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공무원 또 폭행…공무원 1명 당 ‘폭력 노출’ 3.8건

입력 2020.06.09 (09:14) 수정 2020.06.09 (1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회복지 공무원들이 민원인들로부터 폭행을 당하는 일을 막기 위해 각종 대책이 나오기도 했지만, 여전히 폭행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창원에서는 여성 사회복지 공무원이 민원인으로부터 맞아 실신하는 일이 일어나면서 공무원단체가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손에 든 통장을 거칠게 내려치며, 공무원에게 욕설을 합니다. 

다른 공무원이 다가와 만류하자, 격분한 남성은 주먹으로 얼굴을 때립니다. 

바닥에 나동그라진 공무원이 한참을 일어나지 못하는데도, 때린 남성은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태연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경찰에 붙잡힌 45살 A씨는 긴급 생계지원금이 입금되지 않았다며 공무원을 폭행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동료 공무원 : "직원을 욕하면서 언성을 높이는 건 안 맞다고 설명하는 찰나에 1~2분도 안 된 상황에서 가격을 하면서…."]

지난달 김해에서도 71살 민원인이 40살 사회복지 공무원을 컵으로 폭행해,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혔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액이 줄어든 데 앙심을 품은 겁니다.  

[김주수/동료 공무원 : "(피해 공무원이) 정신적으로 트라우마가 있어서, 정신과 상담을 정기적으로 일주일에 두 번씩 받고 있습니다."]

사회복지 공무원들이 민원인들로부터 입은 폭력과 폭언, 위협 등의 피해는 2018년 기준 한해 15만 2천 여건, 공무원 1명당 한해 3.8건의 폭력에 노출되고 있는 겁니다. 

[신현승/창원시 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 : "사회복지 업무는 증가하는 반면에 공무원들의 안전 대책은 소홀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공무원들의 피해와 폭언을 당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안전문이나 비상벨 등 자치단체가 내놓은 대책들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공무원단체는 정부 차원의 전수조사와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회복지공무원 또 폭행…공무원 1명 당 ‘폭력 노출’ 3.8건
    • 입력 2020-06-09 09:14:45
    • 수정2020-06-09 12:05:43
    뉴스광장(창원)
[앵커] 사회복지 공무원들이 민원인들로부터 폭행을 당하는 일을 막기 위해 각종 대책이 나오기도 했지만, 여전히 폭행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창원에서는 여성 사회복지 공무원이 민원인으로부터 맞아 실신하는 일이 일어나면서 공무원단체가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손에 든 통장을 거칠게 내려치며, 공무원에게 욕설을 합니다.  다른 공무원이 다가와 만류하자, 격분한 남성은 주먹으로 얼굴을 때립니다.  바닥에 나동그라진 공무원이 한참을 일어나지 못하는데도, 때린 남성은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태연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경찰에 붙잡힌 45살 A씨는 긴급 생계지원금이 입금되지 않았다며 공무원을 폭행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동료 공무원 : "직원을 욕하면서 언성을 높이는 건 안 맞다고 설명하는 찰나에 1~2분도 안 된 상황에서 가격을 하면서…."] 지난달 김해에서도 71살 민원인이 40살 사회복지 공무원을 컵으로 폭행해,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혔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액이 줄어든 데 앙심을 품은 겁니다.   [김주수/동료 공무원 : "(피해 공무원이) 정신적으로 트라우마가 있어서, 정신과 상담을 정기적으로 일주일에 두 번씩 받고 있습니다."] 사회복지 공무원들이 민원인들로부터 입은 폭력과 폭언, 위협 등의 피해는 2018년 기준 한해 15만 2천 여건, 공무원 1명당 한해 3.8건의 폭력에 노출되고 있는 겁니다.  [신현승/창원시 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 : "사회복지 업무는 증가하는 반면에 공무원들의 안전 대책은 소홀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공무원들의 피해와 폭언을 당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안전문이나 비상벨 등 자치단체가 내놓은 대책들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공무원단체는 정부 차원의 전수조사와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