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로 몰리며 전세가 1년 내내 상승…“비아파트 대책 필요”

입력 2024.05.18 (21:12) 수정 2024.05.20 (08: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지난 1년 내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매매가 정체된 데다 전세사기로 빌라 기피 현상이 계속된 것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오대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 성동구에 있는 대단지 아파트.

전용면적 84제곱미터 전세는 지난해 초 7억 원대에 주로 거래됐는데 지금은 9억 원을 넘습니다.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음성변조 : "(전세는) 없어요. 많지 않아요. 물건이 없으니까 꼭 필요한 분들, 신혼부부들 이런 분들은 새로 구해야 되잖아요. 날짜는 정해져 있고 그런 분들은 조금 비싸도 그냥 계약하시더라고요."]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 주간 전셋값은 지난해 5월 이후 매주 올라 52주 연속 상승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아파트 전세가는 수도권은 5%, 특히 서울은 5.14% 상승했습니다.

반면, 비수도권은 0.96% 떨어져 차이를 보였습니다.

서울은 '전세수급지수'도 2년 반 만에 기준점인 100을 넘었는데 전세를 내놓는 사람보다 구하는 사람이 더 많다는 뜻입니다.

이처럼 아파트 전세가 귀해진 건 고금리로 매매시장이 정체된 상태에서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나 오피스텔을 꺼리기 때문입니다.

[송인호/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 소장 : "내수경기 회복이 당분간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실제로 전세 선호에 대한 부분들은 이어질 수밖에 없고, 더군다나 수도권 입주 아파트의 올해 물량이 직전년도 대비해서 약 3만 호 정도 감소할 것으로…"]

여기에 전셋값을 묶어뒀던 '임대차 2법'이 올 7월 시행 4년을 맞으면 전세가 더 오를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전세사기 예방책을 강화하고 빌라나 오피스텔의 공급도 늘려 '아파트 쏠림' 수요를 분산시켜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송인호/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 소장 : "전세가격의 상승과 또는 월세 가격의 상승은 상당한 심리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가계지출의 영향과 압박의 요인이 될 수가 있습니다. 안정화 대책의 중점 부분은 비아파트 공급 물량의 활성화 부분이…"]

국토부는 다음 주 전세안정과 주택 공급 대책을 내놓을 방침입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 이상훈/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아파트로 몰리며 전세가 1년 내내 상승…“비아파트 대책 필요”
    • 입력 2024-05-18 21:12:35
    • 수정2024-05-20 08:03:38
    뉴스 9
[앵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지난 1년 내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매매가 정체된 데다 전세사기로 빌라 기피 현상이 계속된 것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오대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 성동구에 있는 대단지 아파트.

전용면적 84제곱미터 전세는 지난해 초 7억 원대에 주로 거래됐는데 지금은 9억 원을 넘습니다.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음성변조 : "(전세는) 없어요. 많지 않아요. 물건이 없으니까 꼭 필요한 분들, 신혼부부들 이런 분들은 새로 구해야 되잖아요. 날짜는 정해져 있고 그런 분들은 조금 비싸도 그냥 계약하시더라고요."]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 주간 전셋값은 지난해 5월 이후 매주 올라 52주 연속 상승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아파트 전세가는 수도권은 5%, 특히 서울은 5.14% 상승했습니다.

반면, 비수도권은 0.96% 떨어져 차이를 보였습니다.

서울은 '전세수급지수'도 2년 반 만에 기준점인 100을 넘었는데 전세를 내놓는 사람보다 구하는 사람이 더 많다는 뜻입니다.

이처럼 아파트 전세가 귀해진 건 고금리로 매매시장이 정체된 상태에서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나 오피스텔을 꺼리기 때문입니다.

[송인호/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 소장 : "내수경기 회복이 당분간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실제로 전세 선호에 대한 부분들은 이어질 수밖에 없고, 더군다나 수도권 입주 아파트의 올해 물량이 직전년도 대비해서 약 3만 호 정도 감소할 것으로…"]

여기에 전셋값을 묶어뒀던 '임대차 2법'이 올 7월 시행 4년을 맞으면 전세가 더 오를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전세사기 예방책을 강화하고 빌라나 오피스텔의 공급도 늘려 '아파트 쏠림' 수요를 분산시켜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송인호/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 소장 : "전세가격의 상승과 또는 월세 가격의 상승은 상당한 심리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가계지출의 영향과 압박의 요인이 될 수가 있습니다. 안정화 대책의 중점 부분은 비아파트 공급 물량의 활성화 부분이…"]

국토부는 다음 주 전세안정과 주택 공급 대책을 내놓을 방침입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 이상훈/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