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② 국지적 정비 ‘한계’…‘재해위험’도 평가해야

입력 2020.10.28 (21:56) 수정 2020.10.28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모래가 깎여 나갔다, 다시 돌아와 쌓이는 자연 회복 능력을 잃어가며 연안 침식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방식인 모래를 채우고, 수중 방파제를 넣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공웅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부산 첫 백사장 복원 사업을 한 송도해수욕장입니다.

모래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방파제를 조성하고 백사장에는 모래를 채워 넣었습니다.

하지만 15년 뒤 침식등급은 다시 C등급, '우려'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해운대해수욕장에도 15톤 화물차 6만 대 가량 모래를 채우고, 방파제를 설치했습니다.

2017년까지 5년간 쏟아부은 돈이 430억 원이 넘습니다.

이듬해인 2018년 가을, 태풍 콩레이 강타 뒤 침식이 가속화해 지난해 연평균 백사장 면적이 1년 전보다 9.5% 줄어들었습니다.

축구장 두 배 정도인 만2천㎡ 넘는 모래가 또 사라졌습니다.

침식 등급이 떨어지는 것도 시간문제입니다.

[박재은/해운대구 연안개발팀장 : "수심측량을 추가로 더 하겠다. 하게 되면 좀 더 정확하게 해운대 해수욕장 전체에 대한 모래의 변화 양상을 알 수가 있겠죠."]

이처럼 국지적 정비는 한계가 뚜렷합니다.

북쪽에서 남·서쪽으로 움직이는 모래의 흐름이 왜 생기는지 해양조사부터 뒷받침돼야 합니다.

특히 부산뿐 아니라 동·서·남해안의 해역별 모래 흐름을 종합 관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임학수/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 "토사의 공급과 유출입을 파악해서 부존량을 구하고, 그로부터 토사가 적절하게 분포돼 있는지 유출입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체계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예방 대책도 세워야 합니다.

개발계획 수립 때 침식을 가속화하는 연안 개발의 재해위험을 반드시 평가하도록 하는 것도 사전 대응책이 될 수 있습니다.

[윤성순/한국해양수산개발원 박사 : "어디가 위험한 곳이고, 그 위험에 대해서 사전에 대책을 만들어나갈 수가 있겠죠. 해수부가 아니라 연안 지자체에서도 그런 지역에 대해서는 회피, 개발을 회피할 수가 있다는 거죠."]

해안 침식은 결국, 해수욕장 등 연안 안전에도 큰 위협이 되는 만큼 정부에 이어 지자체도 자체 침식 원인 조사에 나서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② 국지적 정비 ‘한계’…‘재해위험’도 평가해야
    • 입력 2020-10-28 21:56:40
    • 수정2020-10-28 22:12:37
    뉴스9(부산)
[앵커]

모래가 깎여 나갔다, 다시 돌아와 쌓이는 자연 회복 능력을 잃어가며 연안 침식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방식인 모래를 채우고, 수중 방파제를 넣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공웅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부산 첫 백사장 복원 사업을 한 송도해수욕장입니다.

모래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방파제를 조성하고 백사장에는 모래를 채워 넣었습니다.

하지만 15년 뒤 침식등급은 다시 C등급, '우려'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해운대해수욕장에도 15톤 화물차 6만 대 가량 모래를 채우고, 방파제를 설치했습니다.

2017년까지 5년간 쏟아부은 돈이 430억 원이 넘습니다.

이듬해인 2018년 가을, 태풍 콩레이 강타 뒤 침식이 가속화해 지난해 연평균 백사장 면적이 1년 전보다 9.5% 줄어들었습니다.

축구장 두 배 정도인 만2천㎡ 넘는 모래가 또 사라졌습니다.

침식 등급이 떨어지는 것도 시간문제입니다.

[박재은/해운대구 연안개발팀장 : "수심측량을 추가로 더 하겠다. 하게 되면 좀 더 정확하게 해운대 해수욕장 전체에 대한 모래의 변화 양상을 알 수가 있겠죠."]

이처럼 국지적 정비는 한계가 뚜렷합니다.

북쪽에서 남·서쪽으로 움직이는 모래의 흐름이 왜 생기는지 해양조사부터 뒷받침돼야 합니다.

특히 부산뿐 아니라 동·서·남해안의 해역별 모래 흐름을 종합 관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임학수/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 "토사의 공급과 유출입을 파악해서 부존량을 구하고, 그로부터 토사가 적절하게 분포돼 있는지 유출입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체계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예방 대책도 세워야 합니다.

개발계획 수립 때 침식을 가속화하는 연안 개발의 재해위험을 반드시 평가하도록 하는 것도 사전 대응책이 될 수 있습니다.

[윤성순/한국해양수산개발원 박사 : "어디가 위험한 곳이고, 그 위험에 대해서 사전에 대책을 만들어나갈 수가 있겠죠. 해수부가 아니라 연안 지자체에서도 그런 지역에 대해서는 회피, 개발을 회피할 수가 있다는 거죠."]

해안 침식은 결국, 해수욕장 등 연안 안전에도 큰 위협이 되는 만큼 정부에 이어 지자체도 자체 침식 원인 조사에 나서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