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제방은 왜 무너졌나”…침수피해 주민들이 묻는다

입력 2020.08.12 (19: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약

큰비로 섬진강 인근 주민들 피해 막대
"몸만 간신히…살림살이 하나 못 건져"
"섬진강댐 방류 늘린 탓" 항의 잇따라
"수자원공사 책임져라" 집단행동 예고

무너진 섬진강 제방(전북 남원시 금지면)

무너진 섬진강 제방(전북 남원시 금지면)

■ 비가 오고 제방이 무너졌다…모든 게 잠겼다

지난 8일 오후 1시쯤 섬진강 제방이 무너졌습니다. 강줄기를 따라 설치된 제방이 100m가량 사라졌습니다. 강물은 바로 옆마을로 쏟아졌습니다. 전북 남원시 금지면 8개 마을이 물에 잠겼습니다. 농경지는 거대한 저수지로 변했습니다. 주택 지붕만 간신히 물 밖으로 드러났습니다. 주민에게 집이 어디냐고 물어봤습니다. 가리킨 곳에는 흙탕물만 보였습니다.

"몸만 나가라고 해서 나왔지. 그랬더니 이 모양이 돼버렸어."(이재민 김복례 씨)

"사정없이 들어왔어요, 물이. 감당할 수도 없이 그렇게 물이 들어왔어요. "(이재민 최기범 씨)

주민 300여 명은 제방이 무너지기 전 금지면 주민센터와 마을회관 4곳으로 대피했습니다. 이재민들은 할 말을 잃은 채 앉아 있었습니다. 어르신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매일 먹어야 할 혈압약조차 챙기지 못한 채 몸만 겨우 빠져나왔습니다.

섬진강 제방 붕괴로 침수된 전북 남원의 마을섬진강 제방 붕괴로 침수된 전북 남원의 마을

물이 빠진 마을은 처참했습니다. 침수된 가재도구가 골목마다 쌓여 있었습니다. 살림살이 하나 제대로 건지지 못할 만큼 피해는 막대했습니다. 전기와 수도가 끊겼고, 비까지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복구 작업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됐습니다. 어느 것 하나 도와주지 않는 상황. 답답한 점은 더 있었습니다.

"우리 집이 이렇게 난리가 나도 누가 나와서 단 한마디 말하는 사람이 없잖아요. 알려주는 사람도 없잖아요. 왜 이렇게 됐는지도 모르잖아요."(이재민 최정순 씨)

제방이 왜 무너졌는지, 무엇 때문에 피해가 커졌는지, 누구 하나 속 시원하게 이야기해주지 않는다는 겁니다. 피해 주민들은 하소연할 곳조차 찾지 못한 채 묵묵히 물에 잠겼던 집을 치우고 있었습니다.

■ "댐 방류량 급격히 늘린 탓"…"어쩔 수 없었다"

원인을 밝혀 달라는 주민들의 목소리는 컸습니다. 지방의원들이 움직였습니다. 지난 11일, 침수 피해를 본 순창과 임실의 지방의원 10명이 수자원공사 섬진강댐지사를 항의 방문했습니다.

"피해에 대한 철저한 진상을 규명하라!"

지방의원들은 구호를 외친 뒤 수자원공사 관계자들과 만났습니다. 제방 붕괴 6시간 전까지 600톤 정도였던 방류량을 붕괴 직전 3배로 급격히 늘린 이유를 캐물었습니다. 큰비가 예보돼 있었지만, 댐 안의 물을 왜 미리 빼놓지 않았는지 따졌습니다. 의원 한 명은 "댐 안의 물이 곧 돈이다 보니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며, 수자원공사가 자기 재산을 지키려다 주민들 재산에 피해를 준 것"이라는 주장도 내놨습니다.

]방류 중인 섬진강댐]방류 중인 섬진강댐

수자원공사는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댐 일대에 하루 동안 400mm 넘는 비가 내린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답했습니다. 붕괴 당일 아침부터 섬진강 하류의 침수가 시작됐다며, 방류하면 피해가 더 커질까봐 최대한 물을 가둬두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댐까지 위태로워지자 방류량을 늘릴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전 방류를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생활, 농업용수 부족이 우려돼 무작정 수위를 낮출 수 없었다고 답변했습니다.

30분 동안 이어진 대화는 평행선을 달리다가 끝났습니다.

■ 뿔난 피해 지자체들, 집단행동 예고

섬진강 인근 지자체들은 단단히 뿔이 났습니다. 화살은 섬진강댐 방류량을 결정하는 수자원공사와 환경부로 향하고 있습니다. 전북 순창, 임실, 전남 곡성 등 피해를 입은 지자체들은 13일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본사를 찾아갑니다. 지자체들은 특별재난지역 지정과 피해 보상을 요구합니다. 또, 수자원공사와 농어촌공사, 한국수력원자력 3개 기관이 맡고 있는 섬진강댐 관리도 하나로 합쳐달라고 건의합니다. 실현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국무총리까지 나서 주문한 것처럼 원인 규명은 필요해 보입니다. 같은 일이 되풀이되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피해는 있지만, 관계기관들은 책임이 없다고 말합니다. 주민들은 묻습니다. "왜 제방이 무너졌고, 무엇이 피해를 키웠느냐"고. 앞으로 이뤄질 조사에서 답변을 들을 수 있길 바랍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섬진강 제방은 왜 무너졌나”…침수피해 주민들이 묻는다
    • 입력 2020-08-12 19:06:03
    취재K
큰비로 섬진강 인근 주민들 피해 막대 <br />"몸만 간신히…살림살이 하나 못 건져" <br />"섬진강댐 방류 늘린 탓" 항의 잇따라 <br />"수자원공사 책임져라" 집단행동 예고

