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종 초읽기’…코로나 백신 Q&A
입력 2021.02.08 (23:45)
수정 2021.02.08 (23: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백신 국내접종이 드디어 시작됩니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오는 24일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백신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한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가장 궁금한 점, 역시 백신을 통해 코로나를 막을 수 있을까 하는 것 이었습니다.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항체생성률은 국내에서 도입하려고 하는 모든 백신 5종이 충분히 좋은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소한 90%에서 거의 100%까지의 항체생성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한 번 생긴 항체가 얼마나 지속되는지는 접종 자료가 더 쌓여봐야 알 수 있습니다.
또 고혈압, 고지혈, 당뇨 같은 만성 기저질환이 있을 경우 백신을 맞아도 되는건지도 궁금한데요.
[최원석/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 "중증 면역 저하자에 대한 부분은 연구 결과가 조금 제한적이긴 합니다만 안전성에 있어서 특별히 다를 것이라고 보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 혹시 백신을 맞다 오히려 코로나에 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엔, 이렇게 답변했습니다.
[최원석/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 "백신이 코로나의 감염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다만 백신을 접종했다 하더라도 충분한 면역반응이 생기지 못해 코로나에 걸리는 분은 있을 겁니다."]
백신을 맞은 뒤에도 면역력이 곧바로 생기지 않는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백신을 접종하신 후에도 최소한 2주 정도는 매우 조심하셔야 되고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효능을 보이게 하기까지는 최소한 2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전염력은 더 강하고, 전염 속도도 더 빠르다는, 변이 바이러스엔 효과가 있을까요?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대부분의 백신으로 충분한 방어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남아프리카 변이주에 대해서는 방어 능력이 좀 낮아지는 것으로. 중증으로 가는 것은 어느 정도 잘 막아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현재 도입 예정된 백신 외에 러시아 백신의 도입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오는 24일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백신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한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가장 궁금한 점, 역시 백신을 통해 코로나를 막을 수 있을까 하는 것 이었습니다.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항체생성률은 국내에서 도입하려고 하는 모든 백신 5종이 충분히 좋은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소한 90%에서 거의 100%까지의 항체생성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한 번 생긴 항체가 얼마나 지속되는지는 접종 자료가 더 쌓여봐야 알 수 있습니다.
또 고혈압, 고지혈, 당뇨 같은 만성 기저질환이 있을 경우 백신을 맞아도 되는건지도 궁금한데요.
[최원석/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 "중증 면역 저하자에 대한 부분은 연구 결과가 조금 제한적이긴 합니다만 안전성에 있어서 특별히 다를 것이라고 보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 혹시 백신을 맞다 오히려 코로나에 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엔, 이렇게 답변했습니다.
[최원석/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 "백신이 코로나의 감염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다만 백신을 접종했다 하더라도 충분한 면역반응이 생기지 못해 코로나에 걸리는 분은 있을 겁니다."]
백신을 맞은 뒤에도 면역력이 곧바로 생기지 않는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백신을 접종하신 후에도 최소한 2주 정도는 매우 조심하셔야 되고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효능을 보이게 하기까지는 최소한 2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전염력은 더 강하고, 전염 속도도 더 빠르다는, 변이 바이러스엔 효과가 있을까요?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대부분의 백신으로 충분한 방어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남아프리카 변이주에 대해서는 방어 능력이 좀 낮아지는 것으로. 중증으로 가는 것은 어느 정도 잘 막아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현재 도입 예정된 백신 외에 러시아 백신의 도입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접종 초읽기’…코로나 백신 Q&A
-
- 입력 2021-02-08 23:45:52
- 수정2021-02-08 23:51:08

코로나 백신 국내접종이 드디어 시작됩니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오는 24일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백신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한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가장 궁금한 점, 역시 백신을 통해 코로나를 막을 수 있을까 하는 것 이었습니다.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항체생성률은 국내에서 도입하려고 하는 모든 백신 5종이 충분히 좋은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소한 90%에서 거의 100%까지의 항체생성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한 번 생긴 항체가 얼마나 지속되는지는 접종 자료가 더 쌓여봐야 알 수 있습니다.
또 고혈압, 고지혈, 당뇨 같은 만성 기저질환이 있을 경우 백신을 맞아도 되는건지도 궁금한데요.
[최원석/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 "중증 면역 저하자에 대한 부분은 연구 결과가 조금 제한적이긴 합니다만 안전성에 있어서 특별히 다를 것이라고 보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 혹시 백신을 맞다 오히려 코로나에 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엔, 이렇게 답변했습니다.
[최원석/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 "백신이 코로나의 감염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다만 백신을 접종했다 하더라도 충분한 면역반응이 생기지 못해 코로나에 걸리는 분은 있을 겁니다."]
백신을 맞은 뒤에도 면역력이 곧바로 생기지 않는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백신을 접종하신 후에도 최소한 2주 정도는 매우 조심하셔야 되고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효능을 보이게 하기까지는 최소한 2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전염력은 더 강하고, 전염 속도도 더 빠르다는, 변이 바이러스엔 효과가 있을까요?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대부분의 백신으로 충분한 방어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남아프리카 변이주에 대해서는 방어 능력이 좀 낮아지는 것으로. 중증으로 가는 것은 어느 정도 잘 막아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현재 도입 예정된 백신 외에 러시아 백신의 도입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오는 24일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백신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한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가장 궁금한 점, 역시 백신을 통해 코로나를 막을 수 있을까 하는 것 이었습니다.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항체생성률은 국내에서 도입하려고 하는 모든 백신 5종이 충분히 좋은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소한 90%에서 거의 100%까지의 항체생성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한 번 생긴 항체가 얼마나 지속되는지는 접종 자료가 더 쌓여봐야 알 수 있습니다.
또 고혈압, 고지혈, 당뇨 같은 만성 기저질환이 있을 경우 백신을 맞아도 되는건지도 궁금한데요.
[최원석/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 "중증 면역 저하자에 대한 부분은 연구 결과가 조금 제한적이긴 합니다만 안전성에 있어서 특별히 다를 것이라고 보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 혹시 백신을 맞다 오히려 코로나에 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엔, 이렇게 답변했습니다.
[최원석/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 "백신이 코로나의 감염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다만 백신을 접종했다 하더라도 충분한 면역반응이 생기지 못해 코로나에 걸리는 분은 있을 겁니다."]
백신을 맞은 뒤에도 면역력이 곧바로 생기지 않는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백신을 접종하신 후에도 최소한 2주 정도는 매우 조심하셔야 되고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효능을 보이게 하기까지는 최소한 2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전염력은 더 강하고, 전염 속도도 더 빠르다는, 변이 바이러스엔 효과가 있을까요?
[남재환/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 "대부분의 백신으로 충분한 방어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남아프리카 변이주에 대해서는 방어 능력이 좀 낮아지는 것으로. 중증으로 가는 것은 어느 정도 잘 막아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현재 도입 예정된 백신 외에 러시아 백신의 도입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