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빌리티’로 상수원 보호구역 갈등
입력 2020.05.20 (20:18)
수정 2020.05.20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20일) 횡성에서는 '이모빌리티 지원센터 건립 사업' 주민 공청회가 열릴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주민들의 반발로 결국 무산됐습니다.
이번 설명회 어떻게 진행됐는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이현기 기자, 오늘 주민 설명회 어떻게 된 겁니까?
[기자]
네, 방금 말씀하신대로 오늘 공청회는 무산이 됐습니다.
이 사업에 대해 횡성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이미 설명회 개최 전부터 어느 정도 예상이 됐던 일인데요.
조금 전에 공청회 현장 화면이 들어왔습니다.
화면 보면서 자세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지금 보시는 화면은 '횡성 이모빌리티 지원센터 구축 사업' 공청회장입니다.
횡성문화원에 마련이 됐는데요.
이 자리에는 최문순 강원도지사와 횡성군수, 그리고 횡성군 각급사회단체 등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공청회는 주민들이 반발하면서, 시작도 못했습니다.
강원도 공무원들이 나서서 주민들을 달래보려 했지만, 끝내 설득에 실패하면서 결국 이번 공청회는 열리지 못했습니다.
[앵커]
'이모빌리티 지원센터' 이름만 봐선 뭔지 잘 모르겠는데요.
어떤 사업인가요?
[기자]
네, 간단히 말씀드리면,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 시설입니다.
이모빌리티란 전기를 뜻하는 영어 단어, 일렉트로닉의 첫자인 E자와 이동성을 뜻하는 영어 모빌리티를 합해 만든 말입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의 역점 사업인데요.
강원도는 2022년까지 국비 240억 원을 포함해, 모두 450억 원을 투자해 횡성에 초소형 전기자동차 시험과 인증을 위한 지원센터를 건립할 계획입니다.
[앵커]
말씀을 들어보면, 지역을 위해선 좋은 사업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횡성 주민들은 왜 반대하는 겁니까?
[기자]
네, 횡성 주민들이 이 사업 자체에 반대하는 건 아닙니다.
문제는 장손데요.
강원도는 횡성군 묵계리에 있는 옛 탄약고 자리를 센터 건립 예정지로 골랐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지원센터를 묵계리 탄약고 자리에 짓는 건 절대 안된다며 반대하고 나섰고, 결국 공청회가 무산된 겁니다.
[앵커]
주민들이 이렇게까지 반대하는 이유는 뭔가요?
[기자]
네, 사연이 있는데요.
근본적인 갈등의 원인은 바로, 횡성군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입니다.
횡성군은 30년 넘는 세월 동안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묶여, 개발 제한을 받아왔습니다.
이 때문에, 횡성군과 주민들은 수년 동안 정부에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를 요구해 오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최근에야 해제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주민들의 지역 개발에 대한 기대가 무르익고 있습니다.
그런데, 해제 가능성이 언급되는 땅 가운데 하나가 묵계리 탄약고 턴데요.
강원도가 지원센터를 짓겠다는 자립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이 자리에는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산업단지처럼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시설을 지어야지 이런 지원센터를 지어선 안된다고 반대하고 나선 겁니다.
특히, 이모빌리티 센터같은 연구시설의 경우, 상수원 보호구역을 해제하지 않고도 들어설 수 있어, 지역 숙원 상업인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다고 크게 걱정하고 있습니다.
오늘(20일) 횡성에서는 '이모빌리티 지원센터 건립 사업' 주민 공청회가 열릴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주민들의 반발로 결국 무산됐습니다.
이번 설명회 어떻게 진행됐는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이현기 기자, 오늘 주민 설명회 어떻게 된 겁니까?
[기자]
네, 방금 말씀하신대로 오늘 공청회는 무산이 됐습니다.
이 사업에 대해 횡성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이미 설명회 개최 전부터 어느 정도 예상이 됐던 일인데요.
조금 전에 공청회 현장 화면이 들어왔습니다.
화면 보면서 자세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지금 보시는 화면은 '횡성 이모빌리티 지원센터 구축 사업' 공청회장입니다.
횡성문화원에 마련이 됐는데요.
이 자리에는 최문순 강원도지사와 횡성군수, 그리고 횡성군 각급사회단체 등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공청회는 주민들이 반발하면서, 시작도 못했습니다.
강원도 공무원들이 나서서 주민들을 달래보려 했지만, 끝내 설득에 실패하면서 결국 이번 공청회는 열리지 못했습니다.
[앵커]
'이모빌리티 지원센터' 이름만 봐선 뭔지 잘 모르겠는데요.
어떤 사업인가요?
[기자]
네, 간단히 말씀드리면,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 시설입니다.
이모빌리티란 전기를 뜻하는 영어 단어, 일렉트로닉의 첫자인 E자와 이동성을 뜻하는 영어 모빌리티를 합해 만든 말입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의 역점 사업인데요.
강원도는 2022년까지 국비 240억 원을 포함해, 모두 450억 원을 투자해 횡성에 초소형 전기자동차 시험과 인증을 위한 지원센터를 건립할 계획입니다.
