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후]① 지구를 구하기 위해 나무를 벤다고요?

입력 2021.04.10 (08:00) 수정 2021.04.15 (20: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 하면 어떤 단어가 떠오르시나요? 생명, 자연, 휴식처…. 이런 단어를 떠올린 분들이 많을 겁니다. 그래서 '숲'은 지켜야 할 거로 생각하곤 하죠. 그게 곧 지구를 구하는 일이라고 여겨 왔으니까요.

그런데 한편에선 '나무를 베어야 숲이 산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그것도, 지구를 구하는 방법으로 말이죠. 실제 이런 정책을 국내외에서 추진 중입니다.

생태계의 근간이자, 휴식처인 '숲'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무를 심고, 숲으로 가꾸려면 오랜 세월이 필요합니다. 그런 만큼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의견이 중요합니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겁니다.

판단의 근거를 드리고자 오늘(10일)과 내일(11일) 두 편에 걸쳐 정부의 산림 정책과 이에 대한 의견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① 지구를 구하기 위해 나무를 벤다고요?
② 나무 베기가 제2의 녹화사업?…"뜯어보면 발전 사업"


■ '식목일=4월 5일' 76년 만에 바꾸려는 산림청 속내는?

최근 많이 기사화된 내용이죠. 산림청이 식목일 날짜를 바꾸려고 합니다. 이유도 많이 들으셨을 겁니다. 기후 변화입니다.

제1회 식목일은 1946년이었습니다. 그때 4월 5일의 기온은 이제 3월 중하순이면 나타납니다. 산림청이 여론조사를 해 봤더니,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식목일을 3월로 앞당기는 데 동의했습니다.

[연관기사] 이번엔 식목일 3월로 앞당길까?…“응답자 56%는 찬성”

그런데 기후 변화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실제 식목일 날짜 변경을 그동안 여러 차례 추진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때마다 식목일의 역사성, 상징성을 들어 번번이 무산됐습니다.

그러면 정부가 올해 다시 식목일 변경을 추진하는 이유는 뭘까요? 속내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2050년 탄소 중립' 정책입니다. '탄소 중립'은 탄소 배출량과 흡수량을 같게 해 실질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겁니다.

그런데 우리가 아무리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고 해도, 일상생활을 하고 산업 활동을 하면서 전혀 배출하지 않을 순 없겠죠. 그렇게 남게 된 배출량만큼을 흡수하면 '탄소 중립'으로 본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탄소를 흡수하는 방법은 뭘까요? 여러 기술을 개발하곤 있지만, 현재 유일한 흡수원이 바로 '산림'입니다. 전 세계가 '산림'에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산림청이 식목일 변경 카드를 꺼낸 것도 이 때문입니다. 기후 위기 시대, 산림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식목일을 부각하려는 겁니다.


■ “숲이 늙어간다”…30년 뒤 탄소흡수량 1/3토막

한국전쟁 이후 우리 산은 황폐해졌습니다. 그러다 1970년대 대대적으로 녹화사업을 했죠. 지금은 나무가 빽빽이 자랐습니다. 이렇게 숲이 무성해졌으니, 잘 보존만 해 나간다면 2050년 탄소 중립도 문제가 없을 거로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지 않다"는 게 산림청의 입장입니다. 1970년대 심은 나무들이 탄소를 흡수하기엔 이제 너무 늙었다는 겁니다.


산림청에 따르면 나무의 탄소 흡수량은 수령이 20~30년 사이일 때 최대를 기록합니다. 그 뒤론 빠르게 줄어듭니다. 나무는 어릴 때 생장이 활발해 그만큼 탄소를 흡수하는 양도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금의 숲을 그대로 둔 채 2050년이 되면, 탄소 흡수량이 크게 떨어질 거라는 게 산림청의 전망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산림이 1년간 흡수하는 탄소량은 4,560만 톤입니다. 그런데 2050년에는 50년 이상 된 늙은 숲이 72%를 차지하면서 연간 탄소 흡수량도 1,400만 톤까지 줄어들 거란 거죠.

