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에는 복구 밤에는 대피소…“언제나 집에 가려나”
입력 2023.07.20 (21:20)
수정 2023.07.20 (21: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모두가 힘든 장마를 겪었지만 집에 가고 싶어도 갈수 없는 이재민들의 심정은 오죽할까 싶습니다.
지금도 대피소 등에 머물고 있는 이재민 수가 2천 500명이 넘습니다.
산사태가 휩쓸고 간 경북이 가장 많고, 충남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비가 쏟아진 충남 청양에서도 많은 이재민들이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낮에는 복구에 일손을 보태고 밤에는 대피소 좁은 텐트에서 불편한 잠을 청하고 있습니다.
백상현 기잡니다.
[리포트]
망가진 시설 하우스 위에 또 다른 하우스가 포개져 있습니다.
이 마을에 귀농한 부부가 집으로 사용하던 건데 마을이 물에 잠기면서 통째로 떠내려온 겁니다.
[윤일학/주민 : "살림하던 집이 150 미터 이상 떠내려와서 물이 빠지니까 (아래) 본체(시설)까지 다 주저앉은 겁니다."]
학교에 만들어진 임시 대피소에는 이들 부부를 포함해 10여 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5㎡ 남짓 비좁은 텐트와 딱딱한 바닥 생활도 서럽지만 가장 힘든 건 돌아갈 곳이 없다는 겁니다.
[서창범/이재민 : "(다른 사람들은) 날씨가 좋아서 마르고 그러면 다 들어갈 수 있는데 저희는 집까지 아예 없어졌으니까…"]
충남에만 집에 돌아가지 못한 이재민이 5백 명 넘는데 낮에는 복구 작업을 하다 밤에는 대피소에서 쪽잠을 자는 생활을 일주일 가까이 이어가고 있습니다.
[윤점례/이재민 : "돈도 없이 집 지어서 살면서 겨우 조금 갚았는데 이렇게 돼서... 어떻게 해야 하나 모르겠어요."]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엄두가 나지 않지만 그나마 힘을 낼 수 있는 건 도움의 손길 덕분입니다.
수해 현장에서는 오늘(20일)도 공무원과 군인 등을 중심으로 복구 작업이 이어졌습니다.
[진교헌/이재민 : "우리 아버지, 할아버지(라고) 생각을 하고 불평, 불만 없이 (봉사)하는 모습을 보면 어떻게 보면 감사를 떠나 감동이라고 봐야죠."]
언제쯤 평화로웠던 일상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을까, 이재민들은 오늘도 고된 하루를 보냈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모두가 힘든 장마를 겪었지만 집에 가고 싶어도 갈수 없는 이재민들의 심정은 오죽할까 싶습니다.
지금도 대피소 등에 머물고 있는 이재민 수가 2천 500명이 넘습니다.
산사태가 휩쓸고 간 경북이 가장 많고, 충남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비가 쏟아진 충남 청양에서도 많은 이재민들이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낮에는 복구에 일손을 보태고 밤에는 대피소 좁은 텐트에서 불편한 잠을 청하고 있습니다.
백상현 기잡니다.
[리포트]
망가진 시설 하우스 위에 또 다른 하우스가 포개져 있습니다.
이 마을에 귀농한 부부가 집으로 사용하던 건데 마을이 물에 잠기면서 통째로 떠내려온 겁니다.
[윤일학/주민 : "살림하던 집이 150 미터 이상 떠내려와서 물이 빠지니까 (아래) 본체(시설)까지 다 주저앉은 겁니다."]
학교에 만들어진 임시 대피소에는 이들 부부를 포함해 10여 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5㎡ 남짓 비좁은 텐트와 딱딱한 바닥 생활도 서럽지만 가장 힘든 건 돌아갈 곳이 없다는 겁니다.
[서창범/이재민 : "(다른 사람들은) 날씨가 좋아서 마르고 그러면 다 들어갈 수 있는데 저희는 집까지 아예 없어졌으니까…"]
충남에만 집에 돌아가지 못한 이재민이 5백 명 넘는데 낮에는 복구 작업을 하다 밤에는 대피소에서 쪽잠을 자는 생활을 일주일 가까이 이어가고 있습니다.
[윤점례/이재민 : "돈도 없이 집 지어서 살면서 겨우 조금 갚았는데 이렇게 돼서... 어떻게 해야 하나 모르겠어요."]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엄두가 나지 않지만 그나마 힘을 낼 수 있는 건 도움의 손길 덕분입니다.
수해 현장에서는 오늘(20일)도 공무원과 군인 등을 중심으로 복구 작업이 이어졌습니다.
[진교헌/이재민 : "우리 아버지, 할아버지(라고) 생각을 하고 불평, 불만 없이 (봉사)하는 모습을 보면 어떻게 보면 감사를 떠나 감동이라고 봐야죠."]
