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기’ 수출기업에 36조 투입…비대면 수출 지원

입력 2020.04.08 (14:57) 수정 2020.04.08 (17: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수출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가 수출 기업에 36조 원 이상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오늘(8일) 제4차 비상경제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수출 활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수출 보증과 보험을 감액 없이 만기 연장하는 데 30조 원이 쓰입니다. 또, 해외 경기 부양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하는 데 정책금융 5조 원 이상을 투입합니다.

수출채권의 조기 현금화와 납품계약기반 제작자금, 수출안정자금 보증 등 유동성 지원을 위해서도 9천억 원이 지원됩니다.

지원받기 어려웠던 기업은 심사를 통해 보험·보증을 받을 수 있게 문턱을 낮췄습니다. 또 온라인 무역보험·보증을 도입하고 심사 기간과 서류를 줄이도록 했습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비대면 수출 전면 지원체재를 가동합니다.

국내외 화상상담 인프라를 200여 곳 확충해, 오프라인 바이어 매칭 과정을 온라인상에서 구현해 비대면 상담·계약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또, '온라인 코리아 전시회'를 50회 개최하고 상시 전시관 10개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또, 중소·중견기업의 출장 수요를 맞추기 위해 특별전세기를 운항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고 국내 핵심 생산설비 가동에 필수적인 해외 엔지니어의 입국 또한 신속 지원할 방침입니다

물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중소기업의 항공 운임 상승분을 50% 보조합니다. 또 한·중·일 선박 운항을 확대하고 미주·유럽 해운 노선을 증편하면서 보관·포장 등 현지 비용은 70%를 국고로 보조합니다.

정부는 의료용품·위생용품·건강식품·홈쿠킹·홈뷰티·청정가전·디지털장비 등 7대 상품군을 수출 패키지로 지원하고 온라인 콘텐츠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세계적으로 관심을 끄는 한국산 진단키트는 검체 매칭을 확대하고 긴급사용 승인, 물류·통관·마케팅 지원, 특례보증 등을 통해 국내 생산과 수출을 북돋울 방침입니다.

코로나19가 글로벌 공급망에 주는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338개 품목을 점검하고 있으며 이중 자동차·반도체 등 6대 업종은 상시점검·관리 중입니다.

정부 R&D 사업을 수행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최대 2조2천억 원을 지원하고 민간 부담 비율은 최대 35%에서 20%로 낮춥니다. 기존 인력 인건비도 정부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위기’ 수출기업에 36조 투입…비대면 수출 지원
    • 입력 2020-04-08 14:57:57
    • 수정2020-04-08 17:02:35
    경제
코로나19가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수출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가 수출 기업에 36조 원 이상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오늘(8일) 제4차 비상경제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수출 활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수출 보증과 보험을 감액 없이 만기 연장하는 데 30조 원이 쓰입니다. 또, 해외 경기 부양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하는 데 정책금융 5조 원 이상을 투입합니다.

수출채권의 조기 현금화와 납품계약기반 제작자금, 수출안정자금 보증 등 유동성 지원을 위해서도 9천억 원이 지원됩니다.

지원받기 어려웠던 기업은 심사를 통해 보험·보증을 받을 수 있게 문턱을 낮췄습니다. 또 온라인 무역보험·보증을 도입하고 심사 기간과 서류를 줄이도록 했습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비대면 수출 전면 지원체재를 가동합니다.

국내외 화상상담 인프라를 200여 곳 확충해, 오프라인 바이어 매칭 과정을 온라인상에서 구현해 비대면 상담·계약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또, '온라인 코리아 전시회'를 50회 개최하고 상시 전시관 10개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또, 중소·중견기업의 출장 수요를 맞추기 위해 특별전세기를 운항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고 국내 핵심 생산설비 가동에 필수적인 해외 엔지니어의 입국 또한 신속 지원할 방침입니다

물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중소기업의 항공 운임 상승분을 50% 보조합니다. 또 한·중·일 선박 운항을 확대하고 미주·유럽 해운 노선을 증편하면서 보관·포장 등 현지 비용은 70%를 국고로 보조합니다.

정부는 의료용품·위생용품·건강식품·홈쿠킹·홈뷰티·청정가전·디지털장비 등 7대 상품군을 수출 패키지로 지원하고 온라인 콘텐츠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세계적으로 관심을 끄는 한국산 진단키트는 검체 매칭을 확대하고 긴급사용 승인, 물류·통관·마케팅 지원, 특례보증 등을 통해 국내 생산과 수출을 북돋울 방침입니다.

코로나19가 글로벌 공급망에 주는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338개 품목을 점검하고 있으며 이중 자동차·반도체 등 6대 업종은 상시점검·관리 중입니다.

정부 R&D 사업을 수행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최대 2조2천억 원을 지원하고 민간 부담 비율은 최대 35%에서 20%로 낮춥니다. 기존 인력 인건비도 정부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