무너진 섬진강 제방(전북 남원시 금지면)

■ 비가 오고 제방이 무너졌다…모든 게 잠겼다

지난 8일 오후 1시쯤 섬진강 제방이 무너졌습니다. 강줄기를 따라 설치된 제방이 100m가량 사라졌습니다. 강물은 바로 옆마을로 쏟아졌습니다. 전북 남원시 금지면 8개 마을이 물에 잠겼습니다. 농경지는 거대한 저수지로 변했습니다. 주택 지붕만 간신히 물 밖으로 드러났습니다. 주민에게 집이 어디냐고 물어봤습니다. 가리킨 곳에는 흙탕물만 보였습니다.

"몸만 나가라고 해서 나왔지. 그랬더니 이 모양이 돼버렸어."(이재민 김복례 씨)

"사정없이 들어왔어요, 물이. 감당할 수도 없이 그렇게 물이 들어왔어요. "(이재민 최기범 씨)

주민 300여 명은 제방이 무너지기 전 금지면 주민센터와 마을회관 4곳으로 대피했습니다. 이재민들은 할 말을 잃은 채 앉아 있었습니다. 어르신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매일 먹어야 할 혈압약조차 챙기지 못한 채 몸만 겨우 빠져나왔습니다.

섬진강 제방 붕괴로 침수된 전북 남원의 마을
물이 빠진 마을은 처참했습니다. 침수된 가재도구가 골목마다 쌓여 있었습니다. 살림살이 하나 제대로 건지지 못할 만큼 피해는 막대했습니다. 전기와 수도가 끊겼고, 비까지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복구 작업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됐습니다. 어느 것 하나 도와주지 않는 상황. 답답한 점은 더 있었습니다.

"우리 집이 이렇게 난리가 나도 누가 나와서 단 한마디 말하는 사람이 없잖아요. 알려주는 사람도 없잖아요. 왜 이렇게 됐는지도 모르잖아요."(이재민 최정순 씨)

제방이 왜 무너졌는지, 무엇 때문에 피해가 커졌는지, 누구 하나 속 시원하게 이야기해주지 않는다는 겁니다. 피해 주민들은 하소연할 곳조차 찾지 못한 채 묵묵히 물에 잠겼던 집을 치우고 있었습니다.

■ "댐 방류량 급격히 늘린 탓"…"어쩔 수 없었다"

원인을 밝혀 달라는 주민들의 목소리는 컸습니다. 지방의원들이 움직였습니다. 지난 11일, 침수 피해를 본 순창과 임실의 지방의원 10명이 수자원공사 섬진강댐지사를 항의 방문했습니다.

"피해에 대한 철저한 진상을 규명하라!"

지방의원들은 구호를 외친 뒤 수자원공사 관계자들과 만났습니다. 제방 붕괴 6시간 전까지 600톤 정도였던 방류량을 붕괴 직전 3배로 급격히 늘린 이유를 캐물었습니다. 큰비가 예보돼 있었지만, 댐 안의 물을 왜 미리 빼놓지 않았는지 따졌습니다. 의원 한 명은 "댐 안의 물이 곧 돈이다 보니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며, 수자원공사가 자기 재산을 지키려다 주민들 재산에 피해를 준 것"이라는 주장도 내놨습니다.

]방류 중인 섬진강댐
수자원공사는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댐 일대에 하루 동안 400mm 넘는 비가 내린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답했습니다. 붕괴 당일 아침부터 섬진강 하류의 침수가 시작됐다며, 방류하면 피해가 더 커질까봐 최대한 물을 가둬두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댐까지 위태로워지자 방류량을 늘릴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전 방류를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생활, 농업용수 부족이 우려돼 무작정 수위를 낮출 수 없었다고 답변했습니다.

30분 동안 이어진 대화는 평행선을 달리다가 끝났습니다.

■ 뿔난 피해 지자체들, 집단행동 예고

섬진강 인근 지자체들은 단단히 뿔이 났습니다. 화살은 섬진강댐 방류량을 결정하는 수자원공사와 환경부로 향하고 있습니다. 전북 순창, 임실, 전남 곡성 등 피해를 입은 지자체들은 13일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본사를 찾아갑니다. 지자체들은 특별재난지역 지정과 피해 보상을 요구합니다. 또, 수자원공사와 농어촌공사, 한국수력원자력 3개 기관이 맡고 있는 섬진강댐 관리도 하나로 합쳐달라고 건의합니다. 실현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국무총리까지 나서 주문한 것처럼 원인 규명은 필요해 보입니다. 같은 일이 되풀이되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피해는 있지만, 관계기관들은 책임이 없다고 말합니다. 주민들은 묻습니다. "왜 제방이 무너졌고, 무엇이 피해를 키웠느냐"고. 앞으로 이뤄질 조사에서 답변을 들을 수 있길 바랍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