[앵커]
말씀을 들어보면, 지역을 위해선 좋은 사업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횡성 주민들은 왜 반대하는 겁니까?
[기자]
네, 횡성 주민들이 이 사업 자체에 반대하는 건 아닙니다.
문제는 장손데요.
강원도는 횡성군 묵계리에 있는 옛 탄약고 자리를 센터 건립 예정지로 골랐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지원센터를 묵계리 탄약고 자리에 짓는 건 절대 안된다며 반대하고 나섰고, 결국 공청회가 무산된 겁니다.
[앵커]
주민들이 이렇게까지 반대하는 이유는 뭔가요?
[기자]
네, 사연이 있는데요.
근본적인 갈등의 원인은 바로, 횡성군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입니다.
횡성군은 30년 넘는 세월 동안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묶여, 개발 제한을 받아왔습니다.
이 때문에, 횡성군과 주민들은 수년 동안 정부에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를 요구해 오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최근에야 해제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주민들의 지역 개발에 대한 기대가 무르익고 있습니다.
그런데, 해제 가능성이 언급되는 땅 가운데 하나가 묵계리 탄약고 턴데요.
강원도가 지원센터를 짓겠다는 자립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이 자리에는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산업단지처럼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시설을 지어야지 이런 지원센터를 지어선 안된다고 반대하고 나선 겁니다.
특히, 이모빌리티 센터같은 연구시설의 경우, 상수원 보호구역을 해제하지 않고도 들어설 수 있어, 지역 숙원 상업인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다고 크게 걱정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모빌리티’로 상수원 보호구역 갈등
-
- 입력 2020-05-20 20:18:03
- 수정2020-05-20 22:07:25

[앵커]
오늘(20일) 횡성에서는 '이모빌리티 지원센터 건립 사업' 주민 공청회가 열릴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주민들의 반발로 결국 무산됐습니다.
이번 설명회 어떻게 진행됐는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이현기 기자, 오늘 주민 설명회 어떻게 된 겁니까?
[기자]
네, 방금 말씀하신대로 오늘 공청회는 무산이 됐습니다.
이 사업에 대해 횡성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이미 설명회 개최 전부터 어느 정도 예상이 됐던 일인데요.
조금 전에 공청회 현장 화면이 들어왔습니다.
화면 보면서 자세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지금 보시는 화면은 '횡성 이모빌리티 지원센터 구축 사업' 공청회장입니다.
횡성문화원에 마련이 됐는데요.
이 자리에는 최문순 강원도지사와 횡성군수, 그리고 횡성군 각급사회단체 등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공청회는 주민들이 반발하면서, 시작도 못했습니다.
강원도 공무원들이 나서서 주민들을 달래보려 했지만, 끝내 설득에 실패하면서 결국 이번 공청회는 열리지 못했습니다.
[앵커]
'이모빌리티 지원센터' 이름만 봐선 뭔지 잘 모르겠는데요.
어떤 사업인가요?
[기자]
네, 간단히 말씀드리면,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 시설입니다.
이모빌리티란 전기를 뜻하는 영어 단어, 일렉트로닉의 첫자인 E자와 이동성을 뜻하는 영어 모빌리티를 합해 만든 말입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의 역점 사업인데요.
강원도는 2022년까지 국비 240억 원을 포함해, 모두 450억 원을 투자해 횡성에 초소형 전기자동차 시험과 인증을 위한 지원센터를 건립할 계획입니다.
[앵커]
말씀을 들어보면, 지역을 위해선 좋은 사업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횡성 주민들은 왜 반대하는 겁니까?
[기자]
네, 횡성 주민들이 이 사업 자체에 반대하는 건 아닙니다.
문제는 장손데요.
강원도는 횡성군 묵계리에 있는 옛 탄약고 자리를 센터 건립 예정지로 골랐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지원센터를 묵계리 탄약고 자리에 짓는 건 절대 안된다며 반대하고 나섰고, 결국 공청회가 무산된 겁니다.
[앵커]
주민들이 이렇게까지 반대하는 이유는 뭔가요?
[기자]
네, 사연이 있는데요.
근본적인 갈등의 원인은 바로, 횡성군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입니다.
횡성군은 30년 넘는 세월 동안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묶여, 개발 제한을 받아왔습니다.
이 때문에, 횡성군과 주민들은 수년 동안 정부에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를 요구해 오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최근에야 해제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주민들의 지역 개발에 대한 기대가 무르익고 있습니다.
그런데, 해제 가능성이 언급되는 땅 가운데 하나가 묵계리 탄약고 턴데요.
강원도가 지원센터를 짓겠다는 자립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이 자리에는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산업단지처럼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시설을 지어야지 이런 지원센터를 지어선 안된다고 반대하고 나선 겁니다.
특히, 이모빌리티 센터같은 연구시설의 경우, 상수원 보호구역을 해제하지 않고도 들어설 수 있어, 지역 숙원 상업인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다고 크게 걱정하고 있습니다.
-
-
이현기 기자 goldman@kbs.co.kr
이현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