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매개 가축질병 확산…전문인력 육성 필요

입력 2024.08.16 (21:55) 수정 2024.08.16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 들어 경북에서만 5건의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는 등 야생 동물로 인한 가축 질병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야생 동물의 생태를 연구하는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해 인력 양성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야생 멧돼지가 옮기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올들어 경북에서만 5건이 발생해 돼지 2만 9천여 마리가 매몰됐습니다.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급격히 변하면서 가축전염병은 물론 멧돼지 도심 침입 등 위험도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학교 뒷산을 오르는 실습생들.

숲속 곳곳에 설치해 놓은 카메라를 회수하고 야생동물의 뼈와 분변 등 흔적들을 살펴봅니다.

실험실에서는 DNA 추출과 증폭 같은 분석 작업이 한창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대구대가 야생동물 실태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해 마련한 교육과정의 참가자들입니다.

[이경민/교육생/국립공원공단 야생생물보호단 : "힘들고, 시간은 야간에 해야 한다는 부분이 있지만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없는 연구이기 때문에 그런 걸 하면서 좀 더 나아가면서…."]

야생동물 실태조사 전문인력은 전국적으로 100여 명에 불과해 이같은 체계적인 인력 양성 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조영석/대구대 생물교육과 교수 : "야생 동물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있을 때 가축 질병이나 사람한테 옮길 수 있는 질병에 대한 대비도 철저히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조사일 수밖에 없습니다."]

야생동물로 인한 경제적 피해 예방은 물론, 인간과의 공존을 위해서 관련 전문가 육성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박병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야생동물 매개 가축질병 확산…전문인력 육성 필요
    • 입력 2024-08-16 21:55:55
    • 수정2024-08-16 22:10:23
    뉴스9(대구)
[앵커]

올해 들어 경북에서만 5건의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는 등 야생 동물로 인한 가축 질병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야생 동물의 생태를 연구하는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해 인력 양성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야생 멧돼지가 옮기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올들어 경북에서만 5건이 발생해 돼지 2만 9천여 마리가 매몰됐습니다.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급격히 변하면서 가축전염병은 물론 멧돼지 도심 침입 등 위험도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학교 뒷산을 오르는 실습생들.

숲속 곳곳에 설치해 놓은 카메라를 회수하고 야생동물의 뼈와 분변 등 흔적들을 살펴봅니다.

실험실에서는 DNA 추출과 증폭 같은 분석 작업이 한창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대구대가 야생동물 실태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해 마련한 교육과정의 참가자들입니다.

[이경민/교육생/국립공원공단 야생생물보호단 : "힘들고, 시간은 야간에 해야 한다는 부분이 있지만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없는 연구이기 때문에 그런 걸 하면서 좀 더 나아가면서…."]

야생동물 실태조사 전문인력은 전국적으로 100여 명에 불과해 이같은 체계적인 인력 양성 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조영석/대구대 생물교육과 교수 : "야생 동물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있을 때 가축 질병이나 사람한테 옮길 수 있는 질병에 대한 대비도 철저히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조사일 수밖에 없습니다."]

야생동물로 인한 경제적 피해 예방은 물론, 인간과의 공존을 위해서 관련 전문가 육성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박병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