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의창] “군사행동 보류”…北, 숨고르기 배경 무엇일까?

입력 2020.06.29 (14: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北 "군사행동 보류"… 분위기 급전환

북한의 대남공세는 지난 4일, 탈북민의 대북전단을 문제 삼으며 시작됐습니다. 북한은 "남조선 당국과 더는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며 남북 간 통신선을 전면 차단하고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등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급기야 판문점 선언에 따라 철거했던 확성기까지 다시 설치했습니다.


긴장 고조로 치닫던 남북 관계는 지난 23일 분위기가 급반전됐습니다. 지난 23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노동당 중앙군사위 예비회의에서 여동생인 김여정 제1본부장이 지시한 대남 군사행동을 전면 보류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보류 결정의 효과는 즉각 나타났습니다. 최전방 지역에 재설치한 대남 확성기가 철거된 모습이 다시 포착됐고, 노동신문 등 북한 매체들에서는 대남 비난 기사나 논평이 사라졌습니다. 심지어 대외선전 매체들은 대남 비난 기사 여러 건을 일시에 삭제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대남 군사행동을 전격 보류하면서 거론한 '조성된 최근 정세에 대한 평가' 부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일단,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후 나빠진 국제사회 여론과 남측의 엄정한 대북전단 대응 등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는 북한이 자신들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확성기 심리전까진 가지 않겠다는 의도가 있을 것으로 봤습니다. "판문점 선언 때 사실 북한이 원했던 것이 마침내 이뤄진 거죠. 남측의 확성기가 철거됐는데 갑자기 북한이 확성기를 다시 설치한다 하니까 당연히 거기에 대해서 적정 시점에 한국도 확성기 설치 등 대응 조치를 할 수밖에 없고, 이는 북한에 자충수가 된다는 판단을 했다."라며 한반도 긴장 수위가 급격히 올라가는 것도 북한에 부담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직접 서명한 합의서를 북한이 먼저 위반할 경우 스스로 부정하는 결과에 대한 부담도 작용했을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북한의 군사행동 보류 결정에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한발 더 나아가 계획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하지만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즉각 반박에 나선 상황입니다. "‘보류’가 ‘재고’로 될 때는 재미없을 것이다. 이렇게 위협하는가 하면, 남측의 차후 행동에 따라 남북 관계도 점쳐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군사적으로 긴장으로 치닫던 국면이 일단 숨 고르기에 들어갔지만, 북한이 보류라는 표현을 쓴 만큼 다음 행보를 낙관할 수만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군사적 행동계획에 대해 폐기가 아닌 보류를 선택한 점에서 언제든 남북 간 긴장은 다시 고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관련 이슈는 26일 오전 7시 50분 KBS 1TV를 통해 방송된 <남북의 창>과 유튜브 <이북리더기>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클로즈업 북한] 北 ‘동원 정치’…‘주민 통제’ 엄격
-[통일로 미래로] 6·25 70주년…“평화 오기를”
-[요즘 북한은] 모내기 ‘성공적’…비료는 ‘자체 생산’
https://youtu.be/c9Z9yACccAM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북의창] “군사행동 보류”…北, 숨고르기 배경 무엇일까?
    • 입력 2020-06-29 14:21:11
    취재K
北 "군사행동 보류"… 분위기 급전환

북한의 대남공세는 지난 4일, 탈북민의 대북전단을 문제 삼으며 시작됐습니다. 북한은 "남조선 당국과 더는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며 남북 간 통신선을 전면 차단하고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등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급기야 판문점 선언에 따라 철거했던 확성기까지 다시 설치했습니다.


긴장 고조로 치닫던 남북 관계는 지난 23일 분위기가 급반전됐습니다. 지난 23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노동당 중앙군사위 예비회의에서 여동생인 김여정 제1본부장이 지시한 대남 군사행동을 전면 보류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보류 결정의 효과는 즉각 나타났습니다. 최전방 지역에 재설치한 대남 확성기가 철거된 모습이 다시 포착됐고, 노동신문 등 북한 매체들에서는 대남 비난 기사나 논평이 사라졌습니다. 심지어 대외선전 매체들은 대남 비난 기사 여러 건을 일시에 삭제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대남 군사행동을 전격 보류하면서 거론한 '조성된 최근 정세에 대한 평가' 부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일단,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후 나빠진 국제사회 여론과 남측의 엄정한 대북전단 대응 등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는 북한이 자신들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확성기 심리전까진 가지 않겠다는 의도가 있을 것으로 봤습니다. "판문점 선언 때 사실 북한이 원했던 것이 마침내 이뤄진 거죠. 남측의 확성기가 철거됐는데 갑자기 북한이 확성기를 다시 설치한다 하니까 당연히 거기에 대해서 적정 시점에 한국도 확성기 설치 등 대응 조치를 할 수밖에 없고, 이는 북한에 자충수가 된다는 판단을 했다."라며 한반도 긴장 수위가 급격히 올라가는 것도 북한에 부담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직접 서명한 합의서를 북한이 먼저 위반할 경우 스스로 부정하는 결과에 대한 부담도 작용했을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북한의 군사행동 보류 결정에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한발 더 나아가 계획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하지만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즉각 반박에 나선 상황입니다. "‘보류’가 ‘재고’로 될 때는 재미없을 것이다. 이렇게 위협하는가 하면, 남측의 차후 행동에 따라 남북 관계도 점쳐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군사적으로 긴장으로 치닫던 국면이 일단 숨 고르기에 들어갔지만, 북한이 보류라는 표현을 쓴 만큼 다음 행보를 낙관할 수만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군사적 행동계획에 대해 폐기가 아닌 보류를 선택한 점에서 언제든 남북 간 긴장은 다시 고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관련 이슈는 26일 오전 7시 50분 KBS 1TV를 통해 방송된 <남북의 창>과 유튜브 <이북리더기>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클로즈업 북한] 北 ‘동원 정치’…‘주민 통제’ 엄격
-[통일로 미래로] 6·25 70주년…“평화 오기를”
-[요즘 북한은] 모내기 ‘성공적’…비료는 ‘자체 생산’
https://youtu.be/c9Z9yACccAM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