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중국산 김치 유해 수준 아니다”
입력 2005.10.10 (22:1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국산 김치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산과 국내산 모두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는 행정당국의 발표가 나왔습니다.
납 성분이 인체에 해가 없을만큼 허용기준치 이하라는 것입니다.
먼저, 최윤정 의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시중에 유통중인 김치 59개 제품을 긴급수거해 검사한 결과, 중국산 31개 제품의 납 함유량은 0.05ppm 이하, 국내산 28개 제품은 0.02ppm 이하로 조사됐습니다.
자연상태에 있는 납 함유량이 국내산 야채에선 평균 0,03ppm, 곡류에서 0.04ppm인 것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는 양이고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채소류 허용 기준인 0.3 ppm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입니다 .
식약청 검사결과 이번에 검출된 납 함유량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거의 없는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식약청은 이번 검사 결과는 각계 전문가들의 철저한 검증을 거쳐 신뢰성에 문제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인터뷰>고계인(식약청 식품본부장): "객관성 확보 차원에서 타 검사기관에 의뢰한 결과 동일한 수치를 얻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번 결과는 지난달 25일 한나라당 고경화의원이 밝힌 중국산 김치의 납 검출량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원인 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윤정입니다.
중국산 김치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산과 국내산 모두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는 행정당국의 발표가 나왔습니다.
납 성분이 인체에 해가 없을만큼 허용기준치 이하라는 것입니다.
먼저, 최윤정 의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시중에 유통중인 김치 59개 제품을 긴급수거해 검사한 결과, 중국산 31개 제품의 납 함유량은 0.05ppm 이하, 국내산 28개 제품은 0.02ppm 이하로 조사됐습니다.
자연상태에 있는 납 함유량이 국내산 야채에선 평균 0,03ppm, 곡류에서 0.04ppm인 것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는 양이고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채소류 허용 기준인 0.3 ppm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입니다 .
식약청 검사결과 이번에 검출된 납 함유량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거의 없는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식약청은 이번 검사 결과는 각계 전문가들의 철저한 검증을 거쳐 신뢰성에 문제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인터뷰>고계인(식약청 식품본부장): "객관성 확보 차원에서 타 검사기관에 의뢰한 결과 동일한 수치를 얻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번 결과는 지난달 25일 한나라당 고경화의원이 밝힌 중국산 김치의 납 검출량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원인 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윤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내산·중국산 김치 유해 수준 아니다”
-
- 입력 2005-10-10 21:20:57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멘트>
중국산 김치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산과 국내산 모두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는 행정당국의 발표가 나왔습니다.
납 성분이 인체에 해가 없을만큼 허용기준치 이하라는 것입니다.
먼저, 최윤정 의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시중에 유통중인 김치 59개 제품을 긴급수거해 검사한 결과, 중국산 31개 제품의 납 함유량은 0.05ppm 이하, 국내산 28개 제품은 0.02ppm 이하로 조사됐습니다.
자연상태에 있는 납 함유량이 국내산 야채에선 평균 0,03ppm, 곡류에서 0.04ppm인 것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는 양이고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채소류 허용 기준인 0.3 ppm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입니다 .
식약청 검사결과 이번에 검출된 납 함유량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거의 없는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식약청은 이번 검사 결과는 각계 전문가들의 철저한 검증을 거쳐 신뢰성에 문제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인터뷰>고계인(식약청 식품본부장): "객관성 확보 차원에서 타 검사기관에 의뢰한 결과 동일한 수치를 얻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번 결과는 지난달 25일 한나라당 고경화의원이 밝힌 중국산 김치의 납 검출량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원인 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윤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김치 '기생충 알' 검출 파문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