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미’급 태풍 ‘힌남노’ 북상…주말 대비 분주

입력 2022.09.03 (21:38) 수정 2022.09.03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다음 주 화요일 오전 부산으로 접근할 것으로 예보됐습니다.

많은 비와 함께 매우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보여 주말인 오늘 부산 곳곳에서는 태풍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비로 분주했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가 내리는 부산 광안리 해수욕장.

태풍이 북상한다는 소식에 백사장에 들어선 조형물을 치우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해운대구의 한 어항에서는 크레인을 동원해 어선들을 육지로 옮기고 있습니다.

[김몽득/우동 어촌계장 : "파도가 들어와 너무 크다니까. 혹시나 싶어 올려 놓는 게 안 낫겠습니까 아무래도. (예전 태풍 때도)배가 전부 (육지로)올라가고…."]

부산을 향해 북상 중인 제11호 태풍 '힌남노'는 2003년 부산에 큰 피해를 준 '매미'와 닮은꼴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당시 매미는 최대순간 풍속이 초속 60미터로 매우 강했습니다.

부산항에서는 80m 높이의 크레인이 엿가락처럼 휘어졌고, 전국에서 13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이곳 민락수변공원에는 태풍 매미 때 떠내려온 바위가 보시는 것처럼 보관돼 있습니다.

태풍의 위험성 등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려는 목적인데 크기가 길이만 2미터에 달합니다.

태풍 힌남노도 많은 비와 함께 초속 50미터를 넘나드는 강풍이 불 것으로 예상돼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태풍을 앞두고 취약지역을 현장 점검하는 한편 강풍이 불 땐 시내 7개 교량의 차량 운행 등을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부산시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무엇보다 시민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재덕/부산시 자연재난과장 : "시민 여러분들께서는 빗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최소한 자기 사무실, 점포, 집 앞에 배수시설에 있는 그런 고무판, 나뭇잎, 쓰레기 같은 것을 청소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또 유리창이 깨지지 않게 창문에 테이프를 붙이고 바람에 날아갈 우려가 있는 시설물은 단단히 고정하는 등 대비를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이동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매미’급 태풍 ‘힌남노’ 북상…주말 대비 분주
    • 입력 2022-09-03 21:38:06
    • 수정2022-09-03 21:59:37
    뉴스9(부산)
[앵커]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다음 주 화요일 오전 부산으로 접근할 것으로 예보됐습니다.

많은 비와 함께 매우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보여 주말인 오늘 부산 곳곳에서는 태풍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비로 분주했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가 내리는 부산 광안리 해수욕장.

태풍이 북상한다는 소식에 백사장에 들어선 조형물을 치우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해운대구의 한 어항에서는 크레인을 동원해 어선들을 육지로 옮기고 있습니다.

[김몽득/우동 어촌계장 : "파도가 들어와 너무 크다니까. 혹시나 싶어 올려 놓는 게 안 낫겠습니까 아무래도. (예전 태풍 때도)배가 전부 (육지로)올라가고…."]

부산을 향해 북상 중인 제11호 태풍 '힌남노'는 2003년 부산에 큰 피해를 준 '매미'와 닮은꼴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당시 매미는 최대순간 풍속이 초속 60미터로 매우 강했습니다.

부산항에서는 80m 높이의 크레인이 엿가락처럼 휘어졌고, 전국에서 13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이곳 민락수변공원에는 태풍 매미 때 떠내려온 바위가 보시는 것처럼 보관돼 있습니다.

태풍의 위험성 등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려는 목적인데 크기가 길이만 2미터에 달합니다.

태풍 힌남노도 많은 비와 함께 초속 50미터를 넘나드는 강풍이 불 것으로 예상돼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태풍을 앞두고 취약지역을 현장 점검하는 한편 강풍이 불 땐 시내 7개 교량의 차량 운행 등을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부산시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무엇보다 시민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재덕/부산시 자연재난과장 : "시민 여러분들께서는 빗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최소한 자기 사무실, 점포, 집 앞에 배수시설에 있는 그런 고무판, 나뭇잎, 쓰레기 같은 것을 청소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또 유리창이 깨지지 않게 창문에 테이프를 붙이고 바람에 날아갈 우려가 있는 시설물은 단단히 고정하는 등 대비를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이동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