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항공운송 ‘타격’ 반도체 ‘호재’

입력 2020.05.27 (11:02) 수정 2020.05.27 (11: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1분기 글로벌 경기 침체와 코로나19 영향으로 반도체를 제외한 기업들의 생산실적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고 생산능력과 생산실적을 공시하는 127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 이들 기업의 평균 가동률은 81.4%로 지난해 1분기(85.2%)와 비교해 3.8%포인트 하락했습니다.

1분기 기업들의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이 지난해보다 나빠졌다는 의미로,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코로나19까지 확산하며 공장 가동을 중단하거나 생산(운송)량 조절에 나선 기업이 늘어난 영향입니다.

코로나로 인한 여행·출장 수요가 감소하면서 항공운송 부문의 생산실적(운항실적)은 작년보다 35.9% 감소해 전 산업군을 통틀어 감소 폭이 가장 컸습니다.

이어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6.7%, 24.1% 줄었습니다.

실제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가 분석한 1분기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2억 9천490만대로 작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고, 세계 1위인 삼성전자의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줄었습니다.

또 생활용품의 생산실적이 21.5% 감소했고 기타설비(-14.9%), 건설기계(-13.9%), 타이어(-12.0%), 자동차부품(-10.5%), 비료(-10.0%) 등도 코로나 등의 여파로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습니다.

CEO스코어 분석 결과 항공운송을 비롯해 자동차·스마트폰 등 국내 10개 주력업종 29개 부문 가운데 절반이 넘는 17개 부문의 생산실적이 작년보다 감소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등 8개 부문은 올해 1분기 생산능력 자체를 지난해보다 줄였는데도 가동률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이른바 '언택트' 산업 수요가 늘면서 올해 1분기 반도체의 생산실적은 34.9% 증가했습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부문은 지난해 1분기 1천762억 9천900만 개에서 올해 1분기 2천774억 5천만 개로 생산능력을 57.4% 늘려 100% 가동률을 달성했습니다.

SK하이닉스도 반도체 생산능력을 지난해 대비 12.3% 늘렸으나 100% 생산목표를 달성했습니다.

코로나19가 호재로 작용한 택배(25.8%)와 석유화학(14.4%), 제약 부문(10.3%) 역시 생산실적이 10% 이상 증가했습니다.

CEO스코어 박주건 대표는 "기업들의 1분기 생산실적은 2분기 경영실적을 예측해볼 수 있는 중요 지표"라며 "연초 코로나 팬데믹 여파가 항공·스마트폰·자동차 관련 기업들의 실적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영향…항공운송 ‘타격’ 반도체 ‘호재’
    • 입력 2020-05-27 11:02:33
    • 수정2020-05-27 11:36:13
    IT·과학
올해 1분기 글로벌 경기 침체와 코로나19 영향으로 반도체를 제외한 기업들의 생산실적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고 생산능력과 생산실적을 공시하는 127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 이들 기업의 평균 가동률은 81.4%로 지난해 1분기(85.2%)와 비교해 3.8%포인트 하락했습니다.

1분기 기업들의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이 지난해보다 나빠졌다는 의미로,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코로나19까지 확산하며 공장 가동을 중단하거나 생산(운송)량 조절에 나선 기업이 늘어난 영향입니다.

코로나로 인한 여행·출장 수요가 감소하면서 항공운송 부문의 생산실적(운항실적)은 작년보다 35.9% 감소해 전 산업군을 통틀어 감소 폭이 가장 컸습니다.

이어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6.7%, 24.1% 줄었습니다.

실제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가 분석한 1분기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2억 9천490만대로 작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고, 세계 1위인 삼성전자의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줄었습니다.

또 생활용품의 생산실적이 21.5% 감소했고 기타설비(-14.9%), 건설기계(-13.9%), 타이어(-12.0%), 자동차부품(-10.5%), 비료(-10.0%) 등도 코로나 등의 여파로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습니다.

CEO스코어 분석 결과 항공운송을 비롯해 자동차·스마트폰 등 국내 10개 주력업종 29개 부문 가운데 절반이 넘는 17개 부문의 생산실적이 작년보다 감소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등 8개 부문은 올해 1분기 생산능력 자체를 지난해보다 줄였는데도 가동률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이른바 '언택트' 산업 수요가 늘면서 올해 1분기 반도체의 생산실적은 34.9% 증가했습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부문은 지난해 1분기 1천762억 9천900만 개에서 올해 1분기 2천774억 5천만 개로 생산능력을 57.4% 늘려 100% 가동률을 달성했습니다.

SK하이닉스도 반도체 생산능력을 지난해 대비 12.3% 늘렸으나 100% 생산목표를 달성했습니다.

코로나19가 호재로 작용한 택배(25.8%)와 석유화학(14.4%), 제약 부문(10.3%) 역시 생산실적이 10% 이상 증가했습니다.

CEO스코어 박주건 대표는 "기업들의 1분기 생산실적은 2분기 경영실적을 예측해볼 수 있는 중요 지표"라며 "연초 코로나 팬데믹 여파가 항공·스마트폰·자동차 관련 기업들의 실적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