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북 해커에 뚫렸다”

입력 2015.03.19 (07:34) 수정 2015.03.19 (08: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인섭 해설위원]

지난해 말 국민을 불안하고 혼란스럽게 했던 한국수력원자력에 대한 해킹의 주체가 드러났습니다. 북한의 해커 조직이라는 게 정부합동수사단의 결론입니다. 이 결론대로라면 국민의 생명, 안전과 직결되는 원전이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노출된 셈이어서 그 심각성이 큽니다.

합수단은 중국 선양의 인터넷주소를 통해 국내 업체의 IP 주소로 접속한 것, 북 해커집단이 사용하는 ‘킴수키’ 계열의 악성코드로 공격한 점이 그 근거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해킹을 한 범인과 배후 등 실체적 증거는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중국과의 사법공조가 없어 선양 지역에 대한 조사를 하지 못한 탓일 수 있습니다. 북한의 소행과는 상관없이 한수원과 정부는 국가 1급보안시설의 보안망이 뚫린 책임을 면할 수는 없습니다. 이 범인은 지난주엔 한수원 내부 문건과 박근혜대통령과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통화 내용이란 문건을 공개하고 돈까지 요구했습니다.
보안수준이 형편없이 낮은 게 가장 큰 문젭니다. 범인은 e메일에 악성코드를 침투시켜 컴퓨터를 감염시키는 수법으로 자료를 빼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임직원은 비밀번호 수시 변경 등 초보적인 보안 수칙을 지키지 않았고 한수원도 다양한 사이버 보안조치를 외면했다고 합니다. 원전 관련 도면 등 중요 자료가 협력사 직원 e메일 해킹으로 유출된 것도 심각한 문젭니다.
이달 초에도 공공 아이핀 75만 건이 해킹으로 부정 발급됐습니다. ICT, 곧 정보통신기술의 강국이라는 위상은 찾기 어렵습니다. 만일 우리 군의 보안까지 이렇게 허술하다면 그 심각성은 말로 다하기 어렵습니다.

정부는 국가안보실 중심으로 전반적인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기능을 보다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각 부처와 지자체, 그리고 각 기관별로 분산된 관리체계는 대응 차원에서 문제가 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인력 양성과 함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사이버 보안은 곧 국가 안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북 해커에 뚫렸다”
    • 입력 2015-03-19 07:40:34
    • 수정2015-03-19 08:20:58
    뉴스광장
[박인섭 해설위원]

지난해 말 국민을 불안하고 혼란스럽게 했던 한국수력원자력에 대한 해킹의 주체가 드러났습니다. 북한의 해커 조직이라는 게 정부합동수사단의 결론입니다. 이 결론대로라면 국민의 생명, 안전과 직결되는 원전이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노출된 셈이어서 그 심각성이 큽니다.

합수단은 중국 선양의 인터넷주소를 통해 국내 업체의 IP 주소로 접속한 것, 북 해커집단이 사용하는 ‘킴수키’ 계열의 악성코드로 공격한 점이 그 근거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해킹을 한 범인과 배후 등 실체적 증거는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중국과의 사법공조가 없어 선양 지역에 대한 조사를 하지 못한 탓일 수 있습니다. 북한의 소행과는 상관없이 한수원과 정부는 국가 1급보안시설의 보안망이 뚫린 책임을 면할 수는 없습니다. 이 범인은 지난주엔 한수원 내부 문건과 박근혜대통령과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통화 내용이란 문건을 공개하고 돈까지 요구했습니다.
보안수준이 형편없이 낮은 게 가장 큰 문젭니다. 범인은 e메일에 악성코드를 침투시켜 컴퓨터를 감염시키는 수법으로 자료를 빼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임직원은 비밀번호 수시 변경 등 초보적인 보안 수칙을 지키지 않았고 한수원도 다양한 사이버 보안조치를 외면했다고 합니다. 원전 관련 도면 등 중요 자료가 협력사 직원 e메일 해킹으로 유출된 것도 심각한 문젭니다.
이달 초에도 공공 아이핀 75만 건이 해킹으로 부정 발급됐습니다. ICT, 곧 정보통신기술의 강국이라는 위상은 찾기 어렵습니다. 만일 우리 군의 보안까지 이렇게 허술하다면 그 심각성은 말로 다하기 어렵습니다.

정부는 국가안보실 중심으로 전반적인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기능을 보다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각 부처와 지자체, 그리고 각 기관별로 분산된 관리체계는 대응 차원에서 문제가 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인력 양성과 함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사이버 보안은 곧 국가 안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