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곳 없는 사용후핵연료]④ 핵폐기물 쌓이는데…최종처분장 가능할까
입력 2020.07.09 (20:11)
수정 2020.07.10 (15: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사용후핵연료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연속보도, 마지막 순서입니다.
월성원전 맥스터 증설 여부를 결정해야 할 시한이 임박했지만, 결과를 예측 못 할 만큼 논란은 여전합니다.
이는 사용후핵연료 최종 처분장 계획이 없기 때문인데요,
최종 처분장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과제는 무엇인지 최보규 기자가 짚어봅니다.
[리포트]
월성원전 맥스터를 증설할 지 말 지 사실상 판가름나는 것은 경주 지역 실행기구의 마지막 토론회가 예정된 오는 18일과 19일입니다.
여기서 도출된 숙의 결과는 재검토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절차를 밟은 뒤 맥스터 증설 또는 증설 계획 백지화로 확정됩니다.
만약 증설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돼 월성원전이 멈추더라도, 사용후핵연료를 어떻게 처분할지에 관한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습니다.
근본적인 해결책 중 하나는 국내 24개 원전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를 영구 보관하는 최종 처분장 건설.
맥스터 증설 논란의 근본 원인도, 최종 처분장이 없는 상태에서 맥스터가 임시가 아닌 영구 보관시설이 될 수 있다는 주민들의 우려에서 출발합니다.
하지만 최종 처분장 관련 논의는 지지부진합니다.
최종 처분장 입지 선정에 가장 기초가 되는 지질 조사마저 부족합니다.
[김유홍/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방사성폐기물지층처분연구단 단장 : "가능하기 위해서는 우리 심부 지질환경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충분히 구축돼 있어야 하는데 아직 그런 것들은 상당히 미진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또 하나 넘어야 할 큰 산은 사회적 합의입니다.
지난 1990년 충남 안면도, 2003년 전북 부안 등 방폐장 건설 과정이 주민의 강한 반발로 무산됐듯, 어떤 정책적, 기술적 결정도 사회적 합의 없이는 실현되기 힘듭니다.
[정범진/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 : "(우리나라는) 암반도 강한 편이에요. 기술적으로는 굉장히 쉬운 문제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반핵, 탈핵하는 분들이 의심을 짜낸 것이죠."]
[이정윤/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 : "장소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지역에서 10만 년 동안 저장하기 위한 기술 능력을 입증 못 하고 있어요.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자체가 사실상 기술적인 난제입니다."]
성공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현재의 공론화 작업 전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신뢰를 확보하지 못한 공론화로는 결국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40년 동안 아무런 결론 없이 방치된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
사용후핵연료 처분 문제는 현재의 우리, 그리고 앞으로의 우리에게도 함께 풀어가야 할 중요한 숙제로 남아있습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그래픽:정은옥
[앵커]
사용후핵연료가 갈 곳 없이 표류하고 있다는 KBS대구방송총국의 기획 보도, 나흘간 이어왔는데요,
취재기자와 함께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최보규 기자 나왔습니다.
최 기자, 당장 월성 원전 내 임시저장시설인 맥스터를 더 짓느냐 마느냐부터 최종 처분장 논의까지, 사용후핵연료 논의는 단계마다 갈등이 불거지는데요,
지난 40년 넘는 원전 역사에서 우리는 사용후핵연료 해법에 왜 조금도 가까이 가지 못한 겁니까?
[바로잡습니다] 리포트 영상 중 자막 “한국지질자원연구소”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으로 바로잡습니다.
국내 사용후핵연료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연속보도, 마지막 순서입니다.
월성원전 맥스터 증설 여부를 결정해야 할 시한이 임박했지만, 결과를 예측 못 할 만큼 논란은 여전합니다.
이는 사용후핵연료 최종 처분장 계획이 없기 때문인데요,
최종 처분장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과제는 무엇인지 최보규 기자가 짚어봅니다.
[리포트]
월성원전 맥스터를 증설할 지 말 지 사실상 판가름나는 것은 경주 지역 실행기구의 마지막 토론회가 예정된 오는 18일과 19일입니다.
여기서 도출된 숙의 결과는 재검토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절차를 밟은 뒤 맥스터 증설 또는 증설 계획 백지화로 확정됩니다.
만약 증설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돼 월성원전이 멈추더라도, 사용후핵연료를 어떻게 처분할지에 관한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습니다.
근본적인 해결책 중 하나는 국내 24개 원전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를 영구 보관하는 최종 처분장 건설.
맥스터 증설 논란의 근본 원인도, 최종 처분장이 없는 상태에서 맥스터가 임시가 아닌 영구 보관시설이 될 수 있다는 주민들의 우려에서 출발합니다.
하지만 최종 처분장 관련 논의는 지지부진합니다.
최종 처분장 입지 선정에 가장 기초가 되는 지질 조사마저 부족합니다.
[김유홍/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방사성폐기물지층처분연구단 단장 : "가능하기 위해서는 우리 심부 지질환경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충분히 구축돼 있어야 하는데 아직 그런 것들은 상당히 미진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또 하나 넘어야 할 큰 산은 사회적 합의입니다.
