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잇따른 현대 코나EV…2차 리콜로 가나?

입력 2021.02.18 (17:11) 수정 2021.02.18 (22: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약

화재 책임,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중 어느 쪽인지는 확인 중
리콜 범위도 미정…전체 배터리 교체 없다면 논란 예고
조만간 국토부 보고 뒤 리콜 범위 최종 확정


■코나 EV 화재 해결은 리콜로 가닥

현대자동차의 야심작 코나EV 전기차에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알려진 화재만 국내외를 합쳐 15건입니다.

결국,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한 차례 리콜했습니다. 그런데 리콜을 받은 차에서도 지난달(1월) 23일 다시 불이 났습니다.

업계와 국토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결국은 새로운 리콜을 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고 합니다. 이유는 리콜 받은 뒤 다시 불이 난 차의 상태가 화재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을 만큼 깨끗했다는 점에 있습니다. 원인 조사가 진일보한 만큼 새로운 조치가 필요하다는데 업계와 당국이 공감대를 형성한 것입니다.

현재 현대차와 배터리 셀을 제작한 LG에너지솔루션, 국토부는 정확한 원인을 확인 중입니다.

■원인 놓고 입장 차 보이는 현대차와 LG

문제는 화재 원인이 어디 있느냐에 따라 리콜 비용 부담을 누가 할 것인지 정해진다는 점입니다. 만약 7만 7천여 대인 1차 리콜 대상 코나 EV 전체의 배터리를 무상 교체해준다면 1조 원 안팎의 비용이 들어갑니다.

코나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셀은 LG에너지솔루션이 만듭니다. 셀을 모아 배터리 모듈을 만들고 모듈에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냉각장치 등을 넣어 팩이 들어갑니다. 모듈 부터는 현대차와 자회사의 담당입니다.

배터리셀은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팩과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및 냉각장치는 현대차와 현대차 자회사가 담당한다.배터리셀은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팩과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및 냉각장치는 현대차와 현대차 자회사가 담당한다.

만약 배터리셀 내부의 문제라면 LG 에너지솔루션이 책임을 져야 합니다. 그러나 BMS나 냉각장치, 혹은 배터리팩과 어셈블리 제조 과정의 문제라면 현대차가 책임을 져야 합니다.

더 큰 문제는 1조 원이 책임의 끝이 아니라는 겁니다. 두 회사가 만드는 다른 제품의 공신력과도 관계된 문제라 장차 해외 사업에도 큰 영향이 우려됩니다. 양사와 국토부가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면서 보안을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 1차 리콜 당시 "분리막 손상" vs "분리막 불량 아냐"

지난해 10월 있었던 1차 리콜 당시에도 책임 공방이 있었습니다. 당시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제조 공정상 품질불량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이 손상돼 내부 합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결과에도 배터리는 교체하지 않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해서 의문점을 남겼습니다. 배터리가 문제였다면서도 배터리 자체가 아닌 관리 시스템을 교체한 것입니다.

당시 LG에너지솔루션 측은 현대차와 공동으로 실시한 재연 실험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분리막 손상으로 인한 배터리 셀 불량이 원인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도 이같은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2차 리콜로 가닥은 잡혔지만…전체 배터리 교체 가능할까?

문제는 소비자들이 리콜을 받은 뒤 화재 걱정 없이 안심하고 탈 수 있느냐 여부입니다. 최근 테슬라 차량의 충돌에 이은 화재 사고에서 보듯 전기차 화재는 불길을 잡기도 쉽지 않고 피해도 막심할 수 있습니다.

'7만 7천대 전체를 리콜한다'거나 '국내 판매분 2만 5천 대의 배터리를 교체한다'는 기사가 잇따르고 있지만, 현대차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면서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어느 범위에서 리콜할 지는 화재 원인을 얼마나 특정할 수 있느냐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때에 따라서는 배터리 교체가 아닌 또 다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그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소비자들이 안심할 수 있겠느냐입니다.

리콜 결정은 현대차가 먼저 신고서를 국토부에 제출하고 이를 심사해 확정하게 됩니다. 업계에서는 조만간 신고서를 제출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원인 분석은 과학의 문제"라면서 이른바 '정무적 판단'은 최종 결정에 개입시키지 않겠다고 했는데, 그 약속 지켜지기를 기대합니다.

