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 지대 생태계 통로 열렸다

입력 2005.06.23 (22:03)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도로와 철도 등으로 단절된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연결해 주는 것이 바로 생태다리입니다.
비무장지대에 설치된 생태다리가 제 기능을 다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구본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003년 다시 연결된 경의선 철도입니다.
비무장지대를 지나는 이 경의선 철로 위에 야생동물들의 이동을 위한 생태다리가 설치됐습니다.
고라니 한 마리가 이 생태다리를 통해 이동하는 모습이 CCTV에 잡힙니다.
조그만 새의 뒤꽁무니를 고라니가 살금살금 쫓기도 합니다.
한 마리의 멧돼지가 생태다리를 지나자 이번에는 가족으로 보이는 멧돼지들이 여유롭게 뒤따릅니다.
너구리와 삵, 토끼 등 다른 야생동물들의 흔적들도 곳곳에서 발견됐습니다.
야생동물들이 생태다리를 자주 이용하는 것은 인간의 출입이 없는 데다 습지와 관목숲을 갖추는 등 주변과 조화를 잘 이루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김귀곤(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비무장지대의 서식처는 동서남북으로 파편화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철도 위에 생태다리를 계기로 해서 동서로는 연결이 됐기 때문에 앞으로는 남북을 연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되겠습니다.
⊙기자: 경의선 철로 위에 만들어진 생태다리는 모두 5곳, 환경부는 생태다리 외에도 대체습지조성 등 각종 비무장지대 생태보존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구본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무장 지대 생태계 통로 열렸다
    • 입력 2005-06-23 21:39:38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도로와 철도 등으로 단절된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연결해 주는 것이 바로 생태다리입니다. 비무장지대에 설치된 생태다리가 제 기능을 다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구본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003년 다시 연결된 경의선 철도입니다. 비무장지대를 지나는 이 경의선 철로 위에 야생동물들의 이동을 위한 생태다리가 설치됐습니다. 고라니 한 마리가 이 생태다리를 통해 이동하는 모습이 CCTV에 잡힙니다. 조그만 새의 뒤꽁무니를 고라니가 살금살금 쫓기도 합니다. 한 마리의 멧돼지가 생태다리를 지나자 이번에는 가족으로 보이는 멧돼지들이 여유롭게 뒤따릅니다. 너구리와 삵, 토끼 등 다른 야생동물들의 흔적들도 곳곳에서 발견됐습니다. 야생동물들이 생태다리를 자주 이용하는 것은 인간의 출입이 없는 데다 습지와 관목숲을 갖추는 등 주변과 조화를 잘 이루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김귀곤(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비무장지대의 서식처는 동서남북으로 파편화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철도 위에 생태다리를 계기로 해서 동서로는 연결이 됐기 때문에 앞으로는 남북을 연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되겠습니다. ⊙기자: 경의선 철로 위에 만들어진 생태다리는 모두 5곳, 환경부는 생태다리 외에도 대체습지조성 등 각종 비무장지대 생태보존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구본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