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 대부분은 동굴, 안전 비상

입력 2003.06.07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 홍지문터널 화재를 계기로 주요 터널들의 안전관리 실태를 짚어봤습니다.
가장 최근에 지었다는 홍지문터널이 이렇게 엉망인데 다른 곳들은 오죽하겠느냐는 걱정이 많습니다.
박상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길이 568m의 서울 상도터널에 연기 배출 설비가 아예 없습니다.
천장이 매연으로 시커멓게 뒤덮여 있는 것으로 봐 터널에 공기유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교통량이 많아 화재 피해가 커질 수 있는 터널에는 연기를 빼주는 배연설비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서울시내 터널 27곳 가운데 무려 20개 터널에 배연설비가 갖추어 있지 않습니다.
⊙이동명(경민대학 소방학과 교수): 길이 1km 기준이 아니고 차량통행 양에 따라서 소화설비나 이러한 배연설비들을 갖춰야 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기자: 반대방향 터널로 대피할 수 있는 연결통로 등 비상통로가 없는 곳도 많습니다.
⊙박태열(서울 중부소방서 기동점검팀): 중간에 피난계단이 없기 때문에 시민들이 입구까지 나와야 되는데 입구까지 길이도 지금 한 1.6km 정도 되는데 상당한 긴 시간입니다.
⊙기자: 그나마 피난 연결통로가 있는 경우라도 이처럼 방화문이 설치돼 있지 않아 연기가 맞은 편 터널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터널 연결통로로 안내하는 표지가 없거나 고장난 조명등도 여기저기서 발견됩니다.
부족한 방재설비에 관리소홀까지 겹쳐 터널을 통과하는 운전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상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터널 대부분은 동굴, 안전 비상
    • 입력 2003-06-07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서울 홍지문터널 화재를 계기로 주요 터널들의 안전관리 실태를 짚어봤습니다. 가장 최근에 지었다는 홍지문터널이 이렇게 엉망인데 다른 곳들은 오죽하겠느냐는 걱정이 많습니다. 박상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길이 568m의 서울 상도터널에 연기 배출 설비가 아예 없습니다. 천장이 매연으로 시커멓게 뒤덮여 있는 것으로 봐 터널에 공기유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교통량이 많아 화재 피해가 커질 수 있는 터널에는 연기를 빼주는 배연설비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서울시내 터널 27곳 가운데 무려 20개 터널에 배연설비가 갖추어 있지 않습니다. ⊙이동명(경민대학 소방학과 교수): 길이 1km 기준이 아니고 차량통행 양에 따라서 소화설비나 이러한 배연설비들을 갖춰야 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기자: 반대방향 터널로 대피할 수 있는 연결통로 등 비상통로가 없는 곳도 많습니다. ⊙박태열(서울 중부소방서 기동점검팀): 중간에 피난계단이 없기 때문에 시민들이 입구까지 나와야 되는데 입구까지 길이도 지금 한 1.6km 정도 되는데 상당한 긴 시간입니다. ⊙기자: 그나마 피난 연결통로가 있는 경우라도 이처럼 방화문이 설치돼 있지 않아 연기가 맞은 편 터널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터널 연결통로로 안내하는 표지가 없거나 고장난 조명등도 여기저기서 발견됩니다. 부족한 방재설비에 관리소홀까지 겹쳐 터널을 통과하는 운전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상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