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소·부·장 기술 수준, 선진국 대비 85%로 높일것”

입력 2020.10.14 (20:12) 수정 2020.10.14 (20: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는 2025년까지 소재·부품·장비의 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85%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홍남기 부총리는 오늘(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위원회’에서 모두 발언을 통해 “(올해) 4월 시행된 소부장특별법에 따라 5년 단위 기본계획을 확정하겠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홍 부총리는 “‘소부장 강국 도약’이라는 비전 아래 첨단 소부장 육성을 위한 생산역량 및 공급망 강화, 첨단기업 집적화를 통한 첨단산업 글로벌 허브 구축, 범부처·민관의 긴밀한 공조체계 가동이라는 3가지 중점 전략을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기본계획이 착실히 이행되면 2025년까지 ‘포브스 2000(미국 포브스지가 발표하는 글로벌 2천대 기업 명단)’ 내 한국 소부장 기업 수는 11개에서 20개로 늘고 선진국 대비 소부장 기술 수준은 80% 초반에서 85%로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홍 부총리는 또, 기계분야 핵심모듈, 고부가 광학 및 점·접착용 신소재, 반도체 검사장비용 부품·소재 등 5개 핵심 소부장 개발을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사업(협력모델·상생모델)을 승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승인하는 사업 중에는 협동연구와 개발·구매 연계뿐 아니라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공동 투자해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사례가 포함됐습니다.

홍 부총리는 “이번 승인을 통해 기업 수요에 맞춘 R&D, 자금, 세제, 인력·인프라, 환경·노동 규제 특례 등을 촘촘하게 지원할 예정”이라며 “이번 협력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2025년까지 약 1천300억 원 규모의 민간투자와 약 1천 명 규모 신규고용이 창출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소부장 R&D 고도화 정책 방향도 제시했습니다.

홍 부총리는 “기존 공급망 안정을 넘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선도품목을 선제 발굴하고, 미래 신소재에 대한 부처간 R&D ‘이어달리기 트랙’ 신설, 10년 이상 장기연구 및 기술축적을 지원하는 ‘오래달리기’ 추진 등으로 기술에서 시장까지 연계되는 전주기 R&D를 한층 체계화하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고가의 연구용 특수 장비에 대해 신속 구매절차를 도입해 구매 소요기간을 대폭 단축하고 코로나19로 위축된 기업의 R&D 투자 여력 보완을 위해 기업의 연구비 매칭 부담 기준을 대·중견기업은 25% 이상으로, 중소기업은 20% 이상으로 완화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홍 부총리는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 허브 시스템을 구축해 현재 산재해있는 소재 연구개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활용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홍 부총리는 “기업들에 소재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등 3대 서비스를 제공해 기획부터 상용화까지 전주기를 빈틈없이 지원하겠다”며 “이를 통해 신소재 개발 기간 등이 최대 50%까지 단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남기 “소·부·장 기술 수준, 선진국 대비 85%로 높일것”
    • 입력 2020-10-14 20:12:09
    • 수정2020-10-14 20:28:04
    경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는 2025년까지 소재·부품·장비의 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85%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홍남기 부총리는 오늘(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위원회’에서 모두 발언을 통해 “(올해) 4월 시행된 소부장특별법에 따라 5년 단위 기본계획을 확정하겠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홍 부총리는 “‘소부장 강국 도약’이라는 비전 아래 첨단 소부장 육성을 위한 생산역량 및 공급망 강화, 첨단기업 집적화를 통한 첨단산업 글로벌 허브 구축, 범부처·민관의 긴밀한 공조체계 가동이라는 3가지 중점 전략을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기본계획이 착실히 이행되면 2025년까지 ‘포브스 2000(미국 포브스지가 발표하는 글로벌 2천대 기업 명단)’ 내 한국 소부장 기업 수는 11개에서 20개로 늘고 선진국 대비 소부장 기술 수준은 80% 초반에서 85%로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홍 부총리는 또, 기계분야 핵심모듈, 고부가 광학 및 점·접착용 신소재, 반도체 검사장비용 부품·소재 등 5개 핵심 소부장 개발을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사업(협력모델·상생모델)을 승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승인하는 사업 중에는 협동연구와 개발·구매 연계뿐 아니라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공동 투자해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사례가 포함됐습니다.

홍 부총리는 “이번 승인을 통해 기업 수요에 맞춘 R&D, 자금, 세제, 인력·인프라, 환경·노동 규제 특례 등을 촘촘하게 지원할 예정”이라며 “이번 협력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2025년까지 약 1천300억 원 규모의 민간투자와 약 1천 명 규모 신규고용이 창출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소부장 R&D 고도화 정책 방향도 제시했습니다.

홍 부총리는 “기존 공급망 안정을 넘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선도품목을 선제 발굴하고, 미래 신소재에 대한 부처간 R&D ‘이어달리기 트랙’ 신설, 10년 이상 장기연구 및 기술축적을 지원하는 ‘오래달리기’ 추진 등으로 기술에서 시장까지 연계되는 전주기 R&D를 한층 체계화하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고가의 연구용 특수 장비에 대해 신속 구매절차를 도입해 구매 소요기간을 대폭 단축하고 코로나19로 위축된 기업의 R&D 투자 여력 보완을 위해 기업의 연구비 매칭 부담 기준을 대·중견기업은 25% 이상으로, 중소기업은 20% 이상으로 완화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홍 부총리는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 허브 시스템을 구축해 현재 산재해있는 소재 연구개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활용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홍 부총리는 “기업들에 소재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등 3대 서비스를 제공해 기획부터 상용화까지 전주기를 빈틈없이 지원하겠다”며 “이를 통해 신소재 개발 기간 등이 최대 50%까지 단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