30년 뒤 탄소 흡수량이 3분의 1토막이 난다는 건데요. 만약 이렇게 된다면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면서 큰 부담을 지게 될 처지에 놓일 수 있습니다.


■ 산림청, '베기, 쓰기, 심기'로 탄소저감 기여량 1,880만 톤 늘린다

산림청이 왜 식목일을 다시 강조하고 있는지 설명해 드렸는데요. 나무를 새로 심으면 되지 않겠느냐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국토에는 나무를 새로 심을 땅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산림청이 선택한 건, 숲에서 기존의 늙은 나무를 베어내고 어린나무를 새로 심자는 겁니다.

산림청은 30년 동안 국내에 27만 그루를 심을 계획인데요. 문제는 이렇게 '베고 심기'로 기존보다 늘릴 수 있는 국내 산림의 탄소 흡수량이 550만 톤(1,510만 톤→2,060만 톤)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2019년 포스코의 연간 탄소 배출량이 약 8천만 톤이었던 걸 고려하면, 30년 간 노력을 하더라도 늘어나는 탄소 흡수량은 매우 적은 편입니다.



그래서 산림청은 북한 산림 복구와 개도국 황폐화 방지사업(REDD+) 등의 계획도 세웠습니다. 나라 밖에서 나무를 심어도 우리가 탄소를 흡수한 것으로 간주해 주기 때문입니다. 북한에 3억 그루의 나무를 심고, 개도국 등 해외에 나무를 심어 탄소 흡수량을 610만 톤 늘리겠다는 계획입니다.

또 하나 중요한 전략은 '베어낸 나무를 잘 쓰기'입니다. 나무를 목재나 바이오매스 연료 등으로 이용한다는 건데요. 선뜻 이해가 가지 않으실 겁니다. 베어낸 나무를 잘 쓰면 왜 탄소가 감소하는 걸까요?

이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탄소 산정 방식과 관련 있습니다. 나무는 베어내는 순간 그동안 흡수한 탄소를 모두 배출하는 것으로 계산합니다. 그런데 이 나무를 그냥 썩게 놔두지 않고, 잘 활용할 경우 그 기간 만큼은 탄소를 저장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예를 들어 건축 자재로 목재를 이용하면 35년, 종이로 이용하면 2년간은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저장하는 것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산림청은 이런 식으로 목재 이용을 늘려 2050년에는 탄소 저장량을 80만 톤 늘리겠다는 계획입니다.

또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산림 바이오매스 에너지입니다. 목재로 활용할 수 없는 나무 잔가지 등의 부산물을 목재 연료로 쓰는 겁니다.

물론 나무도 연료로 태우면 탄소가 배출됩니다. 그런데 국제 사회는 나무를 연료로 때면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나무가 생장하는 동안 흡수한 탄소량을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산림 바이오매스'로 전기를 생산해 석탄 등 화석 연료를 대체하는 만큼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겁니다. 산림청은 이런 방식으로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480만 톤 줄이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결국 '베고-쓰고-심기'의 산림 순환 과정이 원활히 돌아가야 탄소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논리인데요.
산림청이 세운 계획대로 모두 진행된다면, 오는 2050년 숲의 탄소 저감 기여량은 기존보다 1,880만 톤 늘어난 3,400만 톤으로 높아진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 '탄소 중립' 위한 산림 전략, 문제는 없을까?

취재를 시작하기 전엔 막연히 '나무 베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습니다. 자연은 그대로 놔뒀을 때 가장 가치 있을 거라는 믿음이 있었고, 생태계가 훼손될까 봐 걱정도 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처럼 작은 국토에서 '탄소 중립'이란 정책적 목표를 달성하려면 나무를 베고, 심어야 하는 게 필요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산림을 '베고 심는' 과정은 정말 문제가 없는 걸까요?

취재 과정에서 산림청의 전략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작지 않았습니다. 더 큰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많았는데요.

