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이전’ 부산 국회의원 전원 찬성

입력 2020.07.31 (08: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행정수도 이전 논의와 함께 100곳 안팎의 공공기관을 옮기는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도 가시화되고 있는데요.

KBS가 부산지역 국회의원 18명 모두에게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의견을 물었습니다. 

어떤 답변을 했는지 먼저 공웅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이 대통령에게 기본계획을 보고한 이후 본격화된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KBS는 민주당 3명, 미래통합당 15명 모두 18명의 부산 국회의원 전원을 상대로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생각을 물었습니다.

이전 찬반을 묻는 질문엔 한 사람도 빠지지 않고 18명 모두 찬성한다고 답했습니다. 

이전 시기에 대해서는 부산의 인구, 특히 젊은 층의 유출을 막기 위해서라도 최대한 빨리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한 의원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선거 쟁점화되는 걸 막기 위해 내년 상반기 중에는 이전 계획을 확정하자는 구체적인 답변도 나왔습니다.

공공기관 이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2차 이전이 필요하다는 데 여야 공감대가 형성된 겁니다.

[박재호/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문제도 부·울·경 신공항처럼 부산의 미래가 걸린 문제인 만큼 여야가 함께 힘을 모아서 함께 해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공공기관 입지 등도 정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김미애/국회의원/미래통합당 : "지금처럼 정부와 여당이 깜깜이로 진행할 게 아니라 관련 시도지사와 협의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대해서는 여야가 한마음이라는 게 확인됐습니다. 

그럼 어떤 기관을 옮겨와야 아직은 미완성인 혁신도시를 완성하고 부산경제의 활력이 될 수 있을까요? 

이도은 기자가 국회의원들의 생각을 물어봤습니다.

▼ “3대 국책은행 부산 와야”…이전 변수는?

국회의원들은 어떤 공공기관을 부산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생각할까?  

부산지역 국회의원 대부분이 반드시 이전해야 한다고 손꼽은 곳은 한국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등 3대 국책은행입니다. 

[백충기/BNK 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들의 부산 이전은 동남권 주력산업인 조선, 자동차 등 우리나라 대표적인 제조업이 이 위기를 이겨내고 향후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숫자 면에서도 금융 공공기관이 압도적입니다. 

이른바 알짜기관이 서울에 남아 있는 금융 공공기관은 5곳 이상이, 규모가 크지 않는 영상과 해양 공공기관은 5곳 이하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미 이전한 금융 공공기관과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예금보험공사와 서민금융진흥원, 한국무역보험공사 등도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영상 공공기관은 한국영상자료원과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해양 공공기관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과 한국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극지연구소 등이 이전하는 게 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공공기관 이전 대상지를 마련하고 이전 기관 직원의 생활여건 개선 작업을 먼저 시작해야 잡음을 줄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1차로 이전한 공공기관 노조가 사무공간과 보육시설을 추가로 확보하지 않으면 2차 공공기관 이전 반대운동을 벌이기로 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정영석/금융산업노조 한국주택금융공사지부 위원장 : "과연 누구를 위한 지방이전 정책인가? 부산으로 이전한 기관들의 고충 해소에 뒷짐지고 있는 부산시에 묻지 않을 수 없다."]

공공기관을 부산에 많이 유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전 기관 직원들이 부산에 잘 뿌리 내릴 수 있는 방법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도은입니다.

촬영기자:김창한/영상편집:전은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공기관 이전’ 부산 국회의원 전원 찬성
    • 입력 2020-07-31 08:09:55
    뉴스광장(부산)
[앵커] 최근 행정수도 이전 논의와 함께 100곳 안팎의 공공기관을 옮기는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도 가시화되고 있는데요. KBS가 부산지역 국회의원 18명 모두에게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의견을 물었습니다.  어떤 답변을 했는지 먼저 공웅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이 대통령에게 기본계획을 보고한 이후 본격화된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KBS는 민주당 3명, 미래통합당 15명 모두 18명의 부산 국회의원 전원을 상대로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생각을 물었습니다. 이전 찬반을 묻는 질문엔 한 사람도 빠지지 않고 18명 모두 찬성한다고 답했습니다.  이전 시기에 대해서는 부산의 인구, 특히 젊은 층의 유출을 막기 위해서라도 최대한 빨리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한 의원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선거 쟁점화되는 걸 막기 위해 내년 상반기 중에는 이전 계획을 확정하자는 구체적인 답변도 나왔습니다. 공공기관 이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2차 이전이 필요하다는 데 여야 공감대가 형성된 겁니다. [박재호/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문제도 부·울·경 신공항처럼 부산의 미래가 걸린 문제인 만큼 여야가 함께 힘을 모아서 함께 해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공공기관 입지 등도 정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김미애/국회의원/미래통합당 : "지금처럼 정부와 여당이 깜깜이로 진행할 게 아니라 관련 시도지사와 협의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대해서는 여야가 한마음이라는 게 확인됐습니다.  그럼 어떤 기관을 옮겨와야 아직은 미완성인 혁신도시를 완성하고 부산경제의 활력이 될 수 있을까요?  이도은 기자가 국회의원들의 생각을 물어봤습니다. ▼ “3대 국책은행 부산 와야”…이전 변수는? 국회의원들은 어떤 공공기관을 부산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생각할까?   부산지역 국회의원 대부분이 반드시 이전해야 한다고 손꼽은 곳은 한국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등 3대 국책은행입니다.  [백충기/BNK 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들의 부산 이전은 동남권 주력산업인 조선, 자동차 등 우리나라 대표적인 제조업이 이 위기를 이겨내고 향후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숫자 면에서도 금융 공공기관이 압도적입니다.  이른바 알짜기관이 서울에 남아 있는 금융 공공기관은 5곳 이상이, 규모가 크지 않는 영상과 해양 공공기관은 5곳 이하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미 이전한 금융 공공기관과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예금보험공사와 서민금융진흥원, 한국무역보험공사 등도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영상 공공기관은 한국영상자료원과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해양 공공기관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과 한국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극지연구소 등이 이전하는 게 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공공기관 이전 대상지를 마련하고 이전 기관 직원의 생활여건 개선 작업을 먼저 시작해야 잡음을 줄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1차로 이전한 공공기관 노조가 사무공간과 보육시설을 추가로 확보하지 않으면 2차 공공기관 이전 반대운동을 벌이기로 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정영석/금융산업노조 한국주택금융공사지부 위원장 : "과연 누구를 위한 지방이전 정책인가? 부산으로 이전한 기관들의 고충 해소에 뒷짐지고 있는 부산시에 묻지 않을 수 없다."] 공공기관을 부산에 많이 유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전 기관 직원들이 부산에 잘 뿌리 내릴 수 있는 방법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도은입니다. 촬영기자:김창한/영상편집:전은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