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 6시간 만에 감염 끝”…코로나19 ‘치명성’ 3D 폐포로 봤다

입력 2020.10.26 (21:18) 수정 2020.10.26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왜 이렇게 질기고, 전파력이 강한 걸까요?

우리나라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실제 사람의 폐 조직을 3차원으로 배양해 바이러스에 노출시켜 봤더니, 세포가 감염되는데 6시간이면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김유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사람 폐 속으로 들어온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이 갈고리처럼 달라붙어 인체 세포에 침투합니다.

감염의 시작입니다.

이렇게 침투한 코로나19가 폐 세포를 완전히 감염시키는데, 6시간이면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인체가 저항하기 시작하는 '면역 반응'은 이틀이 지나서야 시작됐습니다.

그사이 세포는 급격히 파괴됐습니다.

입자 여러 개가 세포를 감염시키는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코로나19는 입자 하나면 충분했습니다.

[주영석/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교수 : "(노출) 6시간 정도 지나면 바이러스가 증식해서 거의 최고 수준의 감염도를 보입니다. 세포 수준에서 보면 굉장히 빠른 시간 내에 감염이 완료되는 셈이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실제 인체의 허파꽈리 조직을 3차원으로 배양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가능했습니다.

배양된 조직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실제 사람에게는 불가능한 실험을 세계 최초로 구현한 겁니다.

실험실에서 많이 쓰는 생쥐의 경우 코로나19에 잘 감염되지 않고, 족제비 등을 이용한 감염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인체와는 달라 한계가 있었습니다.

[주영석/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교수 : "인간의 폐 세포가 아니었기 때문에 (감염 실험) 모델을 찾는데 굉장히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가 됐었는데, 사람의 폐를 우리가 배양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런 노력을 들일 필요 없이 사람 폐에 직접 바이러스를 감염시켜서 연구를 할 수 있는 길이 마련."]

연구팀은 앞으로 다른 신종 바이러스도 3차원 허파꽈리 조직에 투입해 빠른 규명이 가능하고, 치료제 개발 속도도 앞당길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이희문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침투 6시간 만에 감염 끝”…코로나19 ‘치명성’ 3D 폐포로 봤다
    • 입력 2020-10-26 21:18:33
    • 수정2020-10-26 22:06:56
    뉴스 9
[앵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왜 이렇게 질기고, 전파력이 강한 걸까요?

우리나라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실제 사람의 폐 조직을 3차원으로 배양해 바이러스에 노출시켜 봤더니, 세포가 감염되는데 6시간이면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김유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사람 폐 속으로 들어온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이 갈고리처럼 달라붙어 인체 세포에 침투합니다.

감염의 시작입니다.

이렇게 침투한 코로나19가 폐 세포를 완전히 감염시키는데, 6시간이면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인체가 저항하기 시작하는 '면역 반응'은 이틀이 지나서야 시작됐습니다.

그사이 세포는 급격히 파괴됐습니다.

입자 여러 개가 세포를 감염시키는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코로나19는 입자 하나면 충분했습니다.

[주영석/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교수 : "(노출) 6시간 정도 지나면 바이러스가 증식해서 거의 최고 수준의 감염도를 보입니다. 세포 수준에서 보면 굉장히 빠른 시간 내에 감염이 완료되는 셈이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실제 인체의 허파꽈리 조직을 3차원으로 배양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가능했습니다.

배양된 조직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실제 사람에게는 불가능한 실험을 세계 최초로 구현한 겁니다.

실험실에서 많이 쓰는 생쥐의 경우 코로나19에 잘 감염되지 않고, 족제비 등을 이용한 감염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인체와는 달라 한계가 있었습니다.

[주영석/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교수 : "인간의 폐 세포가 아니었기 때문에 (감염 실험) 모델을 찾는데 굉장히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가 됐었는데, 사람의 폐를 우리가 배양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런 노력을 들일 필요 없이 사람 폐에 직접 바이러스를 감염시켜서 연구를 할 수 있는 길이 마련."]

연구팀은 앞으로 다른 신종 바이러스도 3차원 허파꽈리 조직에 투입해 빠른 규명이 가능하고, 치료제 개발 속도도 앞당길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이희문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