내일(11일) 2편에서 반대편의 목소리를 전해드리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후]① 지구를 구하기 위해 나무를 벤다고요?
    • 입력 2021-04-10 08:00:37
    • 수정2021-04-15 20:51:26
    취재후·사건후

'숲' 하면 어떤 단어가 떠오르시나요? 생명, 자연, 휴식처…. 이런 단어를 떠올린 분들이 많을 겁니다. 그래서 '숲'은 지켜야 할 거로 생각하곤 하죠. 그게 곧 지구를 구하는 일이라고 여겨 왔으니까요.

그런데 한편에선 '나무를 베어야 숲이 산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그것도, 지구를 구하는 방법으로 말이죠. 실제 이런 정책을 국내외에서 추진 중입니다.

생태계의 근간이자, 휴식처인 '숲'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무를 심고, 숲으로 가꾸려면 오랜 세월이 필요합니다. 그런 만큼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의견이 중요합니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겁니다.

판단의 근거를 드리고자 오늘(10일)과 내일(11일) 두 편에 걸쳐 정부의 산림 정책과 이에 대한 의견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① 지구를 구하기 위해 나무를 벤다고요?
② 나무 베기가 제2의 녹화사업?…"뜯어보면 발전 사업"


■ '식목일=4월 5일' 76년 만에 바꾸려는 산림청 속내는?

최근 많이 기사화된 내용이죠. 산림청이 식목일 날짜를 바꾸려고 합니다. 이유도 많이 들으셨을 겁니다. 기후 변화입니다.

제1회 식목일은 1946년이었습니다. 그때 4월 5일의 기온은 이제 3월 중하순이면 나타납니다. 산림청이 여론조사를 해 봤더니,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식목일을 3월로 앞당기는 데 동의했습니다.

[연관기사] 이번엔 식목일 3월로 앞당길까?…“응답자 56%는 찬성”

그런데 기후 변화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실제 식목일 날짜 변경을 그동안 여러 차례 추진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때마다 식목일의 역사성, 상징성을 들어 번번이 무산됐습니다.

그러면 정부가 올해 다시 식목일 변경을 추진하는 이유는 뭘까요? 속내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2050년 탄소 중립' 정책입니다. '탄소 중립'은 탄소 배출량과 흡수량을 같게 해 실질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겁니다.

그런데 우리가 아무리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고 해도, 일상생활을 하고 산업 활동을 하면서 전혀 배출하지 않을 순 없겠죠. 그렇게 남게 된 배출량만큼을 흡수하면 '탄소 중립'으로 본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탄소를 흡수하는 방법은 뭘까요? 여러 기술을 개발하곤 있지만, 현재 유일한 흡수원이 바로 '산림'입니다. 전 세계가 '산림'에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산림청이 식목일 변경 카드를 꺼낸 것도 이 때문입니다. 기후 위기 시대, 산림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식목일을 부각하려는 겁니다.


■ “숲이 늙어간다”…30년 뒤 탄소흡수량 1/3토막

한국전쟁 이후 우리 산은 황폐해졌습니다. 그러다 1970년대 대대적으로 녹화사업을 했죠. 지금은 나무가 빽빽이 자랐습니다. 이렇게 숲이 무성해졌으니, 잘 보존만 해 나간다면 2050년 탄소 중립도 문제가 없을 거로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지 않다"는 게 산림청의 입장입니다. 1970년대 심은 나무들이 탄소를 흡수하기엔 이제 너무 늙었다는 겁니다.


산림청에 따르면 나무의 탄소 흡수량은 수령이 20~30년 사이일 때 최대를 기록합니다. 그 뒤론 빠르게 줄어듭니다. 나무는 어릴 때 생장이 활발해 그만큼 탄소를 흡수하는 양도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금의 숲을 그대로 둔 채 2050년이 되면, 탄소 흡수량이 크게 떨어질 거라는 게 산림청의 전망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산림이 1년간 흡수하는 탄소량은 4,560만 톤입니다. 그런데 2050년에는 50년 이상 된 늙은 숲이 72%를 차지하면서 연간 탄소 흡수량도 1,400만 톤까지 줄어들 거란 거죠.

