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 전 창녕 비화가야 지배자 무덤에서 장신구 다량 출토

입력 2020.10.28 (10:47) 수정 2020.10.28 (11: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 1천500년 전 비화가야 지배자 무덤에서 장신구가 다량 출토됐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지금까지 한 번도 도굴되지 않았던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에서 금동관 등 다량의 장신구가 피장자에 부착됐던 상태로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비화가야 최고 지배자 묘역으로, 목마산과 화왕산 기슭에 조성돼 있습니다. 비화가야는 창녕을 거점으로 삼은 가야 세력입니다.

특히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전반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63호분은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 있는 무덤 250여 기 가운데 유일하게 도굴 흔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014년부터 이곳 고분군 중에서 미정비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해 왔습니다. 지난해 11월 39호분 봉토에 가려져 있었던 63호분의 매장주체부(시신을 안치하는 곳)를 열었으며, 올해 본격적인 조사를 통해 매장 당시 피장자를 장식했던 장신구 일체를 확인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금동관을 비롯해 금동 드리개(늘어뜨린 장식)와 막대장식, 금으로 만든 굵은고리귀걸이 1쌍, 남색 유리구슬을 3∼4줄로 엮어 만든 목걸이, 은반지, 은허리띠 등이 출토됐습니다. 신발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연구소는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 고분 중 머리에서 허리 부분까지 매장 당시 착장했던 유물이 제 위치에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들 유물이 출토된 63호분의 석곽은 길이 640㎝, 너비 130㎝, 깊이 190㎝ 규모로, 피장자는 머리를 남쪽으로 두고 있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측은 "피장자 주변에서 나무 재질 흔적과 꺾쇠들이 확인돼 상자형 목관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굵은고리귀걸이가 발견되고, 큰 칼을 착장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이 무덤의 주인은 여성일 가능성이 크며, 발견된 꺾쇠 위치를 통해 관의 크기를 추정했을 때 키는 155cm 정도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비화가야 지역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진행된 약탈과 도굴로, 당시 지배계층의 상징물이었던 금동관의 조각과 장신구만 확인돼 전모를 파악하기 힘들었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조사로 비화가야 무덤의 축조기법과 장송 의례를 이해하고, 가야와 신라의 접경지역에 위치해 복잡하고 다양한 문화가 나타나는 비화가야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다음 달 5일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통해 발굴 당시 녹화한 동영상을 공개하고, 온라인 발굴조사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500년 전 창녕 비화가야 지배자 무덤에서 장신구 다량 출토
    • 입력 2020-10-28 10:47:21
    • 수정2020-10-28 11:30:27
    문화
약 1천500년 전 비화가야 지배자 무덤에서 장신구가 다량 출토됐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지금까지 한 번도 도굴되지 않았던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에서 금동관 등 다량의 장신구가 피장자에 부착됐던 상태로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비화가야 최고 지배자 묘역으로, 목마산과 화왕산 기슭에 조성돼 있습니다. 비화가야는 창녕을 거점으로 삼은 가야 세력입니다.

특히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전반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63호분은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 있는 무덤 250여 기 가운데 유일하게 도굴 흔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014년부터 이곳 고분군 중에서 미정비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해 왔습니다. 지난해 11월 39호분 봉토에 가려져 있었던 63호분의 매장주체부(시신을 안치하는 곳)를 열었으며, 올해 본격적인 조사를 통해 매장 당시 피장자를 장식했던 장신구 일체를 확인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금동관을 비롯해 금동 드리개(늘어뜨린 장식)와 막대장식, 금으로 만든 굵은고리귀걸이 1쌍, 남색 유리구슬을 3∼4줄로 엮어 만든 목걸이, 은반지, 은허리띠 등이 출토됐습니다. 신발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연구소는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 고분 중 머리에서 허리 부분까지 매장 당시 착장했던 유물이 제 위치에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들 유물이 출토된 63호분의 석곽은 길이 640㎝, 너비 130㎝, 깊이 190㎝ 규모로, 피장자는 머리를 남쪽으로 두고 있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측은 "피장자 주변에서 나무 재질 흔적과 꺾쇠들이 확인돼 상자형 목관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굵은고리귀걸이가 발견되고, 큰 칼을 착장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이 무덤의 주인은 여성일 가능성이 크며, 발견된 꺾쇠 위치를 통해 관의 크기를 추정했을 때 키는 155cm 정도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비화가야 지역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진행된 약탈과 도굴로, 당시 지배계층의 상징물이었던 금동관의 조각과 장신구만 확인돼 전모를 파악하기 힘들었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조사로 비화가야 무덤의 축조기법과 장송 의례를 이해하고, 가야와 신라의 접경지역에 위치해 복잡하고 다양한 문화가 나타나는 비화가야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다음 달 5일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통해 발굴 당시 녹화한 동영상을 공개하고, 온라인 발굴조사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