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갈 곳 잃은 노인들…겨울나기 ‘비상’
입력 2020.12.24 (07:37)
수정 2020.12.24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혼자 사는 노인들은 겨울나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노인 시설 폐쇄로 집에만 머무는 경우가 많은데, 건강 관리가 어려운 데다, 우울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여든일곱의 나정순 씨는 '코로나19' 확산에 집 밖에 잘 나가지 않습니다.
난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빌라에서 혼자 살다 보니, 집 안에서 추운 겨울을 나는 것도 걱정입니다.
종종 들러 적적함을 달랬던 인근의 경로당과 노인복지관마저 '코로나19' 확산 탓에 지난달 말부터 운영을 멈췄습니다.
[나정순/인천시 남동구 : "노인들이 갈 데가 없잖아요. 노인정에서도 안 받아 주지, 밖에 앉아 있으면 춥지..."]
노인들의 대표적 여가 시설이 문을 닫으면서 고령층의 사회 활동은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박현재/인천시 남동구 : "사람이 움직이질 못하니까 짜증이 나고, 불안하고, 꼭 형무소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죠."]
인천의 경우 노인 인구는 41만 명 중 만 3천여 명이 생활지원사가 관리하는 노인맞춤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필수적인 경우가 아니면 비대면 서비스 위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양숙/생활지원사 : "전화상으로 하는데 마주보고 하는 게 좋거든요. 어르신 정서상에도 좋고, 온도 전달이 있잖아요. 그런 것들로 안정감 찾지 않을까 싶은데..."]
감염을 조심하는 것 못지않게 건강과 정서 관리가 필요한 노인들도 적지 않습니다.
[황용인/인천 서구 두드림노인복지센터장 : "독거노인 어르신들은 식사도 누가 챙겨 주지도 못하고 하루 종일 누워만 계시고, 이야기도 안 하시고 우울증도 더 심해지고 질환도 누가 관리도 안 해 주는..."]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고령층의 사회적 고립감과 불안감이 더 심해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혼자 사는 노인들은 겨울나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노인 시설 폐쇄로 집에만 머무는 경우가 많은데, 건강 관리가 어려운 데다, 우울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여든일곱의 나정순 씨는 '코로나19' 확산에 집 밖에 잘 나가지 않습니다.
난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빌라에서 혼자 살다 보니, 집 안에서 추운 겨울을 나는 것도 걱정입니다.
종종 들러 적적함을 달랬던 인근의 경로당과 노인복지관마저 '코로나19' 확산 탓에 지난달 말부터 운영을 멈췄습니다.
[나정순/인천시 남동구 : "노인들이 갈 데가 없잖아요. 노인정에서도 안 받아 주지, 밖에 앉아 있으면 춥지..."]
노인들의 대표적 여가 시설이 문을 닫으면서 고령층의 사회 활동은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박현재/인천시 남동구 : "사람이 움직이질 못하니까 짜증이 나고, 불안하고, 꼭 형무소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죠."]
인천의 경우 노인 인구는 41만 명 중 만 3천여 명이 생활지원사가 관리하는 노인맞춤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필수적인 경우가 아니면 비대면 서비스 위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양숙/생활지원사 : "전화상으로 하는데 마주보고 하는 게 좋거든요. 어르신 정서상에도 좋고, 온도 전달이 있잖아요. 그런 것들로 안정감 찾지 않을까 싶은데..."]
감염을 조심하는 것 못지않게 건강과 정서 관리가 필요한 노인들도 적지 않습니다.
[황용인/인천 서구 두드림노인복지센터장 : "독거노인 어르신들은 식사도 누가 챙겨 주지도 못하고 하루 종일 누워만 계시고, 이야기도 안 하시고 우울증도 더 심해지고 질환도 누가 관리도 안 해 주는..."]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고령층의 사회적 고립감과 불안감이 더 심해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로 갈 곳 잃은 노인들…겨울나기 ‘비상’
-
- 입력 2020-12-24 07:37:54
- 수정2020-12-24 07:55:52

[앵커]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혼자 사는 노인들은 겨울나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노인 시설 폐쇄로 집에만 머무는 경우가 많은데, 건강 관리가 어려운 데다, 우울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여든일곱의 나정순 씨는 '코로나19' 확산에 집 밖에 잘 나가지 않습니다.
