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발언두고 中 누리꾼 이상 과열 논란…왜?

입력 2020.10.13 (23:35) 수정 2020.10.13 (23: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 인터넷상에서도 요 며칠 BTS가 화제입니다.

빌보드 1위 소식 때문이라기 보다는 최근 발언을 두고 논란이 벌어졌기 때문인데요.

자세한 내용, 베이징 연결해서 들어보겠습니다.

이랑 특파원! 방탄소년단의 어떤 발언이 중국 네티즌들 사이 논란이 된거죠?

[기자]

네 논란이 된 발언은 BTS가 '밴 플리트상'을 받으면서 한 수상 소감입니다.

이 상은 미국의 한 비영리단체가 매년 한미 관계 발전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는 상입니다.

BTS의 발언 먼저 직접 들어보시죠.

[RM/BTS 리더 : “올해 행사는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의미가 남다릅니다. 우리는 양국이 함께 겪은 고난의 역사와 수많은 남녀의 희생을 영원히 기억할 것입니다.”]

중국 네티즌들은 바로 양국, 한국과 미국이 겪은 고난의 역사, 이 부분을 문제 삼았습니다.

중국을 존중하지 않았다는 건데, 관영매체인 환구시보가 관련 기사를 쓰자 논란은 더 커졌습니다.

[앵커]

대체 어느 부분이 '정치적'이라는 건지 잘 모르겠는데, 중국 네티즌들은 왜 이렇게까지 화를 내는 건가요?

[기자]

네 저도 처음에는 중국을 언급하지 않았는데 왜 화가 난다는 걸까 의아했는데요.

그들위 분노, 그 이면에는 현 상황이 관련돼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한국전쟁을 항미원조전쟁으로 부르고 있는데요.

그러니까 북한을 도와서 미국으로부터 북한과 중국을 지켜냈다는 뜻입니다.

특히 올해는 중공군이 한국전쟁에 군사 개입을 한지 70년이 되는 해여서, 중국 당국은 관련 영화 등을 만들고 애국심을 부추기고 있는데요.

최근 미국과의 패권 다툼 속에서 이 '항미' 정신이 더욱 강조되면서, 과열된 분위기가 이번 논란까지 불렀다는 겁니다.

[앵커]

그런데 이게 그냥 논란으로만 끝나지 않아서 문제 아닙니까?

[기자]

네 그렇습니다.

실제 BTS가 모델로 활동하는 한국 기업으로 불똥이 튀었습니다.

삼성, 현대차 등의 중국 법인들은 서둘러 중국 홈페이지 등에서 BTS 관련 게시물을 삭제했습니다.

앞서 사드 배치 문제가 내려진 한한령이 완전히 풀리지도 않았는데 또 다시 타격이 있을까 우려해서 행동에 나선 겁니다.

앞서 중국에서는 독일의 메르세데스-벤츠가 SNS에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의 발언을 인용했다는 이유로 불매운동에 휩싸인 적이 있고요.

미국의 패션 브랜드 갭 역시 한때 타이완이 빠진 지도가 그려진 티셔츠를 팔았다가 중국측의 사과 요구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앵커]

분명 논란이 과열된 것 같은데요.

외신들이나 팬들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외신들도 바로 이런 중국의 애국주의를 일제히 지적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중국 누리꾼들이 방탄소년단(BTS)의 악의 없는 발언을 공격했다"고 전했고요.

다른 외신들 역시 중국에서는 대형 기업들도 민족주의에 희생당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BTS 팬들이죠, 아미들도 중국 네티즌들의 분노가 도를 넘었다는 반응입니다.

중국 외교부도 수습에 나섰습니다.

[자오리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역사를 거울삼아 미래를 향하고 우호를 도모하는 것은 우리가 함께 추구해야 하며 함께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런 점들을 부담으로 느꼈는지 하루 사이 논란은 많이 수그러들었습니다.