언제쯤 평화로웠던 일상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을까, 이재민들은 오늘도 고된 하루를 보냈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낮에는 복구 밤에는 대피소…“언제나 집에 가려나”
-
- 입력 2023-07-20 21:20:25
- 수정2023-07-20 21:35:59

[앵커]
모두가 힘든 장마를 겪었지만 집에 가고 싶어도 갈수 없는 이재민들의 심정은 오죽할까 싶습니다.
지금도 대피소 등에 머물고 있는 이재민 수가 2천 500명이 넘습니다.
산사태가 휩쓸고 간 경북이 가장 많고, 충남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비가 쏟아진 충남 청양에서도 많은 이재민들이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낮에는 복구에 일손을 보태고 밤에는 대피소 좁은 텐트에서 불편한 잠을 청하고 있습니다.
백상현 기잡니다.
[리포트]
망가진 시설 하우스 위에 또 다른 하우스가 포개져 있습니다.
이 마을에 귀농한 부부가 집으로 사용하던 건데 마을이 물에 잠기면서 통째로 떠내려온 겁니다.
[윤일학/주민 : "살림하던 집이 150 미터 이상 떠내려와서 물이 빠지니까 (아래) 본체(시설)까지 다 주저앉은 겁니다."]
학교에 만들어진 임시 대피소에는 이들 부부를 포함해 10여 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5㎡ 남짓 비좁은 텐트와 딱딱한 바닥 생활도 서럽지만 가장 힘든 건 돌아갈 곳이 없다는 겁니다.
[서창범/이재민 : "(다른 사람들은) 날씨가 좋아서 마르고 그러면 다 들어갈 수 있는데 저희는 집까지 아예 없어졌으니까…"]
충남에만 집에 돌아가지 못한 이재민이 5백 명 넘는데 낮에는 복구 작업을 하다 밤에는 대피소에서 쪽잠을 자는 생활을 일주일 가까이 이어가고 있습니다.
[윤점례/이재민 : "돈도 없이 집 지어서 살면서 겨우 조금 갚았는데 이렇게 돼서... 어떻게 해야 하나 모르겠어요."]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엄두가 나지 않지만 그나마 힘을 낼 수 있는 건 도움의 손길 덕분입니다.
수해 현장에서는 오늘(20일)도 공무원과 군인 등을 중심으로 복구 작업이 이어졌습니다.
[진교헌/이재민 : "우리 아버지, 할아버지(라고) 생각을 하고 불평, 불만 없이 (봉사)하는 모습을 보면 어떻게 보면 감사를 떠나 감동이라고 봐야죠."]
언제쯤 평화로웠던 일상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을까, 이재민들은 오늘도 고된 하루를 보냈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모두가 힘든 장마를 겪었지만 집에 가고 싶어도 갈수 없는 이재민들의 심정은 오죽할까 싶습니다.
지금도 대피소 등에 머물고 있는 이재민 수가 2천 500명이 넘습니다.
산사태가 휩쓸고 간 경북이 가장 많고, 충남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비가 쏟아진 충남 청양에서도 많은 이재민들이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낮에는 복구에 일손을 보태고 밤에는 대피소 좁은 텐트에서 불편한 잠을 청하고 있습니다.
백상현 기잡니다.
[리포트]
망가진 시설 하우스 위에 또 다른 하우스가 포개져 있습니다.
이 마을에 귀농한 부부가 집으로 사용하던 건데 마을이 물에 잠기면서 통째로 떠내려온 겁니다.
[윤일학/주민 : "살림하던 집이 150 미터 이상 떠내려와서 물이 빠지니까 (아래) 본체(시설)까지 다 주저앉은 겁니다."]
학교에 만들어진 임시 대피소에는 이들 부부를 포함해 10여 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5㎡ 남짓 비좁은 텐트와 딱딱한 바닥 생활도 서럽지만 가장 힘든 건 돌아갈 곳이 없다는 겁니다.
[서창범/이재민 : "(다른 사람들은) 날씨가 좋아서 마르고 그러면 다 들어갈 수 있는데 저희는 집까지 아예 없어졌으니까…"]
충남에만 집에 돌아가지 못한 이재민이 5백 명 넘는데 낮에는 복구 작업을 하다 밤에는 대피소에서 쪽잠을 자는 생활을 일주일 가까이 이어가고 있습니다.
[윤점례/이재민 : "돈도 없이 집 지어서 살면서 겨우 조금 갚았는데 이렇게 돼서... 어떻게 해야 하나 모르겠어요."]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엄두가 나지 않지만 그나마 힘을 낼 수 있는 건 도움의 손길 덕분입니다.
수해 현장에서는 오늘(20일)도 공무원과 군인 등을 중심으로 복구 작업이 이어졌습니다.
[진교헌/이재민 : "우리 아버지, 할아버지(라고) 생각을 하고 불평, 불만 없이 (봉사)하는 모습을 보면 어떻게 보면 감사를 떠나 감동이라고 봐야죠."]
언제쯤 평화로웠던 일상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을까, 이재민들은 오늘도 고된 하루를 보냈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
백상현 기자 bsh@kbs.co.kr
백상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전국 집중호우…피해 속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