2차 리콜이 또 다른 소비자 피해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정확한 원인 조사와 책임 있는 리콜 조치가 필요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재 잇따른 현대 코나EV…2차 리콜로 가나?
    • 입력 2021-02-18 17:11:47
    • 수정2021-02-18 22:22:27
    취재K
화재 책임,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중 어느 쪽인지는 확인 중<br />리콜 범위도 미정…전체 배터리 교체 없다면 논란 예고<br />조만간 국토부 보고 뒤 리콜 범위 최종 확정

■코나 EV 화재 해결은 리콜로 가닥

현대자동차의 야심작 코나EV 전기차에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알려진 화재만 국내외를 합쳐 15건입니다.

결국,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한 차례 리콜했습니다. 그런데 리콜을 받은 차에서도 지난달(1월) 23일 다시 불이 났습니다.

업계와 국토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결국은 새로운 리콜을 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고 합니다. 이유는 리콜 받은 뒤 다시 불이 난 차의 상태가 화재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을 만큼 깨끗했다는 점에 있습니다. 원인 조사가 진일보한 만큼 새로운 조치가 필요하다는데 업계와 당국이 공감대를 형성한 것입니다.

현재 현대차와 배터리 셀을 제작한 LG에너지솔루션, 국토부는 정확한 원인을 확인 중입니다.

■원인 놓고 입장 차 보이는 현대차와 LG

문제는 화재 원인이 어디 있느냐에 따라 리콜 비용 부담을 누가 할 것인지 정해진다는 점입니다. 만약 7만 7천여 대인 1차 리콜 대상 코나 EV 전체의 배터리를 무상 교체해준다면 1조 원 안팎의 비용이 들어갑니다.

코나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셀은 LG에너지솔루션이 만듭니다. 셀을 모아 배터리 모듈을 만들고 모듈에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냉각장치 등을 넣어 팩이 들어갑니다. 모듈 부터는 현대차와 자회사의 담당입니다.

배터리셀은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팩과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및 냉각장치는 현대차와 현대차 자회사가 담당한다.
만약 배터리셀 내부의 문제라면 LG 에너지솔루션이 책임을 져야 합니다. 그러나 BMS나 냉각장치, 혹은 배터리팩과 어셈블리 제조 과정의 문제라면 현대차가 책임을 져야 합니다.

더 큰 문제는 1조 원이 책임의 끝이 아니라는 겁니다. 두 회사가 만드는 다른 제품의 공신력과도 관계된 문제라 장차 해외 사업에도 큰 영향이 우려됩니다. 양사와 국토부가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면서 보안을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 1차 리콜 당시 "분리막 손상" vs "분리막 불량 아냐"

지난해 10월 있었던 1차 리콜 당시에도 책임 공방이 있었습니다. 당시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제조 공정상 품질불량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이 손상돼 내부 합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결과에도 배터리는 교체하지 않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해서 의문점을 남겼습니다. 배터리가 문제였다면서도 배터리 자체가 아닌 관리 시스템을 교체한 것입니다.

당시 LG에너지솔루션 측은 현대차와 공동으로 실시한 재연 실험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분리막 손상으로 인한 배터리 셀 불량이 원인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도 이같은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2차 리콜로 가닥은 잡혔지만…전체 배터리 교체 가능할까?

문제는 소비자들이 리콜을 받은 뒤 화재 걱정 없이 안심하고 탈 수 있느냐 여부입니다. 최근 테슬라 차량의 충돌에 이은 화재 사고에서 보듯 전기차 화재는 불길을 잡기도 쉽지 않고 피해도 막심할 수 있습니다.

'7만 7천대 전체를 리콜한다'거나 '국내 판매분 2만 5천 대의 배터리를 교체한다'는 기사가 잇따르고 있지만, 현대차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면서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어느 범위에서 리콜할 지는 화재 원인을 얼마나 특정할 수 있느냐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때에 따라서는 배터리 교체가 아닌 또 다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그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소비자들이 안심할 수 있겠느냐입니다.

리콜 결정은 현대차가 먼저 신고서를 국토부에 제출하고 이를 심사해 확정하게 됩니다. 업계에서는 조만간 신고서를 제출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원인 분석은 과학의 문제"라면서 이른바 '정무적 판단'은 최종 결정에 개입시키지 않겠다고 했는데, 그 약속 지켜지기를 기대합니다.

2차 리콜이 또 다른 소비자 피해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정확한 원인 조사와 책임 있는 리콜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