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톡] 떠나는 트럼프 때린 빅테크

입력 2021.01.20 (15:10) 수정 2021.01.20 (15: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려 2만5천 개입니다.

AP통신이 집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년 동안 올린 트위터 글입니다. 4년이면 1,460일이니까, 하루 평균 17개 이상 트윗을 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2015년 대선 캠페인을 시작했을 무렵 트위터 팔로워는 300만 명이었습니다. 가장 최근 팔로워 수는 8,800만 명가량입니다. 재임 기간 중 무려 29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런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이 영구 정지된 게 지난 8일입니다. 미국 연방 의사당 난입 사건 이틀 후입니다. 트위터 측은 "추가적인 폭력 선동 위험성을 고려해 계정을 영구 정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퇴임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 소위 빅테크의 공세는 트위터만이 아니었습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잠정 차단했습니다.


트럼프 지지자들이 대안으로 SNS 서비스 '팔러'로 몰려가자 애플과 구글은 자신들의 앱스토어에서 팔러를 삭제했습니다. 팔러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마존 측도 서비스를 중단시켰죠.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강력한 힘이었던 SNS 창구가 사라진 셈입니다. 퇴임 후 재선을 염두에 뒀다면 큰 타격입니다.

아이러니한 건 이들 기업의 주가는 트럼프 재임 기간 급등했다는 점입니다. 예컨대 트위터의 경우 2015년 전까지만 해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다른 SNS에 밀려 점점 점유율이 줄어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를 주요 소통 창구로 삼으며 이용률이 급증했습니다. 주가 역시 크게 올랐는데, 트럼프 대통령 취임 때인 2017년 초 17달러 선이던 트위터 주가는 지난해 말 55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기업 가치가 3배 이상 늘어난 겁니다.

지난 4년간 트럼프 대통령의 SNS를 제재해야 한다는 요구를 외면했던 빅테크가 뒤늦게야 일괄적으로 행동에 나선 것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대통령과 상하원을 모두 민주당이 승리한 후에야 움직인 건, '정치적 맥락'이 있는 것 아니냐는 겁니다.

뉴욕타임스는, “대선과 상하원에서 민주당이 승리한 후에서야 회사 측이 대책을 내놓은 것"이라는 트위터와 페이스 북 내부 직원의 말을 전했습니다.

이들 빅테크의 트럼프 대통령 계정 삭제는 또 다른 논란도 불러왔습니다. 현직 대통령의 '말할 수 있는 자유'를 침해하는 행동을 민간 기업이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냐는 겁니다.

공화당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선출되지 않은 회사가 권력과 독점권을 갖고 있고, 디지털 플랫폼에서 사람들을 지워버리는 나라에 살고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도 비판에 가세했습니다. 메르켈 총리는 "언론의 자유와 같은 권리는 기업의 결정이 아니라, 법률과 입법부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구글과 페이스북 등 빅테크는 과도한 시장 영향력 등을 이유로 지난해부터 연방 정부 차원의 반독점 조사가 진행 중인데요. 이번 트럼프 대통령 계정 삭제 사건은 역설적으로 이들 빅테크가 가진 시장 권력을 잘 보여줬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이 때문에 미국의 통신품위법 230조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조항에 따르면 인터넷 플랫폼 기업들은 사용자가 올린 게시물에 대해서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 면책권 덕분에 빅테크 기업들은 급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미 공화당은 빅테크의 정치적 영향력을 문제 삼으며 230조 폐지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떠나는 트럼프를 향해 공세를 날린 빅테크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의 전망이 그리 밝은 것도 아닙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현재 진행 중인 빅테크 반독점 조사에 이어 강력한 규제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점점 세가 커지고 있는 빅테크가 새로운 행정부에서는 어떤 행보를 밟을지 주목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테크톡] 떠나는 트럼프 때린 빅테크
    • 입력 2021-01-20 15:10:20
    • 수정2021-01-20 15:10:36
    취재K

무려 2만5천 개입니다.

AP통신이 집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년 동안 올린 트위터 글입니다. 4년이면 1,460일이니까, 하루 평균 17개 이상 트윗을 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2015년 대선 캠페인을 시작했을 무렵 트위터 팔로워는 300만 명이었습니다. 가장 최근 팔로워 수는 8,800만 명가량입니다. 재임 기간 중 무려 29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런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이 영구 정지된 게 지난 8일입니다. 미국 연방 의사당 난입 사건 이틀 후입니다. 트위터 측은 "추가적인 폭력 선동 위험성을 고려해 계정을 영구 정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퇴임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 소위 빅테크의 공세는 트위터만이 아니었습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잠정 차단했습니다.


트럼프 지지자들이 대안으로 SNS 서비스 '팔러'로 몰려가자 애플과 구글은 자신들의 앱스토어에서 팔러를 삭제했습니다. 팔러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마존 측도 서비스를 중단시켰죠.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강력한 힘이었던 SNS 창구가 사라진 셈입니다. 퇴임 후 재선을 염두에 뒀다면 큰 타격입니다.

아이러니한 건 이들 기업의 주가는 트럼프 재임 기간 급등했다는 점입니다. 예컨대 트위터의 경우 2015년 전까지만 해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다른 SNS에 밀려 점점 점유율이 줄어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를 주요 소통 창구로 삼으며 이용률이 급증했습니다. 주가 역시 크게 올랐는데, 트럼프 대통령 취임 때인 2017년 초 17달러 선이던 트위터 주가는 지난해 말 55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기업 가치가 3배 이상 늘어난 겁니다.

지난 4년간 트럼프 대통령의 SNS를 제재해야 한다는 요구를 외면했던 빅테크가 뒤늦게야 일괄적으로 행동에 나선 것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대통령과 상하원을 모두 민주당이 승리한 후에야 움직인 건, '정치적 맥락'이 있는 것 아니냐는 겁니다.

뉴욕타임스는, “대선과 상하원에서 민주당이 승리한 후에서야 회사 측이 대책을 내놓은 것"이라는 트위터와 페이스 북 내부 직원의 말을 전했습니다.

이들 빅테크의 트럼프 대통령 계정 삭제는 또 다른 논란도 불러왔습니다. 현직 대통령의 '말할 수 있는 자유'를 침해하는 행동을 민간 기업이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냐는 겁니다.

공화당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선출되지 않은 회사가 권력과 독점권을 갖고 있고, 디지털 플랫폼에서 사람들을 지워버리는 나라에 살고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도 비판에 가세했습니다. 메르켈 총리는 "언론의 자유와 같은 권리는 기업의 결정이 아니라, 법률과 입법부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구글과 페이스북 등 빅테크는 과도한 시장 영향력 등을 이유로 지난해부터 연방 정부 차원의 반독점 조사가 진행 중인데요. 이번 트럼프 대통령 계정 삭제 사건은 역설적으로 이들 빅테크가 가진 시장 권력을 잘 보여줬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이 때문에 미국의 통신품위법 230조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조항에 따르면 인터넷 플랫폼 기업들은 사용자가 올린 게시물에 대해서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 면책권 덕분에 빅테크 기업들은 급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미 공화당은 빅테크의 정치적 영향력을 문제 삼으며 230조 폐지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떠나는 트럼프를 향해 공세를 날린 빅테크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의 전망이 그리 밝은 것도 아닙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현재 진행 중인 빅테크 반독점 조사에 이어 강력한 규제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점점 세가 커지고 있는 빅테크가 새로운 행정부에서는 어떤 행보를 밟을지 주목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