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종료…“진료 차질 등 고려”
입력 2023.07.14 (21:43)
수정 2023.07.14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4일) 보건의료노조가 이틀 동안의 총파업을 접었습니다.
다만, 부산대병원과 일부 일부 의료기관은 자체적으로 파업을 이어기로 해서 환자들 불편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새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틀 동안 총파업을 진행한 보건의료노조.
노조는 이번 파업으로 인력 부족 문제 등 의료계 주요 쟁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틀 간의 총파업을 마무리하고 대신 의료기관별로 개별 협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나순자/보건의료노조 위원장 : "현장교섭·현장투쟁으로 전환하기로 대승적 결단을 내리고 이후 추가로 심도 깊은 정책협의를 통해 구체화 할 예정임을 결정했습니다."]
노조는 핵심 요구 사항들에 대해 정부도 공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일부 병원에서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환자 불편이 이어진 점도 고려했다고 밝혔는데, 실제로 총파업 전후로 의료 현장에서는 응급환자 입원 거부나 수술 연기 등의 상황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대학병원 의료진/음성변조 : "필수 인력이 아니라 최소한의 인력이에요. 그래서 외래진료는 마비되고 응급실도 제한되고, 심지어 입원환자들도 강제로 퇴원을 시키고…"]
파업에 참여한 병원 대부분은 다음 주부터 정상 진료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노조 측도 "이미 병원과 상당 부분 교섭이 이뤄진 경우가 많다"며 "속속 타결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노사 간 이견이 큰 부산대병원은 개별 파업에 돌입한 상황이어서 진료 차질과 환자 불편이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부산대병원은 전국 국립대병원 중 유일하게 비정규직의 직접 고용이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노조는 간호 인력 확대 등 구체적 요구 사항에 대해 정부와 계속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 박상욱/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임홍근
오늘(14일) 보건의료노조가 이틀 동안의 총파업을 접었습니다.
다만, 부산대병원과 일부 일부 의료기관은 자체적으로 파업을 이어기로 해서 환자들 불편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새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틀 동안 총파업을 진행한 보건의료노조.
노조는 이번 파업으로 인력 부족 문제 등 의료계 주요 쟁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틀 간의 총파업을 마무리하고 대신 의료기관별로 개별 협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나순자/보건의료노조 위원장 : "현장교섭·현장투쟁으로 전환하기로 대승적 결단을 내리고 이후 추가로 심도 깊은 정책협의를 통해 구체화 할 예정임을 결정했습니다."]
노조는 핵심 요구 사항들에 대해 정부도 공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일부 병원에서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환자 불편이 이어진 점도 고려했다고 밝혔는데, 실제로 총파업 전후로 의료 현장에서는 응급환자 입원 거부나 수술 연기 등의 상황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대학병원 의료진/음성변조 : "필수 인력이 아니라 최소한의 인력이에요. 그래서 외래진료는 마비되고 응급실도 제한되고, 심지어 입원환자들도 강제로 퇴원을 시키고…"]
파업에 참여한 병원 대부분은 다음 주부터 정상 진료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노조 측도 "이미 병원과 상당 부분 교섭이 이뤄진 경우가 많다"며 "속속 타결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노사 간 이견이 큰 부산대병원은 개별 파업에 돌입한 상황이어서 진료 차질과 환자 불편이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부산대병원은 전국 국립대병원 중 유일하게 비정규직의 직접 고용이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노조는 간호 인력 확대 등 구체적 요구 사항에 대해 정부와 계속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 박상욱/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임홍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종료…“진료 차질 등 고려”
-
- 입력 2023-07-14 21:43:09
- 수정2023-07-14 21:53:52

[앵커]
오늘(14일) 보건의료노조가 이틀 동안의 총파업을 접었습니다.
다만, 부산대병원과 일부 일부 의료기관은 자체적으로 파업을 이어기로 해서 환자들 불편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새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틀 동안 총파업을 진행한 보건의료노조.
노조는 이번 파업으로 인력 부족 문제 등 의료계 주요 쟁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틀 간의 총파업을 마무리하고 대신 의료기관별로 개별 협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나순자/보건의료노조 위원장 : "현장교섭·현장투쟁으로 전환하기로 대승적 결단을 내리고 이후 추가로 심도 깊은 정책협의를 통해 구체화 할 예정임을 결정했습니다."]
노조는 핵심 요구 사항들에 대해 정부도 공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일부 병원에서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환자 불편이 이어진 점도 고려했다고 밝혔는데, 실제로 총파업 전후로 의료 현장에서는 응급환자 입원 거부나 수술 연기 등의 상황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대학병원 의료진/음성변조 : "필수 인력이 아니라 최소한의 인력이에요. 그래서 외래진료는 마비되고 응급실도 제한되고, 심지어 입원환자들도 강제로 퇴원을 시키고…"]
파업에 참여한 병원 대부분은 다음 주부터 정상 진료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노조 측도 "이미 병원과 상당 부분 교섭이 이뤄진 경우가 많다"며 "속속 타결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노사 간 이견이 큰 부산대병원은 개별 파업에 돌입한 상황이어서 진료 차질과 환자 불편이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부산대병원은 전국 국립대병원 중 유일하게 비정규직의 직접 고용이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노조는 간호 인력 확대 등 구체적 요구 사항에 대해 정부와 계속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 박상욱/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임홍근
오늘(14일) 보건의료노조가 이틀 동안의 총파업을 접었습니다.
다만, 부산대병원과 일부 일부 의료기관은 자체적으로 파업을 이어기로 해서 환자들 불편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새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틀 동안 총파업을 진행한 보건의료노조.
노조는 이번 파업으로 인력 부족 문제 등 의료계 주요 쟁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틀 간의 총파업을 마무리하고 대신 의료기관별로 개별 협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나순자/보건의료노조 위원장 : "현장교섭·현장투쟁으로 전환하기로 대승적 결단을 내리고 이후 추가로 심도 깊은 정책협의를 통해 구체화 할 예정임을 결정했습니다."]
노조는 핵심 요구 사항들에 대해 정부도 공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일부 병원에서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환자 불편이 이어진 점도 고려했다고 밝혔는데, 실제로 총파업 전후로 의료 현장에서는 응급환자 입원 거부나 수술 연기 등의 상황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대학병원 의료진/음성변조 : "필수 인력이 아니라 최소한의 인력이에요. 그래서 외래진료는 마비되고 응급실도 제한되고, 심지어 입원환자들도 강제로 퇴원을 시키고…"]
파업에 참여한 병원 대부분은 다음 주부터 정상 진료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노조 측도 "이미 병원과 상당 부분 교섭이 이뤄진 경우가 많다"며 "속속 타결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노사 간 이견이 큰 부산대병원은 개별 파업에 돌입한 상황이어서 진료 차질과 환자 불편이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부산대병원은 전국 국립대병원 중 유일하게 비정규직의 직접 고용이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노조는 간호 인력 확대 등 구체적 요구 사항에 대해 정부와 계속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 박상욱/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임홍근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