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대유행 ‘팬데믹’ 주저하던 WHO, 114개국·12만명 감염에 ‘최고 경보’
입력 2020.03.12 (02:42)
수정 2020.03.12 (04: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11일(현지시간) 코로나19에 대해 전염병의 최고 경보 단계인 세계적 대유행 '팬데믹'을 선포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감염자가 걷잡을 수 없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12월 31일 중국에서 첫 코로나 19 발병이 보고된 이후 불과 70여 일 동안 확진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12만 명에 육박하고 피해 나라도 110개국이 넘어섰습니다.
특히 이 같은 피해가 향후 유럽과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할 것으로 전망되자 더는 팬데믹 선포를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11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최근 2주 사이 중국 외에서 발생한 코로나 19가 13배 증가하고, 피해국도 3배 늘었다"면서 "현재 114개국에 11만 8천여 건이 접수돼 4천291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며칠, 몇 주 동안 우리는 환자, 사망자, 피해국의 수가 훨씬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우려했습니다.
다만 WHO는 코로나 19가 여전히 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11만 8천여 건의 확진 사례 가운데 90% 이상은 4개 나라에서 발생했고, 이 가운데 중국과 한국에서는 (코로나 19가) 상당한 수준의 감소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81개국은 어떠한 사례도 보고하지 않았고, 57개국은 10건 이하의 사례를 보고했다"며 "모든 나라는 이번 팬데믹의 진로를 여전히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방역, 공중 보건, 정치적 리더십, 사람들" 등 네 가지 단어가 팬데믹보다 더 중요하다면서 각국에 적극적인 대처와 연대를 주문했습니다.
WHO는 현재까지 1968년 홍콩 독감과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등 두 번 팬데믹을 선포했습니다.
[사진 출처 : WHO 제공]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코로나19 팩트체크’ 제대로 알아야 이긴다 바로가기http://news.kbs.co.kr/issue/IssueView.do?icd=19589
지난해 12월 31일 중국에서 첫 코로나 19 발병이 보고된 이후 불과 70여 일 동안 확진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12만 명에 육박하고 피해 나라도 110개국이 넘어섰습니다.
특히 이 같은 피해가 향후 유럽과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할 것으로 전망되자 더는 팬데믹 선포를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11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최근 2주 사이 중국 외에서 발생한 코로나 19가 13배 증가하고, 피해국도 3배 늘었다"면서 "현재 114개국에 11만 8천여 건이 접수돼 4천291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며칠, 몇 주 동안 우리는 환자, 사망자, 피해국의 수가 훨씬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우려했습니다.
다만 WHO는 코로나 19가 여전히 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11만 8천여 건의 확진 사례 가운데 90% 이상은 4개 나라에서 발생했고, 이 가운데 중국과 한국에서는 (코로나 19가) 상당한 수준의 감소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81개국은 어떠한 사례도 보고하지 않았고, 57개국은 10건 이하의 사례를 보고했다"며 "모든 나라는 이번 팬데믹의 진로를 여전히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방역, 공중 보건, 정치적 리더십, 사람들" 등 네 가지 단어가 팬데믹보다 더 중요하다면서 각국에 적극적인 대처와 연대를 주문했습니다.
WHO는 현재까지 1968년 홍콩 독감과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등 두 번 팬데믹을 선포했습니다.
[사진 출처 : WHO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적 대유행 ‘팬데믹’ 주저하던 WHO, 114개국·12만명 감염에 ‘최고 경보’
-
- 입력 2020-03-12 02:42:52
- 수정2020-03-12 04:10:07

세계보건기구(WHO)가 11일(현지시간) 코로나19에 대해 전염병의 최고 경보 단계인 세계적 대유행 '팬데믹'을 선포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감염자가 걷잡을 수 없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12월 31일 중국에서 첫 코로나 19 발병이 보고된 이후 불과 70여 일 동안 확진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12만 명에 육박하고 피해 나라도 110개국이 넘어섰습니다.
특히 이 같은 피해가 향후 유럽과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할 것으로 전망되자 더는 팬데믹 선포를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11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최근 2주 사이 중국 외에서 발생한 코로나 19가 13배 증가하고, 피해국도 3배 늘었다"면서 "현재 114개국에 11만 8천여 건이 접수돼 4천291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며칠, 몇 주 동안 우리는 환자, 사망자, 피해국의 수가 훨씬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우려했습니다.
다만 WHO는 코로나 19가 여전히 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11만 8천여 건의 확진 사례 가운데 90% 이상은 4개 나라에서 발생했고, 이 가운데 중국과 한국에서는 (코로나 19가) 상당한 수준의 감소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81개국은 어떠한 사례도 보고하지 않았고, 57개국은 10건 이하의 사례를 보고했다"며 "모든 나라는 이번 팬데믹의 진로를 여전히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방역, 공중 보건, 정치적 리더십, 사람들" 등 네 가지 단어가 팬데믹보다 더 중요하다면서 각국에 적극적인 대처와 연대를 주문했습니다.
WHO는 현재까지 1968년 홍콩 독감과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등 두 번 팬데믹을 선포했습니다.
[사진 출처 : WHO 제공]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코로나19 팩트체크’ 제대로 알아야 이긴다 바로가기http://news.kbs.co.kr/issue/IssueView.do?icd=19589
지난해 12월 31일 중국에서 첫 코로나 19 발병이 보고된 이후 불과 70여 일 동안 확진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12만 명에 육박하고 피해 나라도 110개국이 넘어섰습니다.
특히 이 같은 피해가 향후 유럽과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할 것으로 전망되자 더는 팬데믹 선포를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11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최근 2주 사이 중국 외에서 발생한 코로나 19가 13배 증가하고, 피해국도 3배 늘었다"면서 "현재 114개국에 11만 8천여 건이 접수돼 4천291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며칠, 몇 주 동안 우리는 환자, 사망자, 피해국의 수가 훨씬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우려했습니다.
다만 WHO는 코로나 19가 여전히 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11만 8천여 건의 확진 사례 가운데 90% 이상은 4개 나라에서 발생했고, 이 가운데 중국과 한국에서는 (코로나 19가) 상당한 수준의 감소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81개국은 어떠한 사례도 보고하지 않았고, 57개국은 10건 이하의 사례를 보고했다"며 "모든 나라는 이번 팬데믹의 진로를 여전히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방역, 공중 보건, 정치적 리더십, 사람들" 등 네 가지 단어가 팬데믹보다 더 중요하다면서 각국에 적극적인 대처와 연대를 주문했습니다.
WHO는 현재까지 1968년 홍콩 독감과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등 두 번 팬데믹을 선포했습니다.
[사진 출처 : WHO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