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5년까지 공공부문 경유차→친환경차량으로 교체

입력 2020.07.29 (11:21) 수정 2020.07.29 (11: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2025년까지 공공부문에서 경유차를 친환경 차량으로 교체합니다. 공용차와 서울시의 인‧허가가 필요한 시내버스, 택시, 공항버스, 시티투어버스까지 공공 분야 차량 모두 대상입니다.

서울시는 '서울시 경유차 퇴출(No Diesel) 추진계획'에 따라 앞으로 새롭게 구매하는 차량은 100% 친환경 차량으로 하고, 기존에 사용 중인 경유차는 교체 시기에 친환경 차량으로 바꿔나갈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지난 6일부터 시․자치구․산하기관의 차량구매 시 경유차 구매를 금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시․자치구․산하기관 공용차 ▴서울시설공단에서 운영 중인 장애인콜택시 ▴서울교통공사에서 철로 점검용 등으로 활용 중인 지하철 점검용 모터카의 경유차도 2025년까지 친환경 차로 교체합니다.

현재 경유 택시 전체 68,907대 가운데 239대를 조기폐차 하도록 하고, 기존 LPG 택시도 전기․수소 택시로 전환해 나갈 계획입니다. 친환경 차가 개발되지 않아 교체가 어려운 중형화물차, 소방차, 구급차, 청소차 등의 특수차 1,125대는 앞으로 차량 제조사와 개발을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조례개정 등을 통해 ▴공영주차장 경유차 주차요금 할증 ▴공영주차장 내 사업용 경유차 차고지 활용제한 ▴경유차 감축을 위한 기업체 교통량 감축 프로그램 개발 ▴거주자우선주차면 친환경 차 가점제 확대 등 경유차 소유와 이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제도 개선도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2025년까지 공공부문 경유차→친환경차량으로 교체
    • 입력 2020-07-29 11:21:08
    • 수정2020-07-29 11:32:21
    사회
서울시가 2025년까지 공공부문에서 경유차를 친환경 차량으로 교체합니다. 공용차와 서울시의 인‧허가가 필요한 시내버스, 택시, 공항버스, 시티투어버스까지 공공 분야 차량 모두 대상입니다.

서울시는 '서울시 경유차 퇴출(No Diesel) 추진계획'에 따라 앞으로 새롭게 구매하는 차량은 100% 친환경 차량으로 하고, 기존에 사용 중인 경유차는 교체 시기에 친환경 차량으로 바꿔나갈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지난 6일부터 시․자치구․산하기관의 차량구매 시 경유차 구매를 금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시․자치구․산하기관 공용차 ▴서울시설공단에서 운영 중인 장애인콜택시 ▴서울교통공사에서 철로 점검용 등으로 활용 중인 지하철 점검용 모터카의 경유차도 2025년까지 친환경 차로 교체합니다.

현재 경유 택시 전체 68,907대 가운데 239대를 조기폐차 하도록 하고, 기존 LPG 택시도 전기․수소 택시로 전환해 나갈 계획입니다. 친환경 차가 개발되지 않아 교체가 어려운 중형화물차, 소방차, 구급차, 청소차 등의 특수차 1,125대는 앞으로 차량 제조사와 개발을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조례개정 등을 통해 ▴공영주차장 경유차 주차요금 할증 ▴공영주차장 내 사업용 경유차 차고지 활용제한 ▴경유차 감축을 위한 기업체 교통량 감축 프로그램 개발 ▴거주자우선주차면 친환경 차 가점제 확대 등 경유차 소유와 이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제도 개선도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