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① ‘동족학살’ 한국인 경찰 48명 공적서 확인

입력 2021.03.01 (08:01) 수정 2021.03.01 (1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1일)은 3.1운동 102주년이다. 1919년 들불처럼 일어난 3.1운동은 그해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이듬해인 1920년 간도 지역 봉오동·청산리 전투의 승전으로 이어졌다.

일제는 곧바로 보복에 나섰다. 간도 지역 독립군을 말살한다는 목적으로 무고한 민간인들까지 잔인하게 학살했다. 1920년 10월부터 1921년 5월까지 벌어진 '간도참변'이다.


KBS는 오늘로부터 꼭 100년 전인 1921년 3월 1일, 재간도 일본총영사가 결재한 일본 외무성 문서를 단독 발굴했다. 오늘 밤 9시 뉴스에서 집중 보도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간도참변에 참가했던 한국인 경찰관 48명의 '공적'이 자세히 나와 있다. 일제에게는 유능한 친일 한국인 경찰, 우리에게는 동족학살에 가담한 민족의 반역자들이다.

KBS, 간도참변 참가 한국인 경찰관 48명 공적서 최초 발굴

KBS는 일본 외교사료관 '서훈 및 행상' 분류 자료 가운데 1921년 작성된 '간도 사건 공적조서 보고'라는 제목의 문서에서 한국인 경찰관 48명의 공적명세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제가 간도참변에 가담한 한국인 경찰관에게 상훈을 주기 위해 작성한 600쪽 분량의 문서다.

이들은 주로 첩보 수집 및 보고, 길 안내, 통역, 독립운동가에게 변절을 강요하는 귀순 업무 등을 맡았는데 독립운동가 체포와 민간인 마을 '초토화'에도 직접 가담했다. 간도참변에 가담한 한국인 경찰관의 구체적인 반민족 행위가 밝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인 경찰관, 독립운동가 체포·민간인 학살에 가담

독립운동 단체인 '대한국민회'에서 활동한 공로로 훗날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은 김강(金剛) 선생. 선생은 1920년 11월 간도참변 당시 일본 경찰에 피살됐다.

KBS가 찾은 공적서에는 한국인 순사 김학원이 "김강 체포에 지대한 공을 세웠다"고 적혀 있다.

민간인 부락에 침입해 학살에 가담한 정황도 확인된다. 순사 백원장은 한인 마을 5곳을 급습하는 데 가담했고, 독립운동가 체포에도 앞장섰다.
이번에 발굴한 공적서를 보면, 간도참변의 많은 사건 가운데 가장 끔찍한 학살로 기록되는 '장암동 학살 사건'에 가담한 한국인 경찰관도 확인된다. 당시 일본군과 경찰은 40여 명의 마을 주민들을 학살하고, 시신을 모아 불을 지르는 만행을 저질렀다.

순사 박원식에 대한 공적서를 보면, 일본군이 장암촌 부근에서 소탕하는 동안 "한국인 조사와 가택 수색에 용감히 행동한 공적이 뛰어나다"고 적혀 있다. 장암동 사건의 가담자들이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인 경찰관, 독립운동가 체포·민간인 학살에 가담

한국인 경찰관은 독립군이 숨겨놓은 무기를 수색해 압수하는 역할도 맡았다.

"엄청나게 쌓인 눈을 치우고, 보병총 35자루를 압수한 공로"가 인정받는가 하면, "왕복 8리(3km)를 달려 독립운동에 사용된 말을 노획"해 오기도 했다.

김광만 KBS 객원연구원은 "현장에 있었던 부대장들이 간도 토벌에 참여했던 한국인 경찰들에 대한 업적을 공적서로 써주고, 간도총영사관이 공적서를 취합한 다음에 외무성에 보고했다"며 "우리나라 동포를 학살하는 데 앞장섰던 학살자들의 고백록이자 죄상 기록"이라고 말한다.

이들은 종로경찰서, 용산경찰서, 청주경찰서 등 전국 각지에서 파견된 친일 한국인 경찰관들이었다.

만주 지역 항일운동 연구의 전문가인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는 "간도대학살 때 조선인 경찰이 참여했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며, "일제가 조선인 경찰을 간도 현지에 있는 독립운동가를 탄압하는 데 적극적으로 이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최초의 발굴 자료"라고 강조한다.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증보판>에 등재 예정

올해 설립 30주년을 맞은 민족문제연구소는 '친일인명사전 증보판' 발간을 계획하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증보판에 KBS가 발굴한 친일 경찰관들의 이름을 올리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창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독립운동가 체포, 탄압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도 확인되고, 일제로부터 종군기장을 실제로 수여한 사람들도 확인되기 때문에 적지 않은 수가 친일인명사전 개정 증보판에 등재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또 다른 과제도 남아있다. 공적서에는 간도참변 당시 체포된 것으로 기록된 한국인 17명의 실명이 등장한다. KBS 취재진이 확인한 결과, 이 가운데 국가보훈처가 독립유공자로 인정한 사람은 4명에 불과하다. 독립운동을 하다가 순국했을지도 모르는 이들에 대한 보훈처의 공적 발굴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기사]
[발굴]② 경찰 48인 추적…친일의 그림자 청산되었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발굴]① ‘동족학살’ 한국인 경찰 48명 공적서 확인
    • 입력 2021-03-01 08:01:21
    • 수정2021-03-01 12:08:27
    취재K

오늘(1일)은 3.1운동 102주년이다. 1919년 들불처럼 일어난 3.1운동은 그해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이듬해인 1920년 간도 지역 봉오동·청산리 전투의 승전으로 이어졌다.