30년 뒤 탄소 흡수량이 3분의 1토막이 난다는 건데요. 만약 이렇게 된다면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면서 큰 부담을 지게 될 처지에 놓일 수 있습니다.


■ 산림청, '베기, 쓰기, 심기'로 탄소저감 기여량 1,880만 톤 늘린다

산림청이 왜 식목일을 다시 강조하고 있는지 설명해 드렸는데요. 나무를 새로 심으면 되지 않겠느냐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국토에는 나무를 새로 심을 땅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산림청이 선택한 건, 숲에서 기존의 늙은 나무를 베어내고 어린나무를 새로 심자는 겁니다.

산림청은 30년 동안 국내에 27만 그루를 심을 계획인데요. 문제는 이렇게 '베고 심기'로 기존보다 늘릴 수 있는 국내 산림의 탄소 흡수량이 550만 톤(1,510만 톤→2,060만 톤)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2019년 포스코의 연간 탄소 배출량이 약 8천만 톤이었던 걸 고려하면, 30년 간 노력을 하더라도 늘어나는 탄소 흡수량은 매우 적은 편입니다.



그래서 산림청은 북한 산림 복구와 개도국 황폐화 방지사업(REDD+) 등의 계획도 세웠습니다. 나라 밖에서 나무를 심어도 우리가 탄소를 흡수한 것으로 간주해 주기 때문입니다. 북한에 3억 그루의 나무를 심고, 개도국 등 해외에 나무를 심어 탄소 흡수량을 610만 톤 늘리겠다는 계획입니다.

또 하나 중요한 전략은 '베어낸 나무를 잘 쓰기'입니다. 나무를 목재나 바이오매스 연료 등으로 이용한다는 건데요. 선뜻 이해가 가지 않으실 겁니다. 베어낸 나무를 잘 쓰면 왜 탄소가 감소하는 걸까요?

이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탄소 산정 방식과 관련 있습니다. 나무는 베어내는 순간 그동안 흡수한 탄소를 모두 배출하는 것으로 계산합니다. 그런데 이 나무를 그냥 썩게 놔두지 않고, 잘 활용할 경우 그 기간 만큼은 탄소를 저장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예를 들어 건축 자재로 목재를 이용하면 35년, 종이로 이용하면 2년간은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저장하는 것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산림청은 이런 식으로 목재 이용을 늘려 2050년에는 탄소 저장량을 80만 톤 늘리겠다는 계획입니다.

또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산림 바이오매스 에너지입니다. 목재로 활용할 수 없는 나무 잔가지 등의 부산물을 목재 연료로 쓰는 겁니다.

물론 나무도 연료로 태우면 탄소가 배출됩니다. 그런데 국제 사회는 나무를 연료로 때면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나무가 생장하는 동안 흡수한 탄소량을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산림 바이오매스'로 전기를 생산해 석탄 등 화석 연료를 대체하는 만큼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겁니다. 산림청은 이런 방식으로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480만 톤 줄이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결국 '베고-쓰고-심기'의 산림 순환 과정이 원활히 돌아가야 탄소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논리인데요.
산림청이 세운 계획대로 모두 진행된다면, 오는 2050년 숲의 탄소 저감 기여량은 기존보다 1,880만 톤 늘어난 3,400만 톤으로 높아진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 '탄소 중립' 위한 산림 전략, 문제는 없을까?

취재를 시작하기 전엔 막연히 '나무 베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습니다. 자연은 그대로 놔뒀을 때 가장 가치 있을 거라는 믿음이 있었고, 생태계가 훼손될까 봐 걱정도 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처럼 작은 국토에서 '탄소 중립'이란 정책적 목표를 달성하려면 나무를 베고, 심어야 하는 게 필요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산림을 '베고 심는' 과정은 정말 문제가 없는 걸까요?

취재 과정에서 산림청의 전략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작지 않았습니다. 더 큰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많았는데요.

내일(11일) 2편에서 반대편의 목소리를 전해드리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시리즈

생존을 위한 전환 ‘탄소중립’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