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텔레그램”…성범죄 도피처 오명에도 ‘철통 보안’?

입력 2020.03.26 (19:31) 수정 2020.03.26 (21: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텔레그램 탈퇴를 인증합니다' 

어제부터 인터넷에는 텔레그램을 탈퇴했다는 인증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그동안 성착취물 유포의 온상이 돼 온 텔레그램에도 책임이 있다며, 수사에 협조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나서라는 겁니다. 

문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터넷에서 텔레그램 탈퇴 운동이 벌어진 건 어젯밤 9시부터입니다. 

'텔레그램 탈퇴총공 인증합니다' 인터넷에는 이렇게 텔레그램 탈퇴를 인증하는 글들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습니다.  

탈퇴 사유를 적는 칸에는 '수사 협조를 요청한다'는 내용을 영문으로 적었습니다. 

텔레그램 운영자에게 성착취물 유포사건에 협조하라는 요청입니다. 

N번 방 가담자들이 텔레그램의 익명성과 보안성에 기대 일을 벌인 데다, 이런 특징 때문에 참가자들을 찾기 힘든 만큼, 운영자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해지/대학생 : "(그동안) 방관을 해 왔던 게 있지 않나. 많은 사람들이 신고를 했음에도, 문제의식을 느꼈음에도. 지금이라도 적극적으로 수사에 협조하는 태도들이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텔레그램 측은 아직 한국 경찰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공식적으로 협조하지 않고 있습니다. 

본사 위치조차 알려져있지 않고, 각국 정부의 요청에도 쉽게 응답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동안 인터넷의 불법 착취물 계정을 신고해 플랫폼에서 내리도록 하는 운동을 해 온 시민단체도 텔레그램의 폐쇄성을 지적합니다. 

['리셋' 팀 관계자/성착취물 신고 프로젝트팀/음성변조 : "텔레그램 측에서 어떤 신고 기능에 대한 피드백도 없었고. 방이 폐쇄가 된다든가 이용자 계정이 활발하게 제재가 된다든가 그런 식의 반응이 없었고요."] 

플랫폼 사업자들이 디지털 성범죄를 방관했다는 책임론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사업자들과 페이스북과 구글 등 일부 해외 플랫폼은 우리 정부의 협조 요청 에 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응답하라 텔레그램”…성범죄 도피처 오명에도 ‘철통 보안’?
    • 입력 2020-03-26 19:31:03
    • 수정2020-03-26 21:19:30
    뉴스7(창원)
[앵커] '텔레그램 탈퇴를 인증합니다'  어제부터 인터넷에는 텔레그램을 탈퇴했다는 인증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그동안 성착취물 유포의 온상이 돼 온 텔레그램에도 책임이 있다며, 수사에 협조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나서라는 겁니다.  문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터넷에서 텔레그램 탈퇴 운동이 벌어진 건 어젯밤 9시부터입니다.  '텔레그램 탈퇴총공 인증합니다' 인터넷에는 이렇게 텔레그램 탈퇴를 인증하는 글들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습니다.   탈퇴 사유를 적는 칸에는 '수사 협조를 요청한다'는 내용을 영문으로 적었습니다.  텔레그램 운영자에게 성착취물 유포사건에 협조하라는 요청입니다.  N번 방 가담자들이 텔레그램의 익명성과 보안성에 기대 일을 벌인 데다, 이런 특징 때문에 참가자들을 찾기 힘든 만큼, 운영자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해지/대학생 : "(그동안) 방관을 해 왔던 게 있지 않나. 많은 사람들이 신고를 했음에도, 문제의식을 느꼈음에도. 지금이라도 적극적으로 수사에 협조하는 태도들이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텔레그램 측은 아직 한국 경찰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공식적으로 협조하지 않고 있습니다.  본사 위치조차 알려져있지 않고, 각국 정부의 요청에도 쉽게 응답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동안 인터넷의 불법 착취물 계정을 신고해 플랫폼에서 내리도록 하는 운동을 해 온 시민단체도 텔레그램의 폐쇄성을 지적합니다.  ['리셋' 팀 관계자/성착취물 신고 프로젝트팀/음성변조 : "텔레그램 측에서 어떤 신고 기능에 대한 피드백도 없었고. 방이 폐쇄가 된다든가 이용자 계정이 활발하게 제재가 된다든가 그런 식의 반응이 없었고요."]  플랫폼 사업자들이 디지털 성범죄를 방관했다는 책임론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사업자들과 페이스북과 구글 등 일부 해외 플랫폼은 우리 정부의 협조 요청 에 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