이 문제를 처음 보도한 관영언론인 환구시보도 공식 사이트에서 관련 기사를 삭제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 제작:김현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BTS 발언두고 中 누리꾼 이상 과열 논란…왜?
    • 입력 2020-10-13 23:35:12
    • 수정2020-10-13 23:58:43
    뉴스라인 W
[앵커]

중국 인터넷상에서도 요 며칠 BTS가 화제입니다.

빌보드 1위 소식 때문이라기 보다는 최근 발언을 두고 논란이 벌어졌기 때문인데요.

자세한 내용, 베이징 연결해서 들어보겠습니다.

이랑 특파원! 방탄소년단의 어떤 발언이 중국 네티즌들 사이 논란이 된거죠?

[기자]

네 논란이 된 발언은 BTS가 '밴 플리트상'을 받으면서 한 수상 소감입니다.

이 상은 미국의 한 비영리단체가 매년 한미 관계 발전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는 상입니다.

BTS의 발언 먼저 직접 들어보시죠.

[RM/BTS 리더 : “올해 행사는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의미가 남다릅니다. 우리는 양국이 함께 겪은 고난의 역사와 수많은 남녀의 희생을 영원히 기억할 것입니다.”]

중국 네티즌들은 바로 양국, 한국과 미국이 겪은 고난의 역사, 이 부분을 문제 삼았습니다.

중국을 존중하지 않았다는 건데, 관영매체인 환구시보가 관련 기사를 쓰자 논란은 더 커졌습니다.

[앵커]

대체 어느 부분이 '정치적'이라는 건지 잘 모르겠는데, 중국 네티즌들은 왜 이렇게까지 화를 내는 건가요?

[기자]

네 저도 처음에는 중국을 언급하지 않았는데 왜 화가 난다는 걸까 의아했는데요.

그들위 분노, 그 이면에는 현 상황이 관련돼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한국전쟁을 항미원조전쟁으로 부르고 있는데요.

그러니까 북한을 도와서 미국으로부터 북한과 중국을 지켜냈다는 뜻입니다.

특히 올해는 중공군이 한국전쟁에 군사 개입을 한지 70년이 되는 해여서, 중국 당국은 관련 영화 등을 만들고 애국심을 부추기고 있는데요.

최근 미국과의 패권 다툼 속에서 이 '항미' 정신이 더욱 강조되면서, 과열된 분위기가 이번 논란까지 불렀다는 겁니다.

[앵커]

그런데 이게 그냥 논란으로만 끝나지 않아서 문제 아닙니까?

[기자]

네 그렇습니다.

실제 BTS가 모델로 활동하는 한국 기업으로 불똥이 튀었습니다.

삼성, 현대차 등의 중국 법인들은 서둘러 중국 홈페이지 등에서 BTS 관련 게시물을 삭제했습니다.

앞서 사드 배치 문제가 내려진 한한령이 완전히 풀리지도 않았는데 또 다시 타격이 있을까 우려해서 행동에 나선 겁니다.

앞서 중국에서는 독일의 메르세데스-벤츠가 SNS에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의 발언을 인용했다는 이유로 불매운동에 휩싸인 적이 있고요.

미국의 패션 브랜드 갭 역시 한때 타이완이 빠진 지도가 그려진 티셔츠를 팔았다가 중국측의 사과 요구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앵커]

분명 논란이 과열된 것 같은데요.

외신들이나 팬들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외신들도 바로 이런 중국의 애국주의를 일제히 지적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중국 누리꾼들이 방탄소년단(BTS)의 악의 없는 발언을 공격했다"고 전했고요.

다른 외신들 역시 중국에서는 대형 기업들도 민족주의에 희생당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BTS 팬들이죠, 아미들도 중국 네티즌들의 분노가 도를 넘었다는 반응입니다.

중국 외교부도 수습에 나섰습니다.

[자오리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역사를 거울삼아 미래를 향하고 우호를 도모하는 것은 우리가 함께 추구해야 하며 함께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런 점들을 부담으로 느꼈는지 하루 사이 논란은 많이 수그러들었습니다.

이 문제를 처음 보도한 관영언론인 환구시보도 공식 사이트에서 관련 기사를 삭제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 제작:김현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