지난 1990년 충남 안면도, 2003년 전북 부안 등 방폐장 건설 과정이 주민의 강한 반발로 무산됐듯, 어떤 정책적, 기술적 결정도 사회적 합의 없이는 실현되기 힘듭니다.
[정범진/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 : "(우리나라는) 암반도 강한 편이에요. 기술적으로는 굉장히 쉬운 문제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반핵, 탈핵하는 분들이 의심을 짜낸 것이죠."]
[이정윤/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 : "장소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지역에서 10만 년 동안 저장하기 위한 기술 능력을 입증 못 하고 있어요.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자체가 사실상 기술적인 난제입니다."]
성공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현재의 공론화 작업 전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신뢰를 확보하지 못한 공론화로는 결국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40년 동안 아무런 결론 없이 방치된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
사용후핵연료 처분 문제는 현재의 우리, 그리고 앞으로의 우리에게도 함께 풀어가야 할 중요한 숙제로 남아있습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그래픽:정은옥
[앵커]
사용후핵연료가 갈 곳 없이 표류하고 있다는 KBS대구방송총국의 기획 보도, 나흘간 이어왔는데요,
취재기자와 함께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최보규 기자 나왔습니다.
최 기자, 당장 월성 원전 내 임시저장시설인 맥스터를 더 짓느냐 마느냐부터 최종 처분장 논의까지, 사용후핵연료 논의는 단계마다 갈등이 불거지는데요,
지난 40년 넘는 원전 역사에서 우리는 사용후핵연료 해법에 왜 조금도 가까이 가지 못한 겁니까?
[바로잡습니다] 리포트 영상 중 자막 “한국지질자원연구소”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으로 바로잡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갈 곳 없는 사용후핵연료]④ 핵폐기물 쌓이는데…최종처분장 가능할까
-
- 입력 2020-07-09 20:11:13
- 수정2020-07-10 15:28:14
[앵커]
국내 사용후핵연료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연속보도, 마지막 순서입니다.
월성원전 맥스터 증설 여부를 결정해야 할 시한이 임박했지만, 결과를 예측 못 할 만큼 논란은 여전합니다.
이는 사용후핵연료 최종 처분장 계획이 없기 때문인데요,
최종 처분장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과제는 무엇인지 최보규 기자가 짚어봅니다.
[리포트]
월성원전 맥스터를 증설할 지 말 지 사실상 판가름나는 것은 경주 지역 실행기구의 마지막 토론회가 예정된 오는 18일과 19일입니다.
여기서 도출된 숙의 결과는 재검토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절차를 밟은 뒤 맥스터 증설 또는 증설 계획 백지화로 확정됩니다.
만약 증설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돼 월성원전이 멈추더라도, 사용후핵연료를 어떻게 처분할지에 관한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습니다.
근본적인 해결책 중 하나는 국내 24개 원전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를 영구 보관하는 최종 처분장 건설.
맥스터 증설 논란의 근본 원인도, 최종 처분장이 없는 상태에서 맥스터가 임시가 아닌 영구 보관시설이 될 수 있다는 주민들의 우려에서 출발합니다.
하지만 최종 처분장 관련 논의는 지지부진합니다.
최종 처분장 입지 선정에 가장 기초가 되는 지질 조사마저 부족합니다.
[김유홍/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방사성폐기물지층처분연구단 단장 : "가능하기 위해서는 우리 심부 지질환경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충분히 구축돼 있어야 하는데 아직 그런 것들은 상당히 미진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또 하나 넘어야 할 큰 산은 사회적 합의입니다.
지난 1990년 충남 안면도, 2003년 전북 부안 등 방폐장 건설 과정이 주민의 강한 반발로 무산됐듯, 어떤 정책적, 기술적 결정도 사회적 합의 없이는 실현되기 힘듭니다.
[정범진/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 : "(우리나라는) 암반도 강한 편이에요. 기술적으로는 굉장히 쉬운 문제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반핵, 탈핵하는 분들이 의심을 짜낸 것이죠."]
[이정윤/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 : "장소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지역에서 10만 년 동안 저장하기 위한 기술 능력을 입증 못 하고 있어요.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자체가 사실상 기술적인 난제입니다."]
성공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현재의 공론화 작업 전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신뢰를 확보하지 못한 공론화로는 결국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40년 동안 아무런 결론 없이 방치된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
사용후핵연료 처분 문제는 현재의 우리, 그리고 앞으로의 우리에게도 함께 풀어가야 할 중요한 숙제로 남아있습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그래픽:정은옥
[앵커]
사용후핵연료가 갈 곳 없이 표류하고 있다는 KBS대구방송총국의 기획 보도, 나흘간 이어왔는데요,
취재기자와 함께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최보규 기자 나왔습니다.
최 기자, 당장 월성 원전 내 임시저장시설인 맥스터를 더 짓느냐 마느냐부터 최종 처분장 논의까지, 사용후핵연료 논의는 단계마다 갈등이 불거지는데요,
지난 40년 넘는 원전 역사에서 우리는 사용후핵연료 해법에 왜 조금도 가까이 가지 못한 겁니까?
[바로잡습니다] 리포트 영상 중 자막 “한국지질자원연구소”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으로 바로잡습니다.
-
-
최보규 기자 bokgil@kbs.co.kr
최보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