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맥] 위안부 운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입력 2020.06.01 (20:33) 수정 2020.06.01 (20: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의 흐름, 사안의 맥을 짚어보는 쇼맥뉴스 시간입니다.

먼저, 이 화면 한번 보시죠.

2017년 개봉한 영화 '아이 캔 스피크'의 한 장면입니다. 

동네의 평범한 나옥분 할머니가 9급 공무원 민재에게 간절히 부탁해 영어를 배웁니다.

이 과정에서 나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고, 미 의회에서 일본의 사과를 촉구하는 증언을 하기 위해 영어를 배운다는 게 줄거리입니다.

이런 결코 쉽지 않은 진술, 50년 가까이 숨겨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1991년 처음 밝힌 사람은 바로, 고 김학순 할머니였습니다.

[고 김학순/여성인권운동가/위안부피해자/1991년 당시 : "말이 17살이지 16살 조금 넘었는데, 끌고 가서 강제로... 그 울면서 안 당하려고 막 쫓아 나오면 붙잡고 안 놔줘요. 붙잡고 안 놔줘요."]

이후 국내 피해자는 물론 필리핀과 네덜란드 등 세계 각지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이 줄을 이었습니다.

또, 김 할머니가 첫 증언을 했던 8월 14일을 기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지정되기도 했는데요. 

김 할머니의 증언 당시에도 정의연의 전신인 한국 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정대협이 이렇게 함께 있었습니다.

정대협은 1990년 11월, 정신대 문제 해결을 위해 발족한 단체인데요.  

여기서 정신대는 일제강점기 1940년대 정신대 근로령에 의해 노무 동원된 사람을 뜻합니다. 

반면 위안부는 1930년대부터 일본군의 성적 노예로 동원된 사람입니다. 

다만, 정대협은 90년대 근로정신대와 위안부 피해자 구분 없이 피해를 접수받았고, 이후 위안부 피해자들 중심으로 활동을 해 왔습니다. 

수요집회와 소녀상 건립 등을 이끌고, 지속해온 단체죠.  

2018년 정의기억재단과 통합해 지금의 정의기억연대가 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과거 역사에도, 현재는 '논란' 그 자체입니다.  

여성 인권운동가이자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지난달 7일 정의연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낸 뒤부터인데요. 

이 할머니는 수요집회에서 걷히는 성금 사용이 투명하지 않다며, 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을 지적하고, 앞으로 수요집회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즉각 정의연과 윤 당선인은 회계 기관의 검증을 받겠다며 문제없다는 반박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그 뒤 후원금 회계 누락에 안성 쉼터 고가 매입 의혹 등이 줄줄이 불거졌는데요. 

검찰은 지난달 20일 정의연 사무실과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 등을 압수수색했습니다. 

이렇게 되자 네이버도 정의연의 온라인 모금을 중단하는 등 파장이 커지고 있는 모양샌데요.  

이런 와중에 이용수 할머니는 2차 기자회견에서 정의연의 모금활동에 이용당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용수/여성인권운동가/위안부피해자 :  "할머니들로, 위안부 할머니들로, 팔아먹었습니다. 팔았습니다. 내가 왜 팔려야 됩니까. 끌고 다니면서 할머니들 이용해먹고..."]

모금하는 줄도 모르고 세계 곳곳에 자신을 데리고 다니며 이용했다는 건데요.  

또, 윤 당선인에 대해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할머니들을 배반했다며 강한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윤 당선인은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본인과 가족이 연루된 각종 회계부정을 전면 부인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관행적으로 모금에 개인계좌를 사용한 점은 잘못된 판단이었지만 모금액을 개인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검찰 조사에서 의혹을 소명하겠다고 말했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건 단체와 개인의 문제로 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의 의미가 퇴색돼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결국 논란의 끝에는 위안부 운동이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그 해답을 찾는 게 중요하겠죠.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 문제 해결을 위한 역할은 정부와 국회, 시민사회 모두에게 있다는 겁니다.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법은 2017년에야 제정됐고, 2018년 출범한 여성가족부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연구소는 홈페이지조차 없고, 아카이브도 구축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많은 이들의 무관심과 외면 속에 위안부 운동이 소수 단체에 사유화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제기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정의연은 잘못을 책임지고, 관련 단체들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또, 이번 논란을 통해 정부와 국회 등에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연구와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 일본의 사죄, 배상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해야 하겠죠. 

국민들 역시, 잊혀서는 안 될 역사를 기억하고, 바로 세우기 위한 관심과 힘을 보태야 할 시점입니다. 

우리에겐 시간이 별로 많지 않습니다.  

이런 논란이 불거진 와중에도 지난달 26일 위안부 피해 할머니 한 분이 돌아가셨습니다. 

위안부 피해 신고를 한 240명 중 이제 생존자는 17명입니다.  

