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형’ 유튜버 수입, 월평균 934만원”
입력 2020.10.06 (19:14)
수정 2020.10.06 (20: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세당국에 사업자 등록을 한 직업 ‘유튜버’들의 월평균 수익이 천만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세청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박홍근 의원에게 제출한 1인 미디어 창작자(이하 유튜버) 등록 현황과 수입신고 현황을 보면 지난해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등록을 한 사업자가 신고한 하반기 수입금액은 184억9천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9월 국세청이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신종업종코드를 신설한 이래 유튜버 총 691명이 사업자로 등록했습니다. 근로자나 시설이 없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면세사업자)가 332명, 근로자와 시설을 갖춘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이 359명입니다.
과세사업자 유튜버 가운데 지난해 하반기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는 330명으로, 1인당 월평균 수입은 약 934만 원꼴이라고 박홍근 의원은 분석했습니다.
올해 8월 기준으로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과세+면세)로 등록한 개인사업자는 모두 2천387명으로 급증했습니다.
박홍근 의원은 “한국인이 만든 유튜브 채널 중 구독자가 1만 명 이상인 유튜버가 올해 5월 기준 4천379명인 점을 고려하면 과세 사각지대에 있는 유튜버가 여전히 많다”고 추정했습니다.
유튜버의 수입신고액 가운데 구글로부터 받은 광고수익은 73억6천만 원으로, 총수입의 40% 수준입니다.
동영상에 붙은 유튜브 광고보다는 간접광고(PPL)나 협찬료 형태로 발생한 수입이 더 많은 셈입니다.
박 의원은 “최근 ‘뒷광고’(대가를 받은 사실을 숨기고 제품을 선전하는 행위) 논란에서도 볼 수 있듯이 다수 창작자가 과세 사각지대에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며 “국세청은 협찬 등에 따른 과세도 누락되지 않도록 더 적극적으로 성실신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세청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박홍근 의원에게 제출한 1인 미디어 창작자(이하 유튜버) 등록 현황과 수입신고 현황을 보면 지난해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등록을 한 사업자가 신고한 하반기 수입금액은 184억9천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9월 국세청이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신종업종코드를 신설한 이래 유튜버 총 691명이 사업자로 등록했습니다. 근로자나 시설이 없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면세사업자)가 332명, 근로자와 시설을 갖춘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이 359명입니다.
과세사업자 유튜버 가운데 지난해 하반기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는 330명으로, 1인당 월평균 수입은 약 934만 원꼴이라고 박홍근 의원은 분석했습니다.
올해 8월 기준으로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과세+면세)로 등록한 개인사업자는 모두 2천387명으로 급증했습니다.
박홍근 의원은 “한국인이 만든 유튜브 채널 중 구독자가 1만 명 이상인 유튜버가 올해 5월 기준 4천379명인 점을 고려하면 과세 사각지대에 있는 유튜버가 여전히 많다”고 추정했습니다.
유튜버의 수입신고액 가운데 구글로부터 받은 광고수익은 73억6천만 원으로, 총수입의 40% 수준입니다.
동영상에 붙은 유튜브 광고보다는 간접광고(PPL)나 협찬료 형태로 발생한 수입이 더 많은 셈입니다.
박 의원은 “최근 ‘뒷광고’(대가를 받은 사실을 숨기고 제품을 선전하는 행위) 논란에서도 볼 수 있듯이 다수 창작자가 과세 사각지대에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며 “국세청은 협찬 등에 따른 과세도 누락되지 않도록 더 적극적으로 성실신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업형’ 유튜버 수입, 월평균 934만원”
-
- 입력 2020-10-06 19:14:44
- 수정2020-10-06 20:07:06

과세당국에 사업자 등록을 한 직업 ‘유튜버’들의 월평균 수익이 천만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세청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박홍근 의원에게 제출한 1인 미디어 창작자(이하 유튜버) 등록 현황과 수입신고 현황을 보면 지난해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등록을 한 사업자가 신고한 하반기 수입금액은 184억9천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9월 국세청이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신종업종코드를 신설한 이래 유튜버 총 691명이 사업자로 등록했습니다. 근로자나 시설이 없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면세사업자)가 332명, 근로자와 시설을 갖춘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이 359명입니다.
과세사업자 유튜버 가운데 지난해 하반기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는 330명으로, 1인당 월평균 수입은 약 934만 원꼴이라고 박홍근 의원은 분석했습니다.
올해 8월 기준으로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과세+면세)로 등록한 개인사업자는 모두 2천387명으로 급증했습니다.
박홍근 의원은 “한국인이 만든 유튜브 채널 중 구독자가 1만 명 이상인 유튜버가 올해 5월 기준 4천379명인 점을 고려하면 과세 사각지대에 있는 유튜버가 여전히 많다”고 추정했습니다.
유튜버의 수입신고액 가운데 구글로부터 받은 광고수익은 73억6천만 원으로, 총수입의 40% 수준입니다.
동영상에 붙은 유튜브 광고보다는 간접광고(PPL)나 협찬료 형태로 발생한 수입이 더 많은 셈입니다.
박 의원은 “최근 ‘뒷광고’(대가를 받은 사실을 숨기고 제품을 선전하는 행위) 논란에서도 볼 수 있듯이 다수 창작자가 과세 사각지대에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며 “국세청은 협찬 등에 따른 과세도 누락되지 않도록 더 적극적으로 성실신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세청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박홍근 의원에게 제출한 1인 미디어 창작자(이하 유튜버) 등록 현황과 수입신고 현황을 보면 지난해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등록을 한 사업자가 신고한 하반기 수입금액은 184억9천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9월 국세청이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신종업종코드를 신설한 이래 유튜버 총 691명이 사업자로 등록했습니다. 근로자나 시설이 없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면세사업자)가 332명, 근로자와 시설을 갖춘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이 359명입니다.
과세사업자 유튜버 가운데 지난해 하반기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는 330명으로, 1인당 월평균 수입은 약 934만 원꼴이라고 박홍근 의원은 분석했습니다.
올해 8월 기준으로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과세+면세)로 등록한 개인사업자는 모두 2천387명으로 급증했습니다.
박홍근 의원은 “한국인이 만든 유튜브 채널 중 구독자가 1만 명 이상인 유튜버가 올해 5월 기준 4천379명인 점을 고려하면 과세 사각지대에 있는 유튜버가 여전히 많다”고 추정했습니다.
유튜버의 수입신고액 가운데 구글로부터 받은 광고수익은 73억6천만 원으로, 총수입의 40% 수준입니다.
동영상에 붙은 유튜브 광고보다는 간접광고(PPL)나 협찬료 형태로 발생한 수입이 더 많은 셈입니다.
박 의원은 “최근 ‘뒷광고’(대가를 받은 사실을 숨기고 제품을 선전하는 행위) 논란에서도 볼 수 있듯이 다수 창작자가 과세 사각지대에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며 “국세청은 협찬 등에 따른 과세도 누락되지 않도록 더 적극적으로 성실신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임종빈 기자 chef@kbs.co.kr
임종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