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의 눈] ‘환자 못 받는다’ 바이패스 선언…함부로 못 한다

입력 2020.01.17 (21:30) 수정 2020.01.17 (21: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바이패스, 사전적으론 우회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의료계에선 위급한 환자 병원에 실려왔을 때, 의료진이나 병실이 부족해 환자를 받을 수 없다는 의미로 바이패스를 선언합니다.

지난해 아주대 권역 외상센터가 바이패스를 예순세 번 선언했다고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앞으로는 병원 측이 이렇게 바이패스를 함부로 선언할 수 없도록 응급의료를 강화하겠다고 보건당국이 대책을 내놨습니다.

송금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소 라인 연결해! 우리 의료진 좀 빨리 붙여줘 봐."]

지게차에 복부를 심하게 다쳐 외상센터로 실려온 이 환자.

결국 살았습니다.

이렇게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사를 다투는 중증응급환자가 적정시간 내 최종치료기관에 도착하는 비율은 2018년 52.3%.

이를 2022년까지 60%로 끌어올린다는 것이 정부의 목푭니다.

이를 위해, 119 상황실에 의료 전문인력을 보강합니다.

하루에 근무하는 의사를 17명 이상으로 늘려,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겠다는 겁니다.

이렇게 환자 상태를 파악한 뒤 적절한 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도록 '지역별 환자 이송지도'를 구축합니다.

적절한 시간 내 치료 가능한 병원으로 가능한 빨리 이송하기 위해섭니다.

'응급환자 분류기준'도 마련하기로했습니다.

비교적 증세가 중하지 않은 경증환자들이 외상센터에 몰리는 바람에, 진짜 위급한 환자들이 '바이패스'를 당하는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와 함께, 병원에서는 함부로 바이패스를 선언하지 않도록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고 총량도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는 병원의 판단에 맡겨뒀지만, 앞으론 보건당국이 들여다보고 관여하겠다는 겁니다.

또, 지역 응급의료센터를 확충하고 시,군,구별로 최소 1개 이상의 응급실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의 눈] ‘환자 못 받는다’ 바이패스 선언…함부로 못 한다
    • 입력 2020-01-17 21:31:49
    • 수정2020-01-17 21:36:02
    뉴스 9
[앵커]

바이패스, 사전적으론 우회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의료계에선 위급한 환자 병원에 실려왔을 때, 의료진이나 병실이 부족해 환자를 받을 수 없다는 의미로 바이패스를 선언합니다.

지난해 아주대 권역 외상센터가 바이패스를 예순세 번 선언했다고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앞으로는 병원 측이 이렇게 바이패스를 함부로 선언할 수 없도록 응급의료를 강화하겠다고 보건당국이 대책을 내놨습니다.

송금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소 라인 연결해! 우리 의료진 좀 빨리 붙여줘 봐."]

지게차에 복부를 심하게 다쳐 외상센터로 실려온 이 환자.

결국 살았습니다.

이렇게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사를 다투는 중증응급환자가 적정시간 내 최종치료기관에 도착하는 비율은 2018년 52.3%.

이를 2022년까지 60%로 끌어올린다는 것이 정부의 목푭니다.

이를 위해, 119 상황실에 의료 전문인력을 보강합니다.

하루에 근무하는 의사를 17명 이상으로 늘려,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겠다는 겁니다.

이렇게 환자 상태를 파악한 뒤 적절한 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도록 '지역별 환자 이송지도'를 구축합니다.

적절한 시간 내 치료 가능한 병원으로 가능한 빨리 이송하기 위해섭니다.

'응급환자 분류기준'도 마련하기로했습니다.

비교적 증세가 중하지 않은 경증환자들이 외상센터에 몰리는 바람에, 진짜 위급한 환자들이 '바이패스'를 당하는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와 함께, 병원에서는 함부로 바이패스를 선언하지 않도록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고 총량도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는 병원의 판단에 맡겨뒀지만, 앞으론 보건당국이 들여다보고 관여하겠다는 겁니다.

또, 지역 응급의료센터를 확충하고 시,군,구별로 최소 1개 이상의 응급실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