지금까지 쇼맥뉴스 오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쇼맥] 위안부 운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입력 2020-06-01 20:33:38
    • 수정2020-06-01 20:36:58
    뉴스7(대구)
뉴스의 흐름, 사안의 맥을 짚어보는 쇼맥뉴스 시간입니다. 먼저, 이 화면 한번 보시죠. 2017년 개봉한 영화 '아이 캔 스피크'의 한 장면입니다.  동네의 평범한 나옥분 할머니가 9급 공무원 민재에게 간절히 부탁해 영어를 배웁니다. 이 과정에서 나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고, 미 의회에서 일본의 사과를 촉구하는 증언을 하기 위해 영어를 배운다는 게 줄거리입니다. 이런 결코 쉽지 않은 진술, 50년 가까이 숨겨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1991년 처음 밝힌 사람은 바로, 고 김학순 할머니였습니다. [고 김학순/여성인권운동가/위안부피해자/1991년 당시 : "말이 17살이지 16살 조금 넘었는데, 끌고 가서 강제로... 그 울면서 안 당하려고 막 쫓아 나오면 붙잡고 안 놔줘요. 붙잡고 안 놔줘요."] 이후 국내 피해자는 물론 필리핀과 네덜란드 등 세계 각지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이 줄을 이었습니다. 또, 김 할머니가 첫 증언을 했던 8월 14일을 기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지정되기도 했는데요.  김 할머니의 증언 당시에도 정의연의 전신인 한국 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정대협이 이렇게 함께 있었습니다. 정대협은 1990년 11월, 정신대 문제 해결을 위해 발족한 단체인데요.   여기서 정신대는 일제강점기 1940년대 정신대 근로령에 의해 노무 동원된 사람을 뜻합니다.  반면 위안부는 1930년대부터 일본군의 성적 노예로 동원된 사람입니다.  다만, 정대협은 90년대 근로정신대와 위안부 피해자 구분 없이 피해를 접수받았고, 이후 위안부 피해자들 중심으로 활동을 해 왔습니다.  수요집회와 소녀상 건립 등을 이끌고, 지속해온 단체죠.   2018년 정의기억재단과 통합해 지금의 정의기억연대가 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과거 역사에도, 현재는 '논란' 그 자체입니다.   여성 인권운동가이자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지난달 7일 정의연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낸 뒤부터인데요.  이 할머니는 수요집회에서 걷히는 성금 사용이 투명하지 않다며, 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을 지적하고, 앞으로 수요집회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즉각 정의연과 윤 당선인은 회계 기관의 검증을 받겠다며 문제없다는 반박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그 뒤 후원금 회계 누락에 안성 쉼터 고가 매입 의혹 등이 줄줄이 불거졌는데요.  검찰은 지난달 20일 정의연 사무실과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 등을 압수수색했습니다.  이렇게 되자 네이버도 정의연의 온라인 모금을 중단하는 등 파장이 커지고 있는 모양샌데요.   이런 와중에 이용수 할머니는 2차 기자회견에서 정의연의 모금활동에 이용당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용수/여성인권운동가/위안부피해자 :  "할머니들로, 위안부 할머니들로, 팔아먹었습니다. 팔았습니다. 내가 왜 팔려야 됩니까. 끌고 다니면서 할머니들 이용해먹고..."] 모금하는 줄도 모르고 세계 곳곳에 자신을 데리고 다니며 이용했다는 건데요.   또, 윤 당선인에 대해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할머니들을 배반했다며 강한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윤 당선인은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본인과 가족이 연루된 각종 회계부정을 전면 부인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관행적으로 모금에 개인계좌를 사용한 점은 잘못된 판단이었지만 모금액을 개인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검찰 조사에서 의혹을 소명하겠다고 말했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건 단체와 개인의 문제로 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의 의미가 퇴색돼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결국 논란의 끝에는 위안부 운동이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그 해답을 찾는 게 중요하겠죠.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 문제 해결을 위한 역할은 정부와 국회, 시민사회 모두에게 있다는 겁니다.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법은 2017년에야 제정됐고, 2018년 출범한 여성가족부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연구소는 홈페이지조차 없고, 아카이브도 구축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많은 이들의 무관심과 외면 속에 위안부 운동이 소수 단체에 사유화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제기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정의연은 잘못을 책임지고, 관련 단체들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또, 이번 논란을 통해 정부와 국회 등에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연구와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 일본의 사죄, 배상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해야 하겠죠.  국민들 역시, 잊혀서는 안 될 역사를 기억하고, 바로 세우기 위한 관심과 힘을 보태야 할 시점입니다.  우리에겐 시간이 별로 많지 않습니다.   이런 논란이 불거진 와중에도 지난달 26일 위안부 피해 할머니 한 분이 돌아가셨습니다.  위안부 피해 신고를 한 240명 중 이제 생존자는 17명입니다.   지금까지 쇼맥뉴스 오아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