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 피해 집중…“정부가 적극 나서야”

입력 2021.01.04 (07:40) 수정 2021.01.04 (07: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제는 이런 사이버공격의 피해가 중소기업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보안인식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죠.

그러나 중소기업의 경우 재정적 여력이 부족한 만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어서 김민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연 매출액 50억 규모의 한 중소기업입니다.

사무실 컴퓨터마다 랜섬웨어를 차단하는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습니다.

5년전 호된 피해를 겪어봤기 때문입니다.

[강준원/중소기업 팀장 : "백신 같은 거잖아요. 어떻게 보면.. 자기가 먼저 걸린 사람을 봐야 그런 게 효과가, '어 나도 해야지' 이런 생각이 들기 때문에..."]

그러나 이렇게 보안시스템을 갖춘 중소기업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정보보호 예산을 편성한 기업은 세 곳 가운데 한 곳뿐이었습니다.

[김현오/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ICT융합팀 팀장 : "(매출액)100억 미만의 기업들은 대부분 보안 인식 자체가 거의 없는 경우가 많고요. 그 다음 100억에서 300억 사이의 기업들이 보안 인식에 대한 개념은 있지만 비용적 부담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입을 못하는..."]

이렇다보니, 랜섬웨어 피해의 70% 정도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었고, 대기업은 1%에 불과했습니다.

재정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에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지자체는 경기도 정도 뿐입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무료 웹 보안도구를 지원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사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나서 보안시스템 구축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1,2년동안 계속 교육 시키고, 또 '이런 사람(보안 인력) 뽑아야 한다' 유도해서 중소기업이 자기 힘으로 설 수 있도록 그런 식으로 틀을 마련해 줘야겠죠."]

미국의 경우, 해커와의 협상을 아예 범죄로 규정해 기업 보안 강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보다 체계적인 정책 노력이 없는 한 국내 기업들이 랜섬웨어의 손쉬운 먹잇감에서 벗어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심규일/영상편집:박경상/그래픽:김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소기업에 피해 집중…“정부가 적극 나서야”
    • 입력 2021-01-04 07:40:11
    • 수정2021-01-04 07:48:44
    뉴스광장(경인)
[앵커]

문제는 이런 사이버공격의 피해가 중소기업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보안인식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죠.

그러나 중소기업의 경우 재정적 여력이 부족한 만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어서 김민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연 매출액 50억 규모의 한 중소기업입니다.

사무실 컴퓨터마다 랜섬웨어를 차단하는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습니다.

5년전 호된 피해를 겪어봤기 때문입니다.

[강준원/중소기업 팀장 : "백신 같은 거잖아요. 어떻게 보면.. 자기가 먼저 걸린 사람을 봐야 그런 게 효과가, '어 나도 해야지' 이런 생각이 들기 때문에..."]

그러나 이렇게 보안시스템을 갖춘 중소기업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정보보호 예산을 편성한 기업은 세 곳 가운데 한 곳뿐이었습니다.

[김현오/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ICT융합팀 팀장 : "(매출액)100억 미만의 기업들은 대부분 보안 인식 자체가 거의 없는 경우가 많고요. 그 다음 100억에서 300억 사이의 기업들이 보안 인식에 대한 개념은 있지만 비용적 부담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입을 못하는..."]

이렇다보니, 랜섬웨어 피해의 70% 정도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었고, 대기업은 1%에 불과했습니다.

재정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에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지자체는 경기도 정도 뿐입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무료 웹 보안도구를 지원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사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나서 보안시스템 구축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1,2년동안 계속 교육 시키고, 또 '이런 사람(보안 인력) 뽑아야 한다' 유도해서 중소기업이 자기 힘으로 설 수 있도록 그런 식으로 틀을 마련해 줘야겠죠."]

미국의 경우, 해커와의 협상을 아예 범죄로 규정해 기업 보안 강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보다 체계적인 정책 노력이 없는 한 국내 기업들이 랜섬웨어의 손쉬운 먹잇감에서 벗어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심규일/영상편집:박경상/그래픽:김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