일제는 곧바로 보복에 나섰다. 간도 지역 독립군을 말살한다는 목적으로 무고한 민간인들까지 잔인하게 학살했다. 1920년 10월부터 1921년 5월까지 벌어진 '간도참변'이다.


KBS는 오늘로부터 꼭 100년 전인 1921년 3월 1일, 재간도 일본총영사가 결재한 일본 외무성 문서를 단독 발굴했다. 오늘 밤 9시 뉴스에서 집중 보도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간도참변에 참가했던 한국인 경찰관 48명의 '공적'이 자세히 나와 있다. 일제에게는 유능한 친일 한국인 경찰, 우리에게는 동족학살에 가담한 민족의 반역자들이다.

KBS, 간도참변 참가 한국인 경찰관 48명 공적서 최초 발굴

KBS는 일본 외교사료관 '서훈 및 행상' 분류 자료 가운데 1921년 작성된 '간도 사건 공적조서 보고'라는 제목의 문서에서 한국인 경찰관 48명의 공적명세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제가 간도참변에 가담한 한국인 경찰관에게 상훈을 주기 위해 작성한 600쪽 분량의 문서다.

이들은 주로 첩보 수집 및 보고, 길 안내, 통역, 독립운동가에게 변절을 강요하는 귀순 업무 등을 맡았는데 독립운동가 체포와 민간인 마을 '초토화'에도 직접 가담했다. 간도참변에 가담한 한국인 경찰관의 구체적인 반민족 행위가 밝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인 경찰관, 독립운동가 체포·민간인 학살에 가담

독립운동 단체인 '대한국민회'에서 활동한 공로로 훗날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은 김강(金剛) 선생. 선생은 1920년 11월 간도참변 당시 일본 경찰에 피살됐다.

KBS가 찾은 공적서에는 한국인 순사 김학원이 "김강 체포에 지대한 공을 세웠다"고 적혀 있다.

민간인 부락에 침입해 학살에 가담한 정황도 확인된다. 순사 백원장은 한인 마을 5곳을 급습하는 데 가담했고, 독립운동가 체포에도 앞장섰다.
이번에 발굴한 공적서를 보면, 간도참변의 많은 사건 가운데 가장 끔찍한 학살로 기록되는 '장암동 학살 사건'에 가담한 한국인 경찰관도 확인된다. 당시 일본군과 경찰은 40여 명의 마을 주민들을 학살하고, 시신을 모아 불을 지르는 만행을 저질렀다.

순사 박원식에 대한 공적서를 보면, 일본군이 장암촌 부근에서 소탕하는 동안 "한국인 조사와 가택 수색에 용감히 행동한 공적이 뛰어나다"고 적혀 있다. 장암동 사건의 가담자들이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인 경찰관, 독립운동가 체포·민간인 학살에 가담

한국인 경찰관은 독립군이 숨겨놓은 무기를 수색해 압수하는 역할도 맡았다.

"엄청나게 쌓인 눈을 치우고, 보병총 35자루를 압수한 공로"가 인정받는가 하면, "왕복 8리(3km)를 달려 독립운동에 사용된 말을 노획"해 오기도 했다.

김광만 KBS 객원연구원은 "현장에 있었던 부대장들이 간도 토벌에 참여했던 한국인 경찰들에 대한 업적을 공적서로 써주고, 간도총영사관이 공적서를 취합한 다음에 외무성에 보고했다"며 "우리나라 동포를 학살하는 데 앞장섰던 학살자들의 고백록이자 죄상 기록"이라고 말한다.

이들은 종로경찰서, 용산경찰서, 청주경찰서 등 전국 각지에서 파견된 친일 한국인 경찰관들이었다.

만주 지역 항일운동 연구의 전문가인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는 "간도대학살 때 조선인 경찰이 참여했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며, "일제가 조선인 경찰을 간도 현지에 있는 독립운동가를 탄압하는 데 적극적으로 이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최초의 발굴 자료"라고 강조한다.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증보판>에 등재 예정

올해 설립 30주년을 맞은 민족문제연구소는 '친일인명사전 증보판' 발간을 계획하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증보판에 KBS가 발굴한 친일 경찰관들의 이름을 올리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창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독립운동가 체포, 탄압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도 확인되고, 일제로부터 종군기장을 실제로 수여한 사람들도 확인되기 때문에 적지 않은 수가 친일인명사전 개정 증보판에 등재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또 다른 과제도 남아있다. 공적서에는 간도참변 당시 체포된 것으로 기록된 한국인 17명의 실명이 등장한다. KBS 취재진이 확인한 결과, 이 가운데 국가보훈처가 독립유공자로 인정한 사람은 4명에 불과하다. 독립운동을 하다가 순국했을지도 모르는 이들에 대한 보훈처의 공적 발굴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기사]
[발굴]② 경찰 48인 추적…친일의 그림자 청산되었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