난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빌라에서 혼자 살다 보니, 집 안에서 추운 겨울을 나는 것도 걱정입니다.
종종 들러 적적함을 달랬던 인근의 경로당과 노인복지관마저 '코로나19' 확산 탓에 지난달 말부터 운영을 멈췄습니다.
[나정순/인천시 남동구 : "노인들이 갈 데가 없잖아요. 노인정에서도 안 받아 주지, 밖에 앉아 있으면 춥지..."]
노인들의 대표적 여가 시설이 문을 닫으면서 고령층의 사회 활동은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박현재/인천시 남동구 : "사람이 움직이질 못하니까 짜증이 나고, 불안하고, 꼭 형무소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죠."]
인천의 경우 노인 인구는 41만 명 중 만 3천여 명이 생활지원사가 관리하는 노인맞춤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필수적인 경우가 아니면 비대면 서비스 위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양숙/생활지원사 : "전화상으로 하는데 마주보고 하는 게 좋거든요. 어르신 정서상에도 좋고, 온도 전달이 있잖아요. 그런 것들로 안정감 찾지 않을까 싶은데..."]
감염을 조심하는 것 못지않게 건강과 정서 관리가 필요한 노인들도 적지 않습니다.
[황용인/인천 서구 두드림노인복지센터장 : "독거노인 어르신들은 식사도 누가 챙겨 주지도 못하고 하루 종일 누워만 계시고, 이야기도 안 하시고 우울증도 더 심해지고 질환도 누가 관리도 안 해 주는..."]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고령층의 사회적 고립감과 불안감이 더 심해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혼자 사는 노인들은 겨울나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노인 시설 폐쇄로 집에만 머무는 경우가 많은데, 건강 관리가 어려운 데다, 우울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여든일곱의 나정순 씨는 '코로나19' 확산에 집 밖에 잘 나가지 않습니다.
난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빌라에서 혼자 살다 보니, 집 안에서 추운 겨울을 나는 것도 걱정입니다.
종종 들러 적적함을 달랬던 인근의 경로당과 노인복지관마저 '코로나19' 확산 탓에 지난달 말부터 운영을 멈췄습니다.
[나정순/인천시 남동구 : "노인들이 갈 데가 없잖아요. 노인정에서도 안 받아 주지, 밖에 앉아 있으면 춥지..."]
노인들의 대표적 여가 시설이 문을 닫으면서 고령층의 사회 활동은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박현재/인천시 남동구 : "사람이 움직이질 못하니까 짜증이 나고, 불안하고, 꼭 형무소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죠."]
인천의 경우 노인 인구는 41만 명 중 만 3천여 명이 생활지원사가 관리하는 노인맞춤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필수적인 경우가 아니면 비대면 서비스 위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양숙/생활지원사 : "전화상으로 하는데 마주보고 하는 게 좋거든요. 어르신 정서상에도 좋고, 온도 전달이 있잖아요. 그런 것들로 안정감 찾지 않을까 싶은데..."]
감염을 조심하는 것 못지않게 건강과 정서 관리가 필요한 노인들도 적지 않습니다.
[황용인/인천 서구 두드림노인복지센터장 : "독거노인 어르신들은 식사도 누가 챙겨 주지도 못하고 하루 종일 누워만 계시고, 이야기도 안 하시고 우울증도 더 심해지고 질환도 누가 관리도 안 해 주는..."]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고령층의 사회적 고립감과 불안감이 더 심해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
-
장혁진 기자 analogue@kbs.co.kr
장혁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