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지된’ 천안문 추념식에서 ‘촛불’ 든 홍콩…“보안법 반대”

입력 2020.06.05 (06:02) 수정 2020.06.05 (0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밤 홍콩에선 천안문 사태 31주기를 추모하는 집회가 곳곳에서 열렸습니다.

경찰이 금지한 집회였지만, 많은 시민들이 모여 홍콩 국가보안법 반대 등을 외쳤습니다.

베이징 최영은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홍콩 빅토리아 공원이 추모의 촛불로 가득 찼습니다.

코로나19를 이유로 경찰이 집회를 허가하지 않았지만, 천안문 사태를 잊지 않겠다는 홍콩인들을 막진 못했습니다.

[세레나 청/추모 집회 참가자 : "오늘 나오지 않는다면 내년에 나올 수 있을지조차 모르기 때문에 이 추모식을 이어갈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국 공산당 독재 반대 구호에, 홍콩 독립 요구도 나왔습니다.

특히 올해 안에 시행될 것으로 보이는 국가보안법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컸습니다.

[조슈아 웡/홍콩 민주 진영 지도자 : "(천안문 추모 집회를 하지 못하면) 홍콩과 중국 본토가 무슨 차이가 있겠습니까? 그건 단지 일국양제(한 나라 두 체제)가 어떻게 약화됐는지를 뜻하는 겁니다."]

여기에 홍콩 입법회가 야당 의원들이 오물 투척을 하는 극렬한 반대에도 중국 국가를 모독하면 처벌하는 '국가법'을 통과시키면서 반중 감정을 높였습니다.

홍콩 곳곳에 경찰 3천여 명이 배치된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 시위대와의 충돌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긴장의 홍콩과 달리 베이징은 중국 당국의 강력한 통제 속에 침묵했습니다.

역사의 현장인 천안문 앞 광장은 삼엄한 통제에 평소보다 한산했고, 인터넷에선 관련 검색이 여전히 차단된 상태입니다.

중국은 보란 듯 천안문 시위 주역들을 면담한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에 대해서도 내정 간섭하지 말라고 맞받았습니다.

또 중국의 발전상을 근거로 당시 유혈 진압 판단이 옳았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지된’ 천안문 추념식에서 ‘촛불’ 든 홍콩…“보안법 반대”
    • 입력 2020-06-05 06:05:15
    • 수정2020-06-05 08:15:31
    뉴스광장 1부
[앵커]

지난 밤 홍콩에선 천안문 사태 31주기를 추모하는 집회가 곳곳에서 열렸습니다.

경찰이 금지한 집회였지만, 많은 시민들이 모여 홍콩 국가보안법 반대 등을 외쳤습니다.

베이징 최영은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홍콩 빅토리아 공원이 추모의 촛불로 가득 찼습니다.

코로나19를 이유로 경찰이 집회를 허가하지 않았지만, 천안문 사태를 잊지 않겠다는 홍콩인들을 막진 못했습니다.

[세레나 청/추모 집회 참가자 : "오늘 나오지 않는다면 내년에 나올 수 있을지조차 모르기 때문에 이 추모식을 이어갈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국 공산당 독재 반대 구호에, 홍콩 독립 요구도 나왔습니다.

특히 올해 안에 시행될 것으로 보이는 국가보안법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컸습니다.

[조슈아 웡/홍콩 민주 진영 지도자 : "(천안문 추모 집회를 하지 못하면) 홍콩과 중국 본토가 무슨 차이가 있겠습니까? 그건 단지 일국양제(한 나라 두 체제)가 어떻게 약화됐는지를 뜻하는 겁니다."]

여기에 홍콩 입법회가 야당 의원들이 오물 투척을 하는 극렬한 반대에도 중국 국가를 모독하면 처벌하는 '국가법'을 통과시키면서 반중 감정을 높였습니다.

홍콩 곳곳에 경찰 3천여 명이 배치된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 시위대와의 충돌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긴장의 홍콩과 달리 베이징은 중국 당국의 강력한 통제 속에 침묵했습니다.

역사의 현장인 천안문 앞 광장은 삼엄한 통제에 평소보다 한산했고, 인터넷에선 관련 검색이 여전히 차단된 상태입니다.

중국은 보란 듯 천안문 시위 주역들을 면담한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에 대해서도 내정 간섭하지 말라고 맞받았습니다.

또 중국의 발전상을 근거로 당시 유혈 진압 판단이 옳았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