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가 건전지를 삼켰어요”…해마다 수십 명 사고

입력 2021.03.23 (08:02) 수정 2021.03.23 (16: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전지를 삼킨 손주를 품에 안은 노부부가 급히 지구대로 도움을 청하러 달려왔다. (화면제공 : 충북 청주 율량지구대)

■ "손주가 건전지를 삼켰어요"

지난 9일 저녁 7시 20분쯤이었습니다. 충북 청주시 주중동의 한 지구대 안으로 할머니 한 분이 급히 달려와 발을 동동 구릅니다. 밖에서는 놀란 기색이 역력한 할아버지가 세 살배기 손주를 품에 안고 어찌할 줄 몰라 합니다.

이들은 손주를 데리고 근처 병원에 갔다가 "치료하기가 어렵다, 큰 병원으로 가라"는 의사의 말을 듣고 무작정 지구대로 찾아왔다고 합니다. 할아버지의 품에 안겨 우는 아이는 동전 크기의 '단추형 건전지'를 삼킨 상태였습니다.

지름 20mm 크기의 3V(볼트) 전압을 가진, 이 리튬 전지는 장난감 용품이나 TV 리모컨, 자동차 스마트키 등의 배터리로 많이 사용되는 건전지입니다.

노부부가 잠시 화장실에 다녀온 사이, 방에서 놀던 아이가 무심코 서랍을 열고 전지를 꺼내 입에 넣었던 겁니다.

실수로 동전 크기의 ‘리튬 전지’를 삼켰던 세 살배기 아이.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응급 치료를 받았다.실수로 동전 크기의 ‘리튬 전지’를 삼켰던 세 살배기 아이.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응급 치료를 받았다.

■ 아이 식도에 걸린 '리튬 전지'…"소화기 점막 손상"

퇴근하는 차들로 도심로가 꽉 막힐 걸 우려했던 노부부와 아이는 다행히 경찰의 도움으로 순찰차를 타고, 10여 분 만에 대형 종합병원 응급실로 갈 수 있었습니다.

차 안에서도 내내 헛구역질하는 아이를 토닥였던 할머니는 1분 1초가 무척 길게만 느껴졌다고 합니다. 의료진이 응급실에 도착한 아이의 식도를 엑스레이(X-ray)로 촬영한 결과, 건전지가 상부 식도에 걸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약 2시간 30분 동안의 소화기 내시경 시술을 통해 아이의 식도에서 꺼낸 회색 전지는 이미 검은 색깔을 띠며 부식이 진행된 상태였습니다.

아이를 치료한 이지혁 충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전지가 부식돼 소화기 점막이 일부 손상됐다"며, "더 늦었다면 압력에 의한 괴사와 궤양이 생길 수 있고, 식도 등 장기에 구멍이 생기는 상황까지 일어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엑스레이(X-RAY)로 아이의 소화기를 촬영한 결과, ‘상부 식도’에 걸린 전지가 발견됐다.엑스레이(X-RAY)로 아이의 소화기를 촬영한 결과, ‘상부 식도’에 걸린 전지가 발견됐다.

■ 영유아 '건전지 삼킴 사고' 잇따라…해마다 '60여 명' 꼴

지난해 10월, 충북 청주시 가경동의 한 아파트에서도 지름 5mm'수은 전지'를 삼켰던 두 살 유아가 119구급대에 의해 급히 충북대병원으로 실려온 경우도 있었습니다.

병원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 2019년 사이, 이 병원에서만 영유아 9명이 이런 '단추형 전지'를 삼켜 이 병원으로 실려와 응급 조치를 받았다고 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 위해감시시스템에도 최근 10년 동안 해마다 적게는 50여 건, 많게는 80여 건의 영유아 '건전지 삼킴 사고'가 접수됐습니다. 해마다 평균 60여 명의 어린이가 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나고 있는 겁니다.

호주에서는 지난해 7월, 세 살배기 아이가 실수로 이런 단추형 전지를 삼켜 숨지는 사고도 있었는데요. 이 교수는 "전지가 위산과 반응해 화학적 화상을 입힐 수 있다"며, "상처가 난 부위에 균이 들어가는 2차 감염이 발생해 증상이 심해지면, 최악의 경우 패혈증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같은 위험성 탓에, 미국과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는 아동이 건전지를 쉽게 빼내거나 아무렇지 않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난감과 전자 제품은 판매를 중단하는 조처를 내리기도 합니다.

장난감과 각종 전자 제품의 배터리로 쓰이는 ‘단추형 전지’. 삼키면 몸속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켜 점막 훼손, 화학적 화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장난감과 각종 전자 제품의 배터리로 쓰이는 ‘단추형 전지’. 삼키면 몸속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켜 점막 훼손, 화학적 화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억지로 토하게 해선 안 돼…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옮겨야"

전문가들은 영유아가 무심코 전지를 삼켰을 때, 억지로 토하게 하면 안 된다고 조언합니다. 이 과정에서 건전지가 소화기를 통해 올라오면서 2차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른 무릎에 아이를 엎드리게 한 뒤 머리를 아래쪽으로 낮춘 상태에서 등을 두드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최대한 빨리 소아 소화기 진료가 가능한 대형 병원을 찾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 교수는 "아이가 갑자기 '캑캑'거리면서 기침을 하거나 을 흘릴 경우, 그리고 음식을 잘 삼키지 못하거나 통증을 호소할 경우에 이런 '건전지 삼킴 사고' 등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에선 각종 가전제품이나 장난감의 건전지 덮개를 테이프로 고정시켜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또 새 건전지는 보이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다 쓴 건전지는 즉시 폐기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아이가 보는 앞에서 전자 기기의 건전지를 교환하는 것도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손주가 건전지를 삼켰어요”…해마다 수십 명 사고
    • 입력 2021-03-23 08:02:48
    • 수정2021-03-23 16:35:13
    취재K
건전지를 삼킨 손주를 품에 안은 노부부가 급히 지구대로 도움을 청하러 달려왔다. (화면제공 : 충북 청주 율량지구대)

