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10분 전 첫 대피 재난문자…“우리 마을에 날 줄 몰랐어요”
입력 2023.07.18 (21:08)
수정 2023.07.18 (22: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북 지역에서 인명 피해가 커진 건 보신 것처럼 산사태 때문입니다.
그런데 예천 주민들은 새벽 시간, 산사태 10분 전에야 대피하라는 재난문자를 받았습니다.
신주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예천 곳곳에서 잇따라 산사태가 나기 하루 전인 지난 14일.
경북 예천군은 14일 오후 12시 50분쯤 산사태주의보를, 다음날인 15일 새벽 12시 50분쯤에는 경보로 상향 발령했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에게 산사태 긴급 재난 문자를 보낸 건 한 시간 뒤인 새벽 1시 47분.
그리고 10여 분 뒤, 산비탈에서 흘러내린 토사가 집을 덮치기 시작했습니다.
[황홍섭/경북 예천군 감천면 : "(평소) 물이 많이 안 내려와요. (산사태) 나도 물 좀 내려오는 정도겠지... 우리(마을) 쪽은... 그래서 처음에 '쿠쿵~'해도 천둥인 줄 알았죠. 비가 오니까."]
주민들은 경북 예천군이 재난문자를 보내기 훨씬 이전부터 산사태 징후를 느꼈다고 말합니다.
[진봉식/경북 예천군 감천면 : "(최근) 비가 좀 왔다 그러면, 전과 다른 건 돌 굴러가는 소리가 요란하게 났어요."]
산림청이 산사태 예측 정보를 통보하면 자치단체장은 위험 예보를 발령하고, 주민 대피에 나서야 합니다.
하지만 경북 예천군은 산사태 주의보를 발령한 뒤 12시간이 지나도록 사전 대피는커녕 산사태 위기를 알리는 재난 문자도 발송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경북 예천에서 산사태가 난 4곳 모두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지정돼있지 않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도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김석우/강원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 "우리나라는 언제 어디서든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가 많이 왔을 땐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란 생각을 갖고 우선적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은 국지성 폭우 탓에 산사태 예측이 어려워지는 만큼, 안전 취약 계층의 사전 대피를 강화하는 등 위기대응 체계를 손질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신주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CG그래픽:인푸름
경북 지역에서 인명 피해가 커진 건 보신 것처럼 산사태 때문입니다.
그런데 예천 주민들은 새벽 시간, 산사태 10분 전에야 대피하라는 재난문자를 받았습니다.
신주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예천 곳곳에서 잇따라 산사태가 나기 하루 전인 지난 14일.
경북 예천군은 14일 오후 12시 50분쯤 산사태주의보를, 다음날인 15일 새벽 12시 50분쯤에는 경보로 상향 발령했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에게 산사태 긴급 재난 문자를 보낸 건 한 시간 뒤인 새벽 1시 47분.
그리고 10여 분 뒤, 산비탈에서 흘러내린 토사가 집을 덮치기 시작했습니다.
[황홍섭/경북 예천군 감천면 : "(평소) 물이 많이 안 내려와요. (산사태) 나도 물 좀 내려오는 정도겠지... 우리(마을) 쪽은... 그래서 처음에 '쿠쿵~'해도 천둥인 줄 알았죠. 비가 오니까."]
주민들은 경북 예천군이 재난문자를 보내기 훨씬 이전부터 산사태 징후를 느꼈다고 말합니다.
[진봉식/경북 예천군 감천면 : "(최근) 비가 좀 왔다 그러면, 전과 다른 건 돌 굴러가는 소리가 요란하게 났어요."]
산림청이 산사태 예측 정보를 통보하면 자치단체장은 위험 예보를 발령하고, 주민 대피에 나서야 합니다.
하지만 경북 예천군은 산사태 주의보를 발령한 뒤 12시간이 지나도록 사전 대피는커녕 산사태 위기를 알리는 재난 문자도 발송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경북 예천에서 산사태가 난 4곳 모두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지정돼있지 않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도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김석우/강원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 "우리나라는 언제 어디서든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가 많이 왔을 땐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란 생각을 갖고 우선적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은 국지성 폭우 탓에 산사태 예측이 어려워지는 만큼, 안전 취약 계층의 사전 대피를 강화하는 등 위기대응 체계를 손질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신주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CG그래픽:인푸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고 10분 전 첫 대피 재난문자…“우리 마을에 날 줄 몰랐어요”
-
- 입력 2023-07-18 21:08:47
- 수정2023-07-18 22:22:22

[앵커]
경북 지역에서 인명 피해가 커진 건 보신 것처럼 산사태 때문입니다.
