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 대부분은 동굴, 안전 비상
입력 2003.06.07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 홍지문터널 화재를 계기로 주요 터널들의 안전관리 실태를 짚어봤습니다.
가장 최근에 지었다는 홍지문터널이 이렇게 엉망인데 다른 곳들은 오죽하겠느냐는 걱정이 많습니다.
박상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길이 568m의 서울 상도터널에 연기 배출 설비가 아예 없습니다.
천장이 매연으로 시커멓게 뒤덮여 있는 것으로 봐 터널에 공기유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교통량이 많아 화재 피해가 커질 수 있는 터널에는 연기를 빼주는 배연설비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서울시내 터널 27곳 가운데 무려 20개 터널에 배연설비가 갖추어 있지 않습니다.
⊙이동명(경민대학 소방학과 교수): 길이 1km 기준이 아니고 차량통행 양에 따라서 소화설비나 이러한 배연설비들을 갖춰야 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기자: 반대방향 터널로 대피할 수 있는 연결통로 등 비상통로가 없는 곳도 많습니다.
⊙박태열(서울 중부소방서 기동점검팀): 중간에 피난계단이 없기 때문에 시민들이 입구까지 나와야 되는데 입구까지 길이도 지금 한 1.6km 정도 되는데 상당한 긴 시간입니다.
⊙기자: 그나마 피난 연결통로가 있는 경우라도 이처럼 방화문이 설치돼 있지 않아 연기가 맞은 편 터널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터널 연결통로로 안내하는 표지가 없거나 고장난 조명등도 여기저기서 발견됩니다.
부족한 방재설비에 관리소홀까지 겹쳐 터널을 통과하는 운전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상민입니다.
가장 최근에 지었다는 홍지문터널이 이렇게 엉망인데 다른 곳들은 오죽하겠느냐는 걱정이 많습니다.
박상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길이 568m의 서울 상도터널에 연기 배출 설비가 아예 없습니다.
천장이 매연으로 시커멓게 뒤덮여 있는 것으로 봐 터널에 공기유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교통량이 많아 화재 피해가 커질 수 있는 터널에는 연기를 빼주는 배연설비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서울시내 터널 27곳 가운데 무려 20개 터널에 배연설비가 갖추어 있지 않습니다.
⊙이동명(경민대학 소방학과 교수): 길이 1km 기준이 아니고 차량통행 양에 따라서 소화설비나 이러한 배연설비들을 갖춰야 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기자: 반대방향 터널로 대피할 수 있는 연결통로 등 비상통로가 없는 곳도 많습니다.
⊙박태열(서울 중부소방서 기동점검팀): 중간에 피난계단이 없기 때문에 시민들이 입구까지 나와야 되는데 입구까지 길이도 지금 한 1.6km 정도 되는데 상당한 긴 시간입니다.
⊙기자: 그나마 피난 연결통로가 있는 경우라도 이처럼 방화문이 설치돼 있지 않아 연기가 맞은 편 터널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터널 연결통로로 안내하는 표지가 없거나 고장난 조명등도 여기저기서 발견됩니다.
부족한 방재설비에 관리소홀까지 겹쳐 터널을 통과하는 운전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상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터널 대부분은 동굴, 안전 비상
-
- 입력 2003-06-07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서울 홍지문터널 화재를 계기로 주요 터널들의 안전관리 실태를 짚어봤습니다.
가장 최근에 지었다는 홍지문터널이 이렇게 엉망인데 다른 곳들은 오죽하겠느냐는 걱정이 많습니다.
박상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길이 568m의 서울 상도터널에 연기 배출 설비가 아예 없습니다.
천장이 매연으로 시커멓게 뒤덮여 있는 것으로 봐 터널에 공기유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교통량이 많아 화재 피해가 커질 수 있는 터널에는 연기를 빼주는 배연설비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서울시내 터널 27곳 가운데 무려 20개 터널에 배연설비가 갖추어 있지 않습니다.
⊙이동명(경민대학 소방학과 교수): 길이 1km 기준이 아니고 차량통행 양에 따라서 소화설비나 이러한 배연설비들을 갖춰야 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기자: 반대방향 터널로 대피할 수 있는 연결통로 등 비상통로가 없는 곳도 많습니다.
⊙박태열(서울 중부소방서 기동점검팀): 중간에 피난계단이 없기 때문에 시민들이 입구까지 나와야 되는데 입구까지 길이도 지금 한 1.6km 정도 되는데 상당한 긴 시간입니다.
⊙기자: 그나마 피난 연결통로가 있는 경우라도 이처럼 방화문이 설치돼 있지 않아 연기가 맞은 편 터널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터널 연결통로로 안내하는 표지가 없거나 고장난 조명등도 여기저기서 발견됩니다.
부족한 방재설비에 관리소홀까지 겹쳐 터널을 통과하는 운전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상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