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고살이 100일’…섬진강 마을의 일상은 언제쯤

입력 2020.11.23 (21:29) 수정 2020.11.25 (2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엔 올여름, 500년에 한 번 온다는 폭우에 제방이 무너져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섬진강 마을로 가 보겠습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오정현 기자, 날도 추워졌는데 여전히 창고에서 지내는 분도 있다고요?

[기자]

네, 지난 여름 섬진강 제방이 무너지면서 물에 잠겼던 전북 남원시 금지면입니다.

84살 임용택 할아버지 집인데, 허락을 얻어 새로 짓고 있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원래 있던 집은 수십 년 된 흙집이어서 밀려드는 물을 버티지 못하고 무너졌습니다.

그래서 옮긴 거처가 물난리 전에 창고로 쓰던 곳인데요.

평생 살던 흙집은 물난리 통에 무너졌지만, 콘크리트로 지은 이 창고는 버틴 겁니다.

두 평 남짓한 창고를 방으로 꾸며 노부부는 지금껏 살고 있습니다.

창고 살이 전에는 이렇게 천막에서 노숙해가며 잇따라 들이닥친 태풍을 버텨내기도 했습니다.

집이 무너진 마당에 살림이 남아있을 리 없습니다.

냉장고도 없이 전기 밥솥 하나를 놓고 끼니를 해결하고, 화장실 역시 없어서 이렇게 가림막을 세워 찬물로 씻는 고단한 생활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당시 할아버지처럼 살던 곳을 잃고 대피소로 모인 이재민은 218명이었습니다.

[앵커]

당시에 제방 무너진 걸 두고 인재 논란이 있었는데, 복구나 보상은 어떻게 됐나요?

[기자]

네, 할아버지가 집을 잃고 받은 재난지원금은 천 6백만 원입니다.

사실 집 짓기엔 턱없이 부족한 돈이죠.

새집을 갖게 됐지만, 기쁘지 않은 이유인데, 할아버지의 말을 들어보시죠.

[임용택/섬진강 수해 주민 : "가진 돈은 없지, 일반 대출이라도 받아서 임시로라도 집을 지어야지 살려면. 우리는 떠나지도 못하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니까..."]

당시 제방이 무너진 걸 두고 섬진강 댐 수위 조절 실패 논란이 일었습니다.

환경부 장관은 10월 안에 조사를 마치고 책임질 건 지겠다고 했는데요.

하지만 정부가 주도한 조사위원회는 주민대표 참여 문제로 곡절을 겪다가 결국 4차례 모임을 끝으로 해산했고, 최근에서야 조사협의회가 다시 꾸려졌는데, 조사를 용역에 맡기기로 하면서 결과를 보려면 앞으로 6개월은 더 기다려야 합니다.

계절이 두 번 바뀌었지만, 이재민들은 일상을 되찾지 못했습니다.

책임 소재를 가리고, 합당한 보상이 이뤄지기까지 한참이나 더 고된 생활이 이어질 거 같습니다.

지금까지 전북 남원 금지면에서,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창고살이 100일’…섬진강 마을의 일상은 언제쯤
    • 입력 2020-11-23 21:29:11
    • 수정2020-11-25 21:41:17
    뉴스 9
[앵커]

이번엔 올여름, 500년에 한 번 온다는 폭우에 제방이 무너져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섬진강 마을로 가 보겠습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오정현 기자, 날도 추워졌는데 여전히 창고에서 지내는 분도 있다고요?

[기자]

네, 지난 여름 섬진강 제방이 무너지면서 물에 잠겼던 전북 남원시 금지면입니다.

84살 임용택 할아버지 집인데, 허락을 얻어 새로 짓고 있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원래 있던 집은 수십 년 된 흙집이어서 밀려드는 물을 버티지 못하고 무너졌습니다.

그래서 옮긴 거처가 물난리 전에 창고로 쓰던 곳인데요.

평생 살던 흙집은 물난리 통에 무너졌지만, 콘크리트로 지은 이 창고는 버틴 겁니다.

두 평 남짓한 창고를 방으로 꾸며 노부부는 지금껏 살고 있습니다.

창고 살이 전에는 이렇게 천막에서 노숙해가며 잇따라 들이닥친 태풍을 버텨내기도 했습니다.

집이 무너진 마당에 살림이 남아있을 리 없습니다.

냉장고도 없이 전기 밥솥 하나를 놓고 끼니를 해결하고, 화장실 역시 없어서 이렇게 가림막을 세워 찬물로 씻는 고단한 생활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당시 할아버지처럼 살던 곳을 잃고 대피소로 모인 이재민은 218명이었습니다.

[앵커]

당시에 제방 무너진 걸 두고 인재 논란이 있었는데, 복구나 보상은 어떻게 됐나요?

[기자]

네, 할아버지가 집을 잃고 받은 재난지원금은 천 6백만 원입니다.

사실 집 짓기엔 턱없이 부족한 돈이죠.

새집을 갖게 됐지만, 기쁘지 않은 이유인데, 할아버지의 말을 들어보시죠.

[임용택/섬진강 수해 주민 : "가진 돈은 없지, 일반 대출이라도 받아서 임시로라도 집을 지어야지 살려면. 우리는 떠나지도 못하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니까..."]

당시 제방이 무너진 걸 두고 섬진강 댐 수위 조절 실패 논란이 일었습니다.

환경부 장관은 10월 안에 조사를 마치고 책임질 건 지겠다고 했는데요.

하지만 정부가 주도한 조사위원회는 주민대표 참여 문제로 곡절을 겪다가 결국 4차례 모임을 끝으로 해산했고, 최근에서야 조사협의회가 다시 꾸려졌는데, 조사를 용역에 맡기기로 하면서 결과를 보려면 앞으로 6개월은 더 기다려야 합니다.

계절이 두 번 바뀌었지만, 이재민들은 일상을 되찾지 못했습니다.

책임 소재를 가리고, 합당한 보상이 이뤄지기까지 한참이나 더 고된 생활이 이어질 거 같습니다.

지금까지 전북 남원 금지면에서,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