면 부고가 부쩍 늘어나는 것 같다는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시죠.

국내 연구진의 조사 결과 실제로 한파 다음날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사망률 증가는 한파 일주일 뒤까지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정훈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찬 바람이 매섭게 몰아친 오후.

공원에는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많은 어르신이 산책을 즐깁니다.

두꺼운 외투에 모자도 챙겼지만, 온몸이 움츠러드는 건 막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추운 날 어르신들이 추위에 충분히 대비하지 않을 경우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이 국내 6대 도시를 대상으로 한파 이후 사망률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한파 다음 날 모든 연령대의 사망률은 7.1%, 어르신의 사망률은 10% 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망률 증가는 한파 일주일 뒤까지도 이어졌습니다.

[이대근/국립기상과학원 연구사 : "한파의 경우에는 노약자 또는 만성 질환자의 경우 건강 영향이 더 강하고 길게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겨울철 전체 사망자 수도 다른 계절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최근 5년간 월별 사망자 수는 1월과 12월 순으로 많았는데, 여름철보다 최대 15% 정도 높은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소리 없는 재난인 한파에 대해서도 더욱 세심한 대비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강구현/한림대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특히나 추위에 노출되기 쉬운 머리나 목을 보호하기 위해서 모자나 목도리, 장갑을 착용하신 상태에서 체온을 조절하고 나가시는 게 좋습니다."]

이러한 개인적인 대책과 함께 경제적으로 어려운 취약 계층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도 병행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파 다음 날 사망률 10% 이상 증가…고령층 특히 위험!
    • 입력 2019-12-03 06:17:17
    • 수정2019-12-03 06:37:16
    뉴스광장 1부
[앵커]

겨울철이 되면 부고가 부쩍 늘어나는 것 같다는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시죠.

국내 연구진의 조사 결과 실제로 한파 다음날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사망률 증가는 한파 일주일 뒤까지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정훈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찬 바람이 매섭게 몰아친 오후.

공원에는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많은 어르신이 산책을 즐깁니다.

두꺼운 외투에 모자도 챙겼지만, 온몸이 움츠러드는 건 막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추운 날 어르신들이 추위에 충분히 대비하지 않을 경우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이 국내 6대 도시를 대상으로 한파 이후 사망률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한파 다음 날 모든 연령대의 사망률은 7.1%, 어르신의 사망률은 10% 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망률 증가는 한파 일주일 뒤까지도 이어졌습니다.

[이대근/국립기상과학원 연구사 : "한파의 경우에는 노약자 또는 만성 질환자의 경우 건강 영향이 더 강하고 길게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겨울철 전체 사망자 수도 다른 계절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최근 5년간 월별 사망자 수는 1월과 12월 순으로 많았는데, 여름철보다 최대 15% 정도 높은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소리 없는 재난인 한파에 대해서도 더욱 세심한 대비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강구현/한림대강남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특히나 추위에 노출되기 쉬운 머리나 목을 보호하기 위해서 모자나 목도리, 장갑을 착용하신 상태에서 체온을 조절하고 나가시는 게 좋습니다."]

이러한 개인적인 대책과 함께 경제적으로 어려운 취약 계층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도 병행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