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0조 규모 코로나19 예산안 서명…미 동부까지 확산
입력 2020.03.07 (06:05)
수정 2020.03.07 (08: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의회가 승인한 10조 정도의 긴급 예산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요청한 규모의 3배가 넘는데, 그만큼 미국도 코로나19 사태를 심각히 여기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도 워싱턴 DC와 가까운 메릴랜드주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면서 이제 서부에서 동부지역으로 확산하는 양상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워싱턴 서지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트럼프 대통령의 첫 공식 일정은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긴급 예산 법안 서명이었습니다.
의회가 승인한 예산은 83억 달러, 우리 돈 9조 8천억 원 정돕니다.
[트럼프/美 대통령 : "So we're signing the 8.3 billion. I asked for two and a half and I got 8.3. And I'll take it."]
긴급 예산은 백신·치료제 개발, 코로나19 진단 등에 사용됩니다.
배석한 에이자 복지부 장관은 미국 내 코로나19 검사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앨릭스 에이자/美 보건복지부 장관 : "The private contractor working with the CDC has already shipped enough tests for700,000. Next week, we will keep ramping up production as many as 4million test."]
미국이 긴급 예산 편성에, 코로나19 진단을 서두르는 이유는 확산세가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 미국 내 코로나19 확진자는 250여 명, 사망자는 14명에 이릅니다.
주로 서부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현지시간 6일, 메릴랜드주에서도 3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비상사태가 선포됐습니다.
메릴랜드주에서 워싱턴 DC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많아 수도까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 DC에는 미 행정 부처와 국제통화기금 등 주요 기관이 집중되어 있는 만큼, 이곳까지 번질 경우 여파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통화기금 등 주요 기관에선 화상 회의, 재택근무 등 이미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대비한 태세 점검을 마쳤다고 워싱턴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코로나19 팩트체크’ 제대로 알아야 이긴다 바로가기http://news.kbs.co.kr/issue/IssueView.do?icd=19589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의회가 승인한 10조 정도의 긴급 예산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요청한 규모의 3배가 넘는데, 그만큼 미국도 코로나19 사태를 심각히 여기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도 워싱턴 DC와 가까운 메릴랜드주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면서 이제 서부에서 동부지역으로 확산하는 양상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워싱턴 서지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트럼프 대통령의 첫 공식 일정은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긴급 예산 법안 서명이었습니다.
의회가 승인한 예산은 83억 달러, 우리 돈 9조 8천억 원 정돕니다.
[트럼프/美 대통령 : "So we're signing the 8.3 billion. I asked for two and a half and I got 8.3. And I'll take it."]
긴급 예산은 백신·치료제 개발, 코로나19 진단 등에 사용됩니다.
배석한 에이자 복지부 장관은 미국 내 코로나19 검사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앨릭스 에이자/美 보건복지부 장관 : "The private contractor working with the CDC has already shipped enough tests for700,000. Next week, we will keep ramping up production as many as 4million test."]
미국이 긴급 예산 편성에, 코로나19 진단을 서두르는 이유는 확산세가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 미국 내 코로나19 확진자는 250여 명, 사망자는 14명에 이릅니다.
주로 서부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현지시간 6일, 메릴랜드주에서도 3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비상사태가 선포됐습니다.
메릴랜드주에서 워싱턴 DC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많아 수도까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 DC에는 미 행정 부처와 국제통화기금 등 주요 기관이 집중되어 있는 만큼, 이곳까지 번질 경우 여파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통화기금 등 주요 기관에선 화상 회의, 재택근무 등 이미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대비한 태세 점검을 마쳤다고 워싱턴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10조 규모 코로나19 예산안 서명…미 동부까지 확산
-
- 입력 2020-03-07 06:08:24
- 수정2020-03-07 08:06:53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의회가 승인한 10조 정도의 긴급 예산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요청한 규모의 3배가 넘는데, 그만큼 미국도 코로나19 사태를 심각히 여기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도 워싱턴 DC와 가까운 메릴랜드주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면서 이제 서부에서 동부지역으로 확산하는 양상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워싱턴 서지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트럼프 대통령의 첫 공식 일정은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긴급 예산 법안 서명이었습니다.
의회가 승인한 예산은 83억 달러, 우리 돈 9조 8천억 원 정돕니다.
[트럼프/美 대통령 : "So we're signing the 8.3 billion. I asked for two and a half and I got 8.3. And I'll take it."]
긴급 예산은 백신·치료제 개발, 코로나19 진단 등에 사용됩니다.
배석한 에이자 복지부 장관은 미국 내 코로나19 검사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앨릭스 에이자/美 보건복지부 장관 : "The private contractor working with the CDC has already shipped enough tests for700,000. Next week, we will keep ramping up production as many as 4million test."]
미국이 긴급 예산 편성에, 코로나19 진단을 서두르는 이유는 확산세가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 미국 내 코로나19 확진자는 250여 명, 사망자는 14명에 이릅니다.
주로 서부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현지시간 6일, 메릴랜드주에서도 3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비상사태가 선포됐습니다.
메릴랜드주에서 워싱턴 DC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많아 수도까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 DC에는 미 행정 부처와 국제통화기금 등 주요 기관이 집중되어 있는 만큼, 이곳까지 번질 경우 여파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통화기금 등 주요 기관에선 화상 회의, 재택근무 등 이미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대비한 태세 점검을 마쳤다고 워싱턴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코로나19 팩트체크’ 제대로 알아야 이긴다 바로가기http://news.kbs.co.kr/issue/IssueView.do?icd=19589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의회가 승인한 10조 정도의 긴급 예산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요청한 규모의 3배가 넘는데, 그만큼 미국도 코로나19 사태를 심각히 여기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도 워싱턴 DC와 가까운 메릴랜드주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면서 이제 서부에서 동부지역으로 확산하는 양상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워싱턴 서지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트럼프 대통령의 첫 공식 일정은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긴급 예산 법안 서명이었습니다.
의회가 승인한 예산은 83억 달러, 우리 돈 9조 8천억 원 정돕니다.
[트럼프/美 대통령 : "So we're signing the 8.3 billion. I asked for two and a half and I got 8.3. And I'll take it."]
긴급 예산은 백신·치료제 개발, 코로나19 진단 등에 사용됩니다.
배석한 에이자 복지부 장관은 미국 내 코로나19 검사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앨릭스 에이자/美 보건복지부 장관 : "The private contractor working with the CDC has already shipped enough tests for700,000. Next week, we will keep ramping up production as many as 4million test."]
미국이 긴급 예산 편성에, 코로나19 진단을 서두르는 이유는 확산세가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 미국 내 코로나19 확진자는 250여 명, 사망자는 14명에 이릅니다.
주로 서부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현지시간 6일, 메릴랜드주에서도 3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비상사태가 선포됐습니다.
메릴랜드주에서 워싱턴 DC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많아 수도까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 DC에는 미 행정 부처와 국제통화기금 등 주요 기관이 집중되어 있는 만큼, 이곳까지 번질 경우 여파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통화기금 등 주요 기관에선 화상 회의, 재택근무 등 이미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대비한 태세 점검을 마쳤다고 워싱턴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
서지영 기자 sjy@kbs.co.kr
서지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