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당선 땐 미군 한국주둔 지지하는 전통정책 급히 복원”
입력 2020.08.02 (20:05)
수정 2020.08.02 (2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는 11월 치러는 미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당선된다면 주한미군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입장이 급선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전 부통령이 당선될 경우 외교정책에 중대변화를 주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며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를 대변하는 이들을 인용해 아시아 지역에서 시급히 추진될 사안 중 하나로 미군주둔 문제를 들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부통령이 한국과 일본에 미군이 주둔하는 것을 지지하는 미국의 전통적인 입장으로 복귀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의 이 같은 외교정책 변경안은 지난 27일 민주당 정강위원회가 발표한 대외정책 요강에도 반영된 바 있습니다.
정강위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통적 동맹관계를 훼손했다며 '동맹의 재창조'를 중요한 과제로 설정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동맹체제가 냉전 이후 시험대에 올랐다며 주독미군 감축 위협,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압박 등을 거론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캠프가 추진하는 다른 변화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태도를 들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전 부통령이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인 관계를 비판해왔다"며 이를 시급한 변경안으로 제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개인적 관계를 강조하며 역대 다른 북미 지도자들과 달리 수차례 친서를 교환하고 정상회담도 열었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은 김 위원장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를 권위주의 두둔으로 비판해왔습니다.
그는 작년에 열린 한 유세에서 "우리는 김정은과 같은 독재자와 폭군을 포용하는 국민이 아니지만 트럼프는 그렇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AP통신은 바이든 전 부통령이 당선될 경우 외교정책에 중대변화를 주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며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를 대변하는 이들을 인용해 아시아 지역에서 시급히 추진될 사안 중 하나로 미군주둔 문제를 들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부통령이 한국과 일본에 미군이 주둔하는 것을 지지하는 미국의 전통적인 입장으로 복귀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의 이 같은 외교정책 변경안은 지난 27일 민주당 정강위원회가 발표한 대외정책 요강에도 반영된 바 있습니다.
정강위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통적 동맹관계를 훼손했다며 '동맹의 재창조'를 중요한 과제로 설정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동맹체제가 냉전 이후 시험대에 올랐다며 주독미군 감축 위협,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압박 등을 거론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캠프가 추진하는 다른 변화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태도를 들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전 부통령이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인 관계를 비판해왔다"며 이를 시급한 변경안으로 제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개인적 관계를 강조하며 역대 다른 북미 지도자들과 달리 수차례 친서를 교환하고 정상회담도 열었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은 김 위원장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를 권위주의 두둔으로 비판해왔습니다.
그는 작년에 열린 한 유세에서 "우리는 김정은과 같은 독재자와 폭군을 포용하는 국민이 아니지만 트럼프는 그렇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이든 당선 땐 미군 한국주둔 지지하는 전통정책 급히 복원”
-
- 입력 2020-08-02 20:05:11
- 수정2020-08-02 20:10:25

오는 11월 치러는 미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당선된다면 주한미군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입장이 급선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전 부통령이 당선될 경우 외교정책에 중대변화를 주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며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를 대변하는 이들을 인용해 아시아 지역에서 시급히 추진될 사안 중 하나로 미군주둔 문제를 들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부통령이 한국과 일본에 미군이 주둔하는 것을 지지하는 미국의 전통적인 입장으로 복귀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의 이 같은 외교정책 변경안은 지난 27일 민주당 정강위원회가 발표한 대외정책 요강에도 반영된 바 있습니다.
정강위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통적 동맹관계를 훼손했다며 '동맹의 재창조'를 중요한 과제로 설정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동맹체제가 냉전 이후 시험대에 올랐다며 주독미군 감축 위협,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압박 등을 거론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캠프가 추진하는 다른 변화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태도를 들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전 부통령이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인 관계를 비판해왔다"며 이를 시급한 변경안으로 제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개인적 관계를 강조하며 역대 다른 북미 지도자들과 달리 수차례 친서를 교환하고 정상회담도 열었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은 김 위원장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를 권위주의 두둔으로 비판해왔습니다.
그는 작년에 열린 한 유세에서 "우리는 김정은과 같은 독재자와 폭군을 포용하는 국민이 아니지만 트럼프는 그렇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AP통신은 바이든 전 부통령이 당선될 경우 외교정책에 중대변화를 주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며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를 대변하는 이들을 인용해 아시아 지역에서 시급히 추진될 사안 중 하나로 미군주둔 문제를 들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부통령이 한국과 일본에 미군이 주둔하는 것을 지지하는 미국의 전통적인 입장으로 복귀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의 이 같은 외교정책 변경안은 지난 27일 민주당 정강위원회가 발표한 대외정책 요강에도 반영된 바 있습니다.
정강위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통적 동맹관계를 훼손했다며 '동맹의 재창조'를 중요한 과제로 설정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동맹체제가 냉전 이후 시험대에 올랐다며 주독미군 감축 위협,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압박 등을 거론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캠프가 추진하는 다른 변화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태도를 들었습니다.
AP통신은 "바이든 전 부통령이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인 관계를 비판해왔다"며 이를 시급한 변경안으로 제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개인적 관계를 강조하며 역대 다른 북미 지도자들과 달리 수차례 친서를 교환하고 정상회담도 열었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은 김 위원장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를 권위주의 두둔으로 비판해왔습니다.
그는 작년에 열린 한 유세에서 "우리는 김정은과 같은 독재자와 폭군을 포용하는 국민이 아니지만 트럼프는 그렇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박희봉 기자 thankyou@kbs.co.kr
박희봉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