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트럼프 복용 말라리아약의 코로나19 치료제 실험 재개
입력 2020.06.04 (04:22)
수정 2020.06.04 (04: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예방 차원에서 복용하고 있다고 밝힌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에 대한 임상 실험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이용 가능한 사망률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자료안전감시위원회의 구성원들은 실험 계획서를 수정할 이유가 없다고 권고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임상 실험의 집행 그룹이 이 같은 권고를 받아들였으며,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을 포함한 모든 부문의 실험을 지속하는 것을 지지했다고 전했습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지난달 25일 코로나19 치료제의 효능과 안전성을 실험하는 WHO의 '연대 실험'에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에 대한 연구를 자료안전감시위원회가 안전성을 심의하는 동안 잠정 중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당시 영국 의학 학술지 '랜싯'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른 조치였습니다.
랜싯이 671개 병원 9만 6천여 명의 코로나19 입원 환자를 상대로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의 효능을 조사한 결과, 이를 복용한 환자에게서는 사망 위험도가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또 유럽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 둔화해 전날 보고된 확진자 수가 3월 22일 이후 가장 적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중남미에서는 급증해 지난 몇 주 동안 아메리카 대륙에서 보고된 확진자 수가 다른 나라들에서 발생한 사례를 합친 것보다 더 많았다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서는 중국이 코로나19 관련 자료의 공유를 지체해 WHO 내부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는 보도에 대한 질의가 잇따라 나왔으나 WHO 측은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AP 통신은 전날 WHO 내부 문서와 이메일, 인터뷰 등을 분석한 결과,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유전자 지도를 완전히 해독했는데도 이를 일주일 넘게 공개하지 않았고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중요한 세부 정부도 공유하지 않아 WHO 관계자들이 좌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Issue.html?icd=19588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이용 가능한 사망률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자료안전감시위원회의 구성원들은 실험 계획서를 수정할 이유가 없다고 권고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임상 실험의 집행 그룹이 이 같은 권고를 받아들였으며,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을 포함한 모든 부문의 실험을 지속하는 것을 지지했다고 전했습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지난달 25일 코로나19 치료제의 효능과 안전성을 실험하는 WHO의 '연대 실험'에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에 대한 연구를 자료안전감시위원회가 안전성을 심의하는 동안 잠정 중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당시 영국 의학 학술지 '랜싯'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른 조치였습니다.
랜싯이 671개 병원 9만 6천여 명의 코로나19 입원 환자를 상대로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의 효능을 조사한 결과, 이를 복용한 환자에게서는 사망 위험도가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또 유럽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 둔화해 전날 보고된 확진자 수가 3월 22일 이후 가장 적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중남미에서는 급증해 지난 몇 주 동안 아메리카 대륙에서 보고된 확진자 수가 다른 나라들에서 발생한 사례를 합친 것보다 더 많았다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서는 중국이 코로나19 관련 자료의 공유를 지체해 WHO 내부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는 보도에 대한 질의가 잇따라 나왔으나 WHO 측은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AP 통신은 전날 WHO 내부 문서와 이메일, 인터뷰 등을 분석한 결과,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유전자 지도를 완전히 해독했는데도 이를 일주일 넘게 공개하지 않았고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중요한 세부 정부도 공유하지 않아 WHO 관계자들이 좌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HO, 트럼프 복용 말라리아약의 코로나19 치료제 실험 재개
-
- 입력 2020-06-04 04:22:36
- 수정2020-06-04 04:42:51

세계보건기구(WHO)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예방 차원에서 복용하고 있다고 밝힌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에 대한 임상 실험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이용 가능한 사망률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자료안전감시위원회의 구성원들은 실험 계획서를 수정할 이유가 없다고 권고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임상 실험의 집행 그룹이 이 같은 권고를 받아들였으며,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을 포함한 모든 부문의 실험을 지속하는 것을 지지했다고 전했습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지난달 25일 코로나19 치료제의 효능과 안전성을 실험하는 WHO의 '연대 실험'에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에 대한 연구를 자료안전감시위원회가 안전성을 심의하는 동안 잠정 중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당시 영국 의학 학술지 '랜싯'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른 조치였습니다.
랜싯이 671개 병원 9만 6천여 명의 코로나19 입원 환자를 상대로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의 효능을 조사한 결과, 이를 복용한 환자에게서는 사망 위험도가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또 유럽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 둔화해 전날 보고된 확진자 수가 3월 22일 이후 가장 적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중남미에서는 급증해 지난 몇 주 동안 아메리카 대륙에서 보고된 확진자 수가 다른 나라들에서 발생한 사례를 합친 것보다 더 많았다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서는 중국이 코로나19 관련 자료의 공유를 지체해 WHO 내부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는 보도에 대한 질의가 잇따라 나왔으나 WHO 측은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AP 통신은 전날 WHO 내부 문서와 이메일, 인터뷰 등을 분석한 결과,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유전자 지도를 완전히 해독했는데도 이를 일주일 넘게 공개하지 않았고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중요한 세부 정부도 공유하지 않아 WHO 관계자들이 좌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Issue.html?icd=19588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이용 가능한 사망률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자료안전감시위원회의 구성원들은 실험 계획서를 수정할 이유가 없다고 권고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임상 실험의 집행 그룹이 이 같은 권고를 받아들였으며,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을 포함한 모든 부문의 실험을 지속하는 것을 지지했다고 전했습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지난달 25일 코로나19 치료제의 효능과 안전성을 실험하는 WHO의 '연대 실험'에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에 대한 연구를 자료안전감시위원회가 안전성을 심의하는 동안 잠정 중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당시 영국 의학 학술지 '랜싯'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른 조치였습니다.
랜싯이 671개 병원 9만 6천여 명의 코로나19 입원 환자를 상대로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의 효능을 조사한 결과, 이를 복용한 환자에게서는 사망 위험도가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또 유럽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 둔화해 전날 보고된 확진자 수가 3월 22일 이후 가장 적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중남미에서는 급증해 지난 몇 주 동안 아메리카 대륙에서 보고된 확진자 수가 다른 나라들에서 발생한 사례를 합친 것보다 더 많았다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서는 중국이 코로나19 관련 자료의 공유를 지체해 WHO 내부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는 보도에 대한 질의가 잇따라 나왔으나 WHO 측은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AP 통신은 전날 WHO 내부 문서와 이메일, 인터뷰 등을 분석한 결과,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유전자 지도를 완전히 해독했는데도 이를 일주일 넘게 공개하지 않았고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중요한 세부 정부도 공유하지 않아 WHO 관계자들이 좌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윤영란 기자 ranny@kbs.co.kr
윤영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