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두기 2.5단계 돼야 방역 효과”…‘양성률’로 살펴보니

입력 2021.01.15 (21:17) 수정 2021.01.15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럼 지금처럼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제로 얼마나 효과가 있는 걸까요?

KBS가 방역 1단계부터 2.5단계 때까지 코로나19 데이터를 일일이 찾아서 분석해봤습니다.

실제로 방역 효과는 2.5단계 수준이 돼야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김범주 기자가 설명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한 주간의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550여 명 수준.

12월 중순 천여 명에 비해 확연하게 줄어든 수칩니다.

그러나 확진자수 자체는 그날 검사량에 따라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그럼 실제로 감염 확산은 얼마나 줄고 있는 걸까.

의심신고 검사자 중 확진자의 비율, 즉 '양성률'을 분석해 봤습니다.

정확한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가 진행 중인 사례와 검사 대비 확진 비율이 0.3%에 불과한 선별진료소는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수도권 방역이 1단계, 1.5단계, 2단계로 계속 강화됐지만 '양성률'은 떨어지기는커녕 계속 높아집니다.

2.5단계가 시작된 12월 둘째 주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뒤 1주일의 시차를 두고 큰 폭으로 하락합니다.

방역 2.5단계 이상이 돼야 확진자 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뚜렷해진다고 해석해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원재/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마지막 단계 상향이 있은 지 일주일 후에 양성률 감소세가 관찰됐고, 약 한 달 후엔 통계적 유의성도 확인됐기 때문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확진자 한 명이 주변의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 역시 거리두기 단계와 반비례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거리두기 단계 상향 조치가 좀 더 빨랐어야 한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윱니다.

[천은미/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수도권에서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밀접 접촉을 하게 되어 있는 단계고 그런 경우는 강제성을 동원해서라도 밀접 접촉을 차단해야 되거든요. 그 단계가 2.5단계 이상이 되어야지만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물론, 양성률의 변화를 사회적 거리두기의 직접적인 효과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KBS 뉴스 김범주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이기승/그래픽:고석훈

▶ '코로나19 3차 대유행 특집' 바로가기
http://news.kbs.co.kr/special/coronaSpecialMain.html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거리 두기 2.5단계 돼야 방역 효과”…‘양성률’로 살펴보니
    • 입력 2021-01-15 21:17:18
    • 수정2021-01-15 21:59:10
    뉴스 9
[앵커]

그럼 지금처럼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제로 얼마나 효과가 있는 걸까요?

KBS가 방역 1단계부터 2.5단계 때까지 코로나19 데이터를 일일이 찾아서 분석해봤습니다.

실제로 방역 효과는 2.5단계 수준이 돼야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김범주 기자가 설명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한 주간의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550여 명 수준.

12월 중순 천여 명에 비해 확연하게 줄어든 수칩니다.

그러나 확진자수 자체는 그날 검사량에 따라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그럼 실제로 감염 확산은 얼마나 줄고 있는 걸까.

의심신고 검사자 중 확진자의 비율, 즉 '양성률'을 분석해 봤습니다.

정확한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가 진행 중인 사례와 검사 대비 확진 비율이 0.3%에 불과한 선별진료소는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수도권 방역이 1단계, 1.5단계, 2단계로 계속 강화됐지만 '양성률'은 떨어지기는커녕 계속 높아집니다.

2.5단계가 시작된 12월 둘째 주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뒤 1주일의 시차를 두고 큰 폭으로 하락합니다.

방역 2.5단계 이상이 돼야 확진자 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뚜렷해진다고 해석해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원재/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마지막 단계 상향이 있은 지 일주일 후에 양성률 감소세가 관찰됐고, 약 한 달 후엔 통계적 유의성도 확인됐기 때문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확진자 한 명이 주변의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 역시 거리두기 단계와 반비례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거리두기 단계 상향 조치가 좀 더 빨랐어야 한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윱니다.

[천은미/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수도권에서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밀접 접촉을 하게 되어 있는 단계고 그런 경우는 강제성을 동원해서라도 밀접 접촉을 차단해야 되거든요. 그 단계가 2.5단계 이상이 되어야지만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물론, 양성률의 변화를 사회적 거리두기의 직접적인 효과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KBS 뉴스 김범주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이기승/그래픽:고석훈

▶ '코로나19 3차 대유행 특집' 바로가기
http://news.kbs.co.kr/special/coronaSpecialMain.html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