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인상 어디까지?

입력 2023.01.31 (21:11) 수정 2023.01.31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제부 오수호 기자와 좀 더 이야기 나눠봅니다.

체감도가 높은 필수비용들이 줄줄이 오르는데 앞으로 더 오르는 게 있습니까?

[기자]

전기·가스요금 말고도 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요금이 이미 올랐거나 인상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먼저 대중교통 요금을 보면 대구, 울산이 이미 이달부터 택시 기본요금을 올렸고, 다른 지역도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부 지자체에선 상하수도 요금, 쓰레기 종량제 봉투 가격까지 인상할 계획입니다.

또 다음 달부터 아이스크림 빵 등 가공식품 상승까지 감안하면 소비자들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

[앵커]

올해 물가가 1, 2월 지나면 점차 안정될 거라고 하지 않았나요?

[기자]

네, 맞습니다.

일단 정부와 한국은행은 1, 2월엔 물가상승률이 5% 안팎을 기록하고, 2분기에는 4%대, 하반기엔 3%로 떨어질 거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금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전기나 가스 요금은 전망치에 이미 반영했다고 하고요.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요금 인상도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바꿀 정도로 큰 폭은 아니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숫자상으로는 그렇다는 건데, 소비자들의 체감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전년과 비교한 거잖아요.

지난해 2분기부터 물가가 급격히 올랐으니까 그것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줄어드는 거고요.

2년 전과 비교하면 8% 이상 오른 거라 부담은 여전할 겁니다.

[앵커]

그래도 하반기엔 좀 나아질 거란 건데 변수는 없습니까?

[기자]

가장 큰 변수는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입니다.

안정세를 보이던 국제 유가가 최근 꿈틀댔는데, 중국 경제가 정상화 되면 수요가 몰릴 거란 예측 때문이었죠.

물론 하반기는 돼야 제 궤도를 찾을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이때가 되면 국제 유가가 더 올라 국내 물가에도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중국이 경제활동에 시동을 걸면 러시아로부터 공급이 끊긴 유럽과 LNG 수입 경쟁을 벌이면서 가격이 들썩일 수 있습니다.

그럼 전기, 가스 요금 더 올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앵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최근 발표한 난방비 지원, 이걸 취약계층뿐만 아니라 더 확대한다고요?

[기자]

어제(30일) 윤석열 대통령이 중산층과 서민의 난방비를 낮출 모든 대책을 강구하라고 말했잖아요.

오늘(31일)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좀 더 범위를 좁혔습니다.

앞서 보도에서 지적됐던 기초생활수급자인데 에너지 바우처 받지 못하는 분들, 서민층을 먼저 지원하겠다고 한 건데요.

아무래도 재원 부담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에너지 바우처 지원 확대만 해도 1,800억 원이 드는데 예비비 1,000억 원까지 동원해 마련한 겁니다.

중산층까지 대상을 넓히려 해도 쓸 예산이 없거든요.

여당은 이른바 횡재세는 물론 추경을 반대하고 있고요.

그래서 여당 일각에선 난방비를 소득공제 해주자는 아이디어도 나왔는데요.

많이 쓸수록 혜택을 보는 문제가 있어서 구체적인 지원방안은 정부와 논의를 거쳐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박철식/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가 인상 어디까지?
    • 입력 2023-01-31 21:11:02
    • 수정2023-01-31 22:09:25
    뉴스 9
[앵커]

경제부 오수호 기자와 좀 더 이야기 나눠봅니다.

체감도가 높은 필수비용들이 줄줄이 오르는데 앞으로 더 오르는 게 있습니까?

[기자]

전기·가스요금 말고도 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요금이 이미 올랐거나 인상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먼저 대중교통 요금을 보면 대구, 울산이 이미 이달부터 택시 기본요금을 올렸고, 다른 지역도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부 지자체에선 상하수도 요금, 쓰레기 종량제 봉투 가격까지 인상할 계획입니다.

또 다음 달부터 아이스크림 빵 등 가공식품 상승까지 감안하면 소비자들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

[앵커]

올해 물가가 1, 2월 지나면 점차 안정될 거라고 하지 않았나요?

[기자]

네, 맞습니다.

일단 정부와 한국은행은 1, 2월엔 물가상승률이 5% 안팎을 기록하고, 2분기에는 4%대, 하반기엔 3%로 떨어질 거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금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전기나 가스 요금은 전망치에 이미 반영했다고 하고요.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요금 인상도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바꿀 정도로 큰 폭은 아니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숫자상으로는 그렇다는 건데, 소비자들의 체감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전년과 비교한 거잖아요.

지난해 2분기부터 물가가 급격히 올랐으니까 그것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줄어드는 거고요.

2년 전과 비교하면 8% 이상 오른 거라 부담은 여전할 겁니다.

[앵커]

그래도 하반기엔 좀 나아질 거란 건데 변수는 없습니까?

[기자]

가장 큰 변수는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입니다.

안정세를 보이던 국제 유가가 최근 꿈틀댔는데, 중국 경제가 정상화 되면 수요가 몰릴 거란 예측 때문이었죠.

물론 하반기는 돼야 제 궤도를 찾을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이때가 되면 국제 유가가 더 올라 국내 물가에도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중국이 경제활동에 시동을 걸면 러시아로부터 공급이 끊긴 유럽과 LNG 수입 경쟁을 벌이면서 가격이 들썩일 수 있습니다.

그럼 전기, 가스 요금 더 올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앵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최근 발표한 난방비 지원, 이걸 취약계층뿐만 아니라 더 확대한다고요?

[기자]

어제(30일) 윤석열 대통령이 중산층과 서민의 난방비를 낮출 모든 대책을 강구하라고 말했잖아요.

오늘(31일)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좀 더 범위를 좁혔습니다.

앞서 보도에서 지적됐던 기초생활수급자인데 에너지 바우처 받지 못하는 분들, 서민층을 먼저 지원하겠다고 한 건데요.

아무래도 재원 부담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에너지 바우처 지원 확대만 해도 1,800억 원이 드는데 예비비 1,000억 원까지 동원해 마련한 겁니다.

중산층까지 대상을 넓히려 해도 쓸 예산이 없거든요.

여당은 이른바 횡재세는 물론 추경을 반대하고 있고요.

그래서 여당 일각에선 난방비를 소득공제 해주자는 아이디어도 나왔는데요.

많이 쓸수록 혜택을 보는 문제가 있어서 구체적인 지원방안은 정부와 논의를 거쳐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박철식/그래픽:이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