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전문가 “코로나19 대책 없으면 최소 40만 명 사망”

입력 2020.04.15 (13:46) 수정 2020.04.15 (14: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외출 자제 등 코로나19 감염 방지 대책을 전혀 실시하지 않을 경우 40만 명 넘게 사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NHK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니시우라 히로시(西浦博) 홋카이도(北海道)대학 교수는 오늘(15일) "코로나19 확대 방지 대책을 전혀 시행하지 않을 경우 감염이 시작되고 두 달 뒤 정점을 맞게 된다"면서 "이 경우 일본 국내에서 15세 이상, 약 85만 명의 중증 환자가 나오고 이 가운데 절반인 40만 명 이상이 사망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일본 후생노동성 내에 설치된 '코로나19 클러스트(집단 감염) 대책반' 일원으로, 정부 대책을 조언하는 전문가 회의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니시우라 교수는 먼저 코로나19 감염자 한 명이 옮기는 평균 인원수는 유럽 수준인 2.5명을 기준으로 계산했습니다.

이어 "감염 방지 대책이 전무할 경우 인공호흡기나 중환자실(ICU)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환자는 15세~64세에 20만 1,301명, 65세 이상은 65만 2,066명으로 각각 추산됐다"면서 "치사율은 성인 기준 0.15%, 고령자로 1%라고 상정하면 중증 환자의 절반(49%)인 약 42만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예측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다만 "이런 추산은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대책이 취해지고 있는 현 상황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감염 위험을 널리 알리기 위해 공표했다"면서 "일본 정부가 사람 간 접촉을 최대 80% 줄이겠다고 하는데 아직 통상적인 출근이 계속되는 상황이 걱정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사람과 사람이 2~3차례 대화를 주고받거나 함께 물건을 이용하는 것도 접촉에 포함되고, 2m 이내에서 30분 이상 접촉할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면서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가능한 피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지난 7일 도쿄도(東京都) 등 7개 광역지역에 코로나19 긴급사태를 선포하고 전문가 의견을 근거로 사람 간 접촉을 평소보다 70~80% 줄여야 사태를 수습할 수 있다며 대외활동 자제를 요청했습니다.

당시 니시우라 교수는 "유행 시작 한 달 후의 10만 명 당 환자 수가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하루에 6천 100명이 새로 생기고, 접촉을 20% 줄일 경우는 4천 900여 명이 추가될 것"이라며 "반면에 평소와 비교해 80%를 줄이면 신규 환자 수가 1천 200여 명에 그쳐 수습 국면에 접어들 것"이란 예측 결과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한편 이동통신회사인 NTT도코모가 휴대전화 기지국 정보를 토대로 인구 이동을 분석한 결과, 긴급사태가 선언된 7개 도부현(都府県) 중심부에서 코로나19 감염 확대 전에 비교해 인파가 40%~70%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어제(14일) 오후 3시를 기준으로 도쿄 시부야(渋谷)역 주변 인파는 감염 확대 전인 올해 1월 중순부터 2월 중순의 평일에 비해 63.6% 감소했고, 오사카(大阪)역 주변에서는 감염 확대 전과 비교해 70.5%의 감소세를 각각 보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전문가 “코로나19 대책 없으면 최소 40만 명 사망”
    • 입력 2020-04-15 13:46:33
    • 수정2020-04-15 14:13:31
    국제
일본 정부가 외출 자제 등 코로나19 감염 방지 대책을 전혀 실시하지 않을 경우 40만 명 넘게 사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NHK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니시우라 히로시(西浦博) 홋카이도(北海道)대학 교수는 오늘(15일) "코로나19 확대 방지 대책을 전혀 시행하지 않을 경우 감염이 시작되고 두 달 뒤 정점을 맞게 된다"면서 "이 경우 일본 국내에서 15세 이상, 약 85만 명의 중증 환자가 나오고 이 가운데 절반인 40만 명 이상이 사망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일본 후생노동성 내에 설치된 '코로나19 클러스트(집단 감염) 대책반' 일원으로, 정부 대책을 조언하는 전문가 회의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니시우라 교수는 먼저 코로나19 감염자 한 명이 옮기는 평균 인원수는 유럽 수준인 2.5명을 기준으로 계산했습니다.

이어 "감염 방지 대책이 전무할 경우 인공호흡기나 중환자실(ICU)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환자는 15세~64세에 20만 1,301명, 65세 이상은 65만 2,066명으로 각각 추산됐다"면서 "치사율은 성인 기준 0.15%, 고령자로 1%라고 상정하면 중증 환자의 절반(49%)인 약 42만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예측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다만 "이런 추산은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대책이 취해지고 있는 현 상황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감염 위험을 널리 알리기 위해 공표했다"면서 "일본 정부가 사람 간 접촉을 최대 80% 줄이겠다고 하는데 아직 통상적인 출근이 계속되는 상황이 걱정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사람과 사람이 2~3차례 대화를 주고받거나 함께 물건을 이용하는 것도 접촉에 포함되고, 2m 이내에서 30분 이상 접촉할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면서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가능한 피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지난 7일 도쿄도(東京都) 등 7개 광역지역에 코로나19 긴급사태를 선포하고 전문가 의견을 근거로 사람 간 접촉을 평소보다 70~80% 줄여야 사태를 수습할 수 있다며 대외활동 자제를 요청했습니다.

당시 니시우라 교수는 "유행 시작 한 달 후의 10만 명 당 환자 수가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하루에 6천 100명이 새로 생기고, 접촉을 20% 줄일 경우는 4천 900여 명이 추가될 것"이라며 "반면에 평소와 비교해 80%를 줄이면 신규 환자 수가 1천 200여 명에 그쳐 수습 국면에 접어들 것"이란 예측 결과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한편 이동통신회사인 NTT도코모가 휴대전화 기지국 정보를 토대로 인구 이동을 분석한 결과, 긴급사태가 선언된 7개 도부현(都府県) 중심부에서 코로나19 감염 확대 전에 비교해 인파가 40%~70%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어제(14일) 오후 3시를 기준으로 도쿄 시부야(渋谷)역 주변 인파는 감염 확대 전인 올해 1월 중순부터 2월 중순의 평일에 비해 63.6% 감소했고, 오사카(大阪)역 주변에서는 감염 확대 전과 비교해 70.5%의 감소세를 각각 보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