그런데 예천 주민들은 새벽 시간, 산사태 10분 전에야 대피하라는 재난문자를 받았습니다.
신주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예천 곳곳에서 잇따라 산사태가 나기 하루 전인 지난 14일.
경북 예천군은 14일 오후 12시 50분쯤 산사태주의보를, 다음날인 15일 새벽 12시 50분쯤에는 경보로 상향 발령했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에게 산사태 긴급 재난 문자를 보낸 건 한 시간 뒤인 새벽 1시 47분.
그리고 10여 분 뒤, 산비탈에서 흘러내린 토사가 집을 덮치기 시작했습니다.
[황홍섭/경북 예천군 감천면 : "(평소) 물이 많이 안 내려와요. (산사태) 나도 물 좀 내려오는 정도겠지... 우리(마을) 쪽은... 그래서 처음에 '쿠쿵~'해도 천둥인 줄 알았죠. 비가 오니까."]
주민들은 경북 예천군이 재난문자를 보내기 훨씬 이전부터 산사태 징후를 느꼈다고 말합니다.
[진봉식/경북 예천군 감천면 : "(최근) 비가 좀 왔다 그러면, 전과 다른 건 돌 굴러가는 소리가 요란하게 났어요."]
산림청이 산사태 예측 정보를 통보하면 자치단체장은 위험 예보를 발령하고, 주민 대피에 나서야 합니다.
하지만 경북 예천군은 산사태 주의보를 발령한 뒤 12시간이 지나도록 사전 대피는커녕 산사태 위기를 알리는 재난 문자도 발송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경북 예천에서 산사태가 난 4곳 모두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지정돼있지 않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도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김석우/강원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 "우리나라는 언제 어디서든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가 많이 왔을 땐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란 생각을 갖고 우선적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은 국지성 폭우 탓에 산사태 예측이 어려워지는 만큼, 안전 취약 계층의 사전 대피를 강화하는 등 위기대응 체계를 손질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신주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CG그래픽:인푸름
경북 지역에서 인명 피해가 커진 건 보신 것처럼 산사태 때문입니다.
그런데 예천 주민들은 새벽 시간, 산사태 10분 전에야 대피하라는 재난문자를 받았습니다.
신주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예천 곳곳에서 잇따라 산사태가 나기 하루 전인 지난 14일.
경북 예천군은 14일 오후 12시 50분쯤 산사태주의보를, 다음날인 15일 새벽 12시 50분쯤에는 경보로 상향 발령했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에게 산사태 긴급 재난 문자를 보낸 건 한 시간 뒤인 새벽 1시 47분.
그리고 10여 분 뒤, 산비탈에서 흘러내린 토사가 집을 덮치기 시작했습니다.
[황홍섭/경북 예천군 감천면 : "(평소) 물이 많이 안 내려와요. (산사태) 나도 물 좀 내려오는 정도겠지... 우리(마을) 쪽은... 그래서 처음에 '쿠쿵~'해도 천둥인 줄 알았죠. 비가 오니까."]
주민들은 경북 예천군이 재난문자를 보내기 훨씬 이전부터 산사태 징후를 느꼈다고 말합니다.
[진봉식/경북 예천군 감천면 : "(최근) 비가 좀 왔다 그러면, 전과 다른 건 돌 굴러가는 소리가 요란하게 났어요."]
산림청이 산사태 예측 정보를 통보하면 자치단체장은 위험 예보를 발령하고, 주민 대피에 나서야 합니다.
하지만 경북 예천군은 산사태 주의보를 발령한 뒤 12시간이 지나도록 사전 대피는커녕 산사태 위기를 알리는 재난 문자도 발송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경북 예천에서 산사태가 난 4곳 모두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지정돼있지 않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도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김석우/강원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 "우리나라는 언제 어디서든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가 많이 왔을 땐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란 생각을 갖고 우선적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은 국지성 폭우 탓에 산사태 예측이 어려워지는 만큼, 안전 취약 계층의 사전 대피를 강화하는 등 위기대응 체계를 손질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신주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CG그래픽:인푸름
-
-
신주현 기자 shinjour@kbs.co.kr
신주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전국 집중호우…피해 속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