■ "손주가 건전지를 삼켰어요"

지난 9일 저녁 7시 20분쯤이었습니다. 충북 청주시 주중동의 한 지구대 안으로 할머니 한 분이 급히 달려와 발을 동동 구릅니다. 밖에서는 놀란 기색이 역력한 할아버지가 세 살배기 손주를 품에 안고 어찌할 줄 몰라 합니다.

이들은 손주를 데리고 근처 병원에 갔다가 "치료하기가 어렵다, 큰 병원으로 가라"는 의사의 말을 듣고 무작정 지구대로 찾아왔다고 합니다. 할아버지의 품에 안겨 우는 아이는 동전 크기의 '단추형 건전지'를 삼킨 상태였습니다.

지름 20mm 크기의 3V(볼트) 전압을 가진, 이 리튬 전지는 장난감 용품이나 TV 리모컨, 자동차 스마트키 등의 배터리로 많이 사용되는 건전지입니다.

노부부가 잠시 화장실에 다녀온 사이, 방에서 놀던 아이가 무심코 서랍을 열고 전지를 꺼내 입에 넣었던 겁니다.

실수로 동전 크기의 ‘리튬 전지’를 삼켰던 세 살배기 아이.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응급 치료를 받았다.
■ 아이 식도에 걸린 '리튬 전지'…"소화기 점막 손상"

퇴근하는 차들로 도심로가 꽉 막힐 걸 우려했던 노부부와 아이는 다행히 경찰의 도움으로 순찰차를 타고, 10여 분 만에 대형 종합병원 응급실로 갈 수 있었습니다.

차 안에서도 내내 헛구역질하는 아이를 토닥였던 할머니는 1분 1초가 무척 길게만 느껴졌다고 합니다. 의료진이 응급실에 도착한 아이의 식도를 엑스레이(X-ray)로 촬영한 결과, 건전지가 상부 식도에 걸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약 2시간 30분 동안의 소화기 내시경 시술을 통해 아이의 식도에서 꺼낸 회색 전지는 이미 검은 색깔을 띠며 부식이 진행된 상태였습니다.

아이를 치료한 이지혁 충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전지가 부식돼 소화기 점막이 일부 손상됐다"며, "더 늦었다면 압력에 의한 괴사와 궤양이 생길 수 있고, 식도 등 장기에 구멍이 생기는 상황까지 일어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엑스레이(X-RAY)로 아이의 소화기를 촬영한 결과, ‘상부 식도’에 걸린 전지가 발견됐다.
■ 영유아 '건전지 삼킴 사고' 잇따라…해마다 '60여 명' 꼴

지난해 10월, 충북 청주시 가경동의 한 아파트에서도 지름 5mm'수은 전지'를 삼켰던 두 살 유아가 119구급대에 의해 급히 충북대병원으로 실려온 경우도 있었습니다.

병원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 2019년 사이, 이 병원에서만 영유아 9명이 이런 '단추형 전지'를 삼켜 이 병원으로 실려와 응급 조치를 받았다고 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 위해감시시스템에도 최근 10년 동안 해마다 적게는 50여 건, 많게는 80여 건의 영유아 '건전지 삼킴 사고'가 접수됐습니다. 해마다 평균 60여 명의 어린이가 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나고 있는 겁니다.

호주에서는 지난해 7월, 세 살배기 아이가 실수로 이런 단추형 전지를 삼켜 숨지는 사고도 있었는데요. 이 교수는 "전지가 위산과 반응해 화학적 화상을 입힐 수 있다"며, "상처가 난 부위에 균이 들어가는 2차 감염이 발생해 증상이 심해지면, 최악의 경우 패혈증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같은 위험성 탓에, 미국과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는 아동이 건전지를 쉽게 빼내거나 아무렇지 않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난감과 전자 제품은 판매를 중단하는 조처를 내리기도 합니다.

장난감과 각종 전자 제품의 배터리로 쓰이는 ‘단추형 전지’. 삼키면 몸속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켜 점막 훼손, 화학적 화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억지로 토하게 해선 안 돼…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옮겨야"

전문가들은 영유아가 무심코 전지를 삼켰을 때, 억지로 토하게 하면 안 된다고 조언합니다. 이 과정에서 건전지가 소화기를 통해 올라오면서 2차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른 무릎에 아이를 엎드리게 한 뒤 머리를 아래쪽으로 낮춘 상태에서 등을 두드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최대한 빨리 소아 소화기 진료가 가능한 대형 병원을 찾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 교수는 "아이가 갑자기 '캑캑'거리면서 기침을 하거나 을 흘릴 경우, 그리고 음식을 잘 삼키지 못하거나 통증을 호소할 경우에 이런 '건전지 삼킴 사고' 등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에선 각종 가전제품이나 장난감의 건전지 덮개를 테이프로 고정시켜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또 새 건전지는 보이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다 쓴 건전지는 즉시 폐기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아이가 보는 앞에서 전자 기기의 건전지를 교환하는 것도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