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의 눈] 빅데이터로도 놓친 ‘위기 가구’, 이웃이 찾아낸다

입력 2020.02.08 (21:29) 수정 2020.02.08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6년 전 송파구 세 모녀 사건 이후 정부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찾으려고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단수, 단전, 건강보험료 체납 정보 등을 모으고 분석해 문제가 있다 싶은 집을 지자체에 통보하는데요.

얼마 전부턴 아파트 관리비 연체 내역도 수집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렇게 연간 60여만 명을 찾아내지만, 빅데이터에만 의존해선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요즘은 이웃이나 카카오톡 같은 SNS를 이용해 대상자 가까이에서 밀착 발굴한다는데요.

이정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경기 김포의 아파트에서 일가족 3명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석 달째 관리비를 못 냈지만 위기가구로 분류되진 않았습니다.

공공임대아파트가 아니어서 관리비 연체 정보가 정부나 지자체에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음성변조 : "정보 제공 협조 요청에 대해서 안내 이런 게 활성화돼 있지 않아서, 저희도 그 부분을 잘 모르고…."]

정부는 위기가구를 찾으려고 단수, 단전은 물론 지난해부턴 관리비 연체 내역도 수집해왔습니다.

그러나 공공임대 아파트가 아니면 정보 제공 의무가 없어, 상당수는 아직 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수집된 정보 전달체계에도 문제는 있습니다.

정보를 분석해 생활고를 겪을 것으로 추정되는 집을 해당 지자체에 통보하지만, 두 달 간격으로 알리다 보니 그 사이에 이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한 해 빅데이터를 통해 발굴한 위기 가구는 63만 명.

그러나 데이터로 잡히지 않는, 숨은 위기가구도 있습니다.

특히 소득이 적지만 수급 대상이 못 되는 비수급 빈곤층 93만 명 가운데 이런 위기 가구가 많습니다.

각 지자체가 숨은 위기 가구를 어떻게 찾는지,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하는지 함께 따라가 봤습니다.

["선생님~"]

관리비가 수개월 밀렸지만 정부 빅데이터엔 빠져있던 집입니다.

빚 때문에 극단적 선택도 생각했던 김 씨는 이웃이 주민센터에 사연을 알린 뒤 상담을 통해 개인 파산 절차를 밟게 됐습니다.

데이터로는 보이지 않던 사연을, 이웃이 찾은 겁니다.

[유현식/서울 노원구 복지공무원 : "올해는 이래저래 잘 될 거 같아요. (네네, 고맙습니다.)"]

검침원 등이 들어있는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서 자연스럽게 이웃 상황을 공유하게 한 지자체도 있습니다.

[박사라/서울 서대문구 복지공무원 : "가스검침원, 그분들이 직접 가정을 방문하셨을 때 안타까운 가정이 있으면 저희한테 연락해주시고…."]

덕분에 이 지자체는 숨은 위기가구를 해마다 100여 곳 더 찾아냈습니다.

[신지명/보건복지부 복지정보기획과장 : "지자체 공무원들의 현장 전문성과 그리고 이웃들의 신고, 도움, 이런 것들이 같이 결합됐을 때 효과가 (있습니다)."]

현재 복지 공무원 1명이 맡는 복지 대상자는 연간 290여 명이나 됩니다.

빅데이터뿐 아니라 이웃에 대한 관심과 소통 확대가 위기가구 관리의 빈틈을 메우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의 눈] 빅데이터로도 놓친 ‘위기 가구’, 이웃이 찾아낸다
    • 입력 2020-02-08 21:33:04
    • 수정2020-02-08 21:59:05
    뉴스 9
[앵커]

6년 전 송파구 세 모녀 사건 이후 정부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찾으려고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단수, 단전, 건강보험료 체납 정보 등을 모으고 분석해 문제가 있다 싶은 집을 지자체에 통보하는데요.

얼마 전부턴 아파트 관리비 연체 내역도 수집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렇게 연간 60여만 명을 찾아내지만, 빅데이터에만 의존해선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요즘은 이웃이나 카카오톡 같은 SNS를 이용해 대상자 가까이에서 밀착 발굴한다는데요.

이정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경기 김포의 아파트에서 일가족 3명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석 달째 관리비를 못 냈지만 위기가구로 분류되진 않았습니다.

공공임대아파트가 아니어서 관리비 연체 정보가 정부나 지자체에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음성변조 : "정보 제공 협조 요청에 대해서 안내 이런 게 활성화돼 있지 않아서, 저희도 그 부분을 잘 모르고…."]

정부는 위기가구를 찾으려고 단수, 단전은 물론 지난해부턴 관리비 연체 내역도 수집해왔습니다.

그러나 공공임대 아파트가 아니면 정보 제공 의무가 없어, 상당수는 아직 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수집된 정보 전달체계에도 문제는 있습니다.

정보를 분석해 생활고를 겪을 것으로 추정되는 집을 해당 지자체에 통보하지만, 두 달 간격으로 알리다 보니 그 사이에 이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한 해 빅데이터를 통해 발굴한 위기 가구는 63만 명.

그러나 데이터로 잡히지 않는, 숨은 위기가구도 있습니다.

특히 소득이 적지만 수급 대상이 못 되는 비수급 빈곤층 93만 명 가운데 이런 위기 가구가 많습니다.

각 지자체가 숨은 위기 가구를 어떻게 찾는지,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하는지 함께 따라가 봤습니다.

["선생님~"]

관리비가 수개월 밀렸지만 정부 빅데이터엔 빠져있던 집입니다.

빚 때문에 극단적 선택도 생각했던 김 씨는 이웃이 주민센터에 사연을 알린 뒤 상담을 통해 개인 파산 절차를 밟게 됐습니다.

데이터로는 보이지 않던 사연을, 이웃이 찾은 겁니다.

[유현식/서울 노원구 복지공무원 : "올해는 이래저래 잘 될 거 같아요. (네네, 고맙습니다.)"]

검침원 등이 들어있는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서 자연스럽게 이웃 상황을 공유하게 한 지자체도 있습니다.

[박사라/서울 서대문구 복지공무원 : "가스검침원, 그분들이 직접 가정을 방문하셨을 때 안타까운 가정이 있으면 저희한테 연락해주시고…."]

덕분에 이 지자체는 숨은 위기가구를 해마다 100여 곳 더 찾아냈습니다.

[신지명/보건복지부 복지정보기획과장 : "지자체 공무원들의 현장 전문성과 그리고 이웃들의 신고, 도움, 이런 것들이 같이 결합됐을 때 효과가 (있습니다)."]

현재 복지 공무원 1명이 맡는 복지 대상자는 연간 290여 명이나 됩니다.

빅데이터뿐 아니라 이웃에 대한 관심과 소통 확대가 위기가구 관